조회 수 9123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진 국방일보 11월 3일자 6면 하단광고>

 

해병대 재창설 23주년 맞아 공식 발표

 

해병대는 1일 재창설 23주년을 맞아 대표 표어(슬로건)로 ‘작지만 강한 해병대’를, 핵심 가치로 ‘충성’ ‘명예’ ‘도전’을 선정하고 선포식을 했다. 1949년 4월 15일 창설된 해병대는 73년 해군에 편입됐다가 87년 11월 1일 재창설됐다.

그러나 대표 표어의 표현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10여 년간 광고 현장에서 카피라이터로 일해온 한 전문가는 “슬로건을 듣는 순간 ‘강하다’는 말은 해병과 잘 맞는 걸 알겠는데 ‘작다’는 말은 뭐지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작지만 강한 해병’이란 슬로건을 들으면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같은 슬로건이 주는 근성, 질김, 강함 등의 긍정적 이미지보다는 ‘작지만’이란 말이 강조돼 들린다”고 밝혔다. 또 “장점과 아이덴티티를 강조하는 슬로건에는 ‘~지만’이란 부정적 느낌을 주는 접미어를 쓰지 않는다. 소수정예를 표현하고 싶다면 ‘적지만’이라고 써야겠지만 이 말은 어감이 안 좋아 카피나 슬로건에 쓰지 않는 말”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해병대는 보도자료에서 “‘작지만 강한 해병대’는 어떠한 시련과 역경 속에서도 소수의 병력과 장비로 맡은 바 임무를 완수하며 ‘무적 해병’의 전통을 수립해 국민이 가장 신뢰하는 부대로 거듭난 해병대를 상징한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굳이 새 표어를 만들 필요가 있었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그동안 해병대는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귀신 잡는 해병’ ‘무적 해병’ 등 6·25전쟁과 베트남전쟁에서 맹활약하면서 얻은 슬로건과 별칭을 비공식적으로 사용해 왔다.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은 미국 해병대의 슬로건 중 하나인 ‘Once a Marine, Always a Marine’을 차용한 것이다. 해병대 관계자는 “49년 해병대가 창설된 이후 공식 슬로건이 없었다”며 “기존의 것들이 추상적이기도 해서 현재를 보여주고, 미래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내부적으로 대표 표어를 정해 해병대의 지향점을 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최우식(69·예비역 중위) 해병대 전우회 중앙회 공보특보는 “지금까지 해병대가 사용해온 구호는 외국 언론 등에서 붙인 것이어서 우리 해병대가 슬로건을 만든 것을 환영한다”면서도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란 해병대 정신이 변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해병대는 지난해 홍보기획사인 버슨 마스텔러 에 용역을 의뢰하고 자체 워크숍을 통해 대표 표어와 핵심 가치를 확정했다. <중앙일보 최지영·정용수 기자>

 

▶ '작지만 해병' 슬로건 찬반 투표하기
 


  • 박종명 2010.11.03 09:09

    굳이 새로운 표어를 만들 필요가 있을까요....작지만 강한 해병대도 좋지만 바로 와 닫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 박희철 2010.11.03 18:21

    작지만에서 ㄱ이 빠지면.....기사를 보았는데 벌써부터 해병대표어를 가지고 말이 많군요!

    최근 추세에 따라 대표적인 표어의 제정 필요성이 있지만 현재까지 전통적으로 사용했고  알려져있는 것중에서 골라 공식적으로 사용햇엇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그러나 작지만 강한 해병대가 결코 나쁘다는 건 아닙니다.

  • 박희철 2010.11.03 18:30

    【서울=뉴시스】김정환 기자 = 해병대가 1일 재창설 23주년을 맞이해 선보인 대표 표어(슬로건)는 ‘작지만 강한 해병대’다.

    그런데, ‘작지만 강한 해병대’라고 쓴 간판에서 자칫 기역 받침이 실종된다면?

    카피라이터 황주성씨의 지적이다. 1990년 특전사 홍보팀으로부터 북의 124군 부대 구호를 능가하는 슬로건을 만들어 달라는 의뢰를 받고 ‘사나이의 참모습-특전사’라는 표어를 탄생시킨 인물이다. 당시 특전사는 경찰청 슬로건 ‘잠깐양보 평생안전’을 지은 황씨의 실력을 인정, 작명을 부탁했다.

    황씨는 “해병대 간부 몇몇이 머리를 맞대고 심사하다 보니 남자성기를 빗대 놀려도 감당할 수 없는 표어가 나왔을 것”이라면서 “군대의 슬로건은 주적인 북한을 먼저 염두에 두고 지어야 할텐데 어떻게 군인의 사기마저 저하시키는 슬로건으로 정신무장을 하려는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이어 “세일즈맨을 양성하는 판매회사에서도 ‘나는 긍정적이다’, ‘나는 적극적이다’, ‘나는 끈기가 있다’, ‘나는 목표가 있다’, ‘나는 나의 능력을 믿는다’ 등 구호 하나하나마다 판매사원의 잠재력을 끌어 올리려는 의도가 다분하다”며 “회사든 군대든 ‘그렇지만’ 등 부정적 접미어는 장점과 아이덴티티를 강조하는 슬로건에는 백해무익인데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귀신잡는 해병’ 등 명슬로건을 선보인 대한민국 해병대의 새 슬로건이 이성적, 부정적, 과장형으로 결정됐는지 안타깝다”고 말했다.

