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8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1111_39_2.jpg

역경의열매 이승만 (11) 성경 읽으며 해병대 혹독한 훈련 견뎌 / 국민일보 [2010.11.11 17:55]

서울에서 방위군으로 자원입대한 후 18일간 사선을 넘나든 끝에 훈련소인 진해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 도착했다. 1951년 1월이었다. 그곳에서 해병대라는 것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훈련은 제일 세고 가장 치열한 전투에 투입되지만 보급은 최고로 좋다더라.” 이 말에 나와 성화신학교 동창 중 15명은 “기왕 군대에 들어간다면 밥이라도 실컷 먹게 거기로 가자”고 뜻을 모았다. 그리고 시험을 보러 경회동 해병대 신병훈련소를 찾아갔다.

간단한 필기시험신체검사를 마친 뒤 체력시험이 치러졌는데, 이는 기합을 얼마나 견디는지를 측정하는 단계였다. 시험관은 한 사람씩 ‘엎드려뻗쳐’를 시킨 뒤 두툼한 각목으로 엉덩이를 다섯 대씩 사정없이 내려쳤다. “바지 내려! 허리 구부려! 하나! 둘! 셋! 넷! 다섯!” 시험관의 악쓰는 소리와 퍽퍽 소리는 다음 대기자를 얼어붙게 만들었다.

하나님! 견뎌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하나님이 저와 함께하심을 믿습니다!” 마음으로 기도하며 한 대씩 매를 견뎌냈다. 문제는 그 다음이었다.

동생 승규 차례가 된 것이었다. 방위군 대열에서 낙오할 뻔한 아이를 천신만고 끝에 데려왔는데 여기서 헤어질 수는 없었다. “승규야! 이제는 떨어지면 안 되니까 꾹 참고 매를 맞아야 해. 살면 같이 살고 죽어도 같이 죽자!”

동생은 생각보다 잘 견뎌줬다. 그러나 동생이 맞는 모습을 보는 것은 내가 맞을 때보다 몇 배 아팠다. 결과는 우리 17명 모두 합격이었다. 헤어지지 않아도 된다는 기쁨에 우리는 아픈 것도 잊은 채 얼싸안고 펄쩍펄쩍 뛰었다.

이렇게 해병 6기가 됐다. 시험 장소였던 신병훈련소에서 4주간의 훈련에 들어갔다. 소문과 달리 춥고 배고프기는 이전과 별다를 바 없었다. 막사 창유리는 다 깨져 있고 그 사이로 들이치는 바닷바람은 소스라치게 차가웠다. 난로나 이불도 없었다. 추위에 몇 번씩 잠을 깨고야 새벽을 맞을 수 있었다.

훈련 또한 혹독하기 그지없었다. 깜깜한 새벽에 기상명령이 떨어지면 전기쇼크를 받은 사람들처럼 벌떡 일어나 연병장에 집결하고, 얼음장 같은 바닷물에 뛰어들어 씻는 것으로 일과가 시작됐다. 조금이라도 늦거나 꾸물거리면 바로 구둣발이 날아들었다. 종일 쉴 새 없이 뛰고 구르고 달리며 훈련을 받았다.

다행히 나는 무엇이든 빨리 배워 분대장을 맡기도 했지만 힘든 것은 마찬가지였다. 훈련은 고되고 식사는 너무 적은 터라 많아 보이는 밥그릇을 차지하기 위해 동료와 싸우는 일도 있었다.

나는 점점 짓눌려 가는 마음을 이기기 위해 모두 잠든 시간에 성경책을 읽었다. 피란과 험한 행군 가운데서도 늘 지녀 온 성경이었다. 창에 스미는 달빛을 받으며 읽었던 시편과 예언서들, 복음서와 바울서신은 말할 수 없는 위로와 평안을 줬다. 특히 창세기의 요셉 이야기를 즐겨 읽었다. 요셉도 갖은 고생을 했지만 결국 자신의 사명을 끝까지 붙들고 하나님 앞에서 정직히 행했기에 모든 이들에게 복을 주는 사람이 됐다는 이야기는 몇 번이고 되풀이해 읽었다. “그래, 요셉처럼 살아보자. 끝까지 하나님의 방법대로 살아보는 거다!”

동생 승규와 떨어지지 않고 지내는 것만도 큰 은혜라고 생각하기로 했다. 승규는 내게 삶을 지탱할 수 있는 목적이었다. 승규는 성격이 밝아서 중대장 전령병으로 발탁됐는데 중대장이 취사장에서 얻어다 주는 누룽지를 내게 가지고 와 밤에 담요를 뒤집어쓰고 나눠먹곤 했다.

그때쯤 내 인생의 기로가 된 일이 생겼다. 해병부대 본부에서 영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을 모집한다는 공고가 난 것이다.
<정리=황세원 기자 hwsw@kmib.co.kr>

 


TAG •

  1. 요강파티 - 공정식

    정식 인사발령도 없이 부임했던 김포 제1여단장 시절 잊을 수 없는 일은, 북한에 우리의 위력을 과시한 염하 상륙작전이었다. 5·16 두 달 뒤인 1961년 7월 최고회의에서 대규모 상륙작전을 실시하라는 지시가 내려왔다. 당시 한강 하구 루트로 무장 게릴라를 다수 침투시키던 북한에 경고성 시