    황씨는 자신이 운영하는 부부핵교(www.bubuschool.com)에 ‘해병대 슬로건 공모’라는 카테고리를 만들어 회원 5만여명의 의견을 받고 있다.

  • narok 2010.11.03 18:35

    작지만 강한 해병대.....나쁘지 않습니다.

    창설이후 그간 많은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면서 소수의 부대로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올린 해병대에게 어울리는 표어로 생각됩니다.

     

  • 안기선 2010.11.03 18:52

    전문가가 봐서 아니다...그건가......작지만 강한 해병대 아주 좋습니다.

  • 티엔티해병 2011.02.24 12:53

    작지만 강한 해병대...그리고 충성,명예,도전.....멋집니다.

    이것 저것 우리 해병대에 시비거는 인간들이 하도 많아서.....그러나 그만큼 관심도 많다는 증거이니 좋게 생각해야지요! 


  1. 요강파티 - 공정식

    정식 인사발령도 없이 부임했던 김포 제1여단장 시절 잊을 수 없는 일은, 북한에 우리의 위력을 과시한 염하 상륙작전이었다. 5·16 두 달 뒤인 1961년 7월 최고회의에서 대규모 상륙작전을 실시하라는 지시가 내려왔다. 당시 한강 하구 루트로 무장 게릴라를 다수 침투시키던 북한에 경고성 시위를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Date2010.09.05 By슈퍼맨 Views5479
    Read More
  2. 22년째 변함없는 ‘해병대 사랑’

    포항 요리학원 박순늠 원장 / 국방일보 2007.01.08 집을 떠나 군생활하는 해병대1사단 장병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22년째 어머니 노릇을 하고 있는 해병 모두의 어머니가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포항요리학원 박순늠(56) 원장. 박원장이 해병대 장병들과 인연을 맺기 시작한 시기는 22년 전인 198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Date2010.09.08 By운영자 Views4775
    Read More
  3. 7번째 빨간명찰장교부부

    2006년도 국방일보 5월22일자에 소개된 빨간명찰장교부부기사입니다. 이당시 이 해병대부부의 결혼이 7번째라고 합니다. 그후에도 더 나왔는지...... 해병대 2사단 김태옥·이혜진 대위 일곱 번째 커플 / 국방일보 2006.05.22 해병대에서 일곱 번째 해병대 장교 부부가 탄생했다. 지난 20일 화촉을 밝힌 김태옥·이혜진 대위(...
    Date2010.09.09 By운영자 Views14229
    Read More
  4. 장지량 前공군참모총장의 회고록중 해병대와 공군의 다툼

    버스 노선 놓고 서로 사소한 시비 해병대의 공군 비행장 습격 불러 1966년 8월2일, 공군참모총장으로 취임한 다음 날 박정희 대통령이 진해의 대통령 별장으로 휴양차 떠나자 나는 첫 업무로 전용기에 동승, 수행했다. 미리 여의도 공항으로 나가 대통령 전용기이자 공군 1호기인 C-54기(4발 프로펠러기)와 조종사·부조종사...
    Date2010.09.09 By운영자 Views7238
    Read More
  5. 최초의 여자해병 문인순씨의 시집

    문인순씨 낙서하듯 쓴 시…50여년만에 / 국방일보 2004.12.14 6·25전쟁 때 학업을 중단하고 해병대에 입대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해병 문인순(73·제주시 용담2동)씨가 처녀 시절 낙서하듯 쓴 시를 모아 50여 년 만에 책으로 펴냈다. 문씨의 시집 ‘짧고도 긴 세월’(사진·대한출판사)에 실린 ‘서리꽃’ ‘슬픈 전설 산방산’ ‘그...
    Date2010.09.10 By운영자 Views6004
    Read More
  6. 해병대축구단에서 복무한 허정무 감독

    “정신만 똑바로 서면 어떤 어려움도 극복” / 국방일보 2010.10.01 허정무 인천유나이티드 감독이 30일 국군의 날 축하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정의훈 기자 ▲전남 진도(1955년생) ▲영등포공고 ▲연세대 학사·수원대 석사 ▲국가대표(74~86년·멕시코 월드컵 대표) ▲해병대 축구단 군 복무(78~80년) ▲네덜란드 PSV 아인트호벤(80~8...
    Date2010.10.02 By운영자 Views5618
    Read More
  7. 작지만 강한 해병’ 새 슬로건에 동의하십니까

    &lt;사진 국방일보 11월 3일자 6면 하단광고&gt; 해병대 재창설 23주년 맞아 공식 발표 해병대는 1일 재창설 23주년을 맞아 대표 표어(슬로건)로 ‘작지만 강한 해병대’를, 핵심 가치로 ‘충성’ ‘명예’ ‘도전’을 선정하고 선포식을 했다. 1949년 4월 15일 창설된 해병대는 73년 해군에 편입됐다가 87년 11월 1일 재창설됐다. 그러나 ...
    Date2010.11.02 By운영자 Views9123
    Read More
  8. 허정무 감독에게 해병대란?

    올 해 여름. 우리를 울고 웃게 만들었던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사상 첫 원정 16강의 기쁨을 국민에게 안겨준 국가대표팀의 선봉에는 허정무 감독이 있었다. 이제 인천유나이티드 감독으로 돌아온 허정무 감독을 인터뷰하기 위해 찾은 문학 경기장. 문을 열어주는 허정무 감독은 빨간 명찰을 달고 있는 취재팀을 너무나 반갑...
    Date2010.11.07 By운영자 Views5584
    Read More
  9. 해병6기 이승만교수의 역경의 열매

    역경의열매 이승만 (11) 성경 읽으며 해병대 혹독한 훈련 견뎌 / 국민일보 [2010.11.11 17:55] 서울에서 방위군으로 자원입대한 후 18일간 사선을 넘나든 끝에 훈련소인 진해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 도착했다. 1951년 1월이었다. 그곳에서 해병대라는 것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훈련은 제일 세고 가장 치열한 전투에 ...
    Date2010.11.20 By운영자 Views3833
    Read More
  10. No Image

    이대로 있어야만 합니까?

    해병대출신 홍사덕의원은 &quot;해병은 공매 맞는 군대 아냐..몇배 보복토록 내버려뒀어야&quot; 하다는 발언처럼 즉시 대응했어야 하고 더이상으로 보복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3분만에 대응사격도....즉시 대응할 수 있었던 우리 해병들이 아마 보고체계때문에 늦어졌으리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 13분이라는 긴시간동안 우리 ...
    Date2010.11.24 By안기선 Views5286
    Read More
  11. No Image

    해병대는 줄이고 자주포는 늘려야 하는데 (예비역 육군중사)

    게시글출처 : 다음 아고라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mp;articleId=1228274 해병대 감축안을 폐지하고 현행대로 유지한다는 언론 뉴스를 보고 한마디 합니다. 서해5도 다시말하면 해병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백령도,연평도에 가장 필요한것은 적의 공격을 가장 효과적 으로 방어할수있는...
    Date2010.11.27 By운영자 Views7149
    Read More
  12. 빗발치는 포격속에서 빛난 해병대의 뜨거운 전우애

    중화기 중대 김지용 상병은 다른 해병들과 함께 북한군의 포격간 마을 주민을 대피시키고 잠시 소강상태가 되자 부대로 복귀했다. 하지만 곧 2차 폭격이 시작되었고, 중대건물에 포격이 시작되며 파편으로 인해 목 파편상을 입었다. 하지만 중대 관측담당관인 김종선 상사가 김상병의 목을 지혈하고 &quot;너는 내가 반드시 살린...
    Date2010.11.27 By운영자 Views3997
    Read More
  13. 연평도의 K9자주포 해병대가 늦장대응이라고???

    연평도에서 13분 걸렸다. 평시가 아닌 전시에서. 한대에 40억하는... 정말 그런 몸값을 하는 자주포를 6대 연평도에 배치했다.(한부대가 6대) 나는 155밀리 견인곡사포를 상병떄까지 하고 군단급이라 포가 자주포로 바뀌는 경험을 했다. 덕분에 상병떄 분대장달고 다시 공부했다. 결국 전역할떄까지 K9과 살았다. 포병은 T0T...
    Date2010.11.27 By운영자 Views6110
    Read More
  14. 골수기증으로 한 생명을 살린 김성관소령을 만나다.

    “누구나 약속하기는 쉽다. 그러나 그 약속을 이행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미국의 시인이자 사상가인 에머슨 (Ralph Waldo Emerson) 이 남긴 말이다. 우리는 타인, 또는 자기 자신과 무수히 많은 약속을 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그 많은 약 속들 중 상당수는 지키지 못한 채 살아가는 것도 사실이다. 골수 기증은 적혈구, ...
    Date2010.12.01 By관리자 Views4960
    Read More
  15. 나라를 구한 섬사람들 제주해병 3,4기

    지난 9월 1일. 제주도 동문 로터리 일대에서 ‘해병대 주둔 표지석 제막식’이 열렸다. 60년 전 해병대 사령부가 주둔했음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 해병대는 1949년 12월 28일 제주도로 이동하여 한라산의 공비를 토벌하고 4·3사건으로 피폐된 제주도의 민심을 수습하는데 전력투구한다. 그러던 1950년 6월 25일 6·25전쟁이 발...
    Date2010.12.01 By관리자 Views45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2 Next
/ 2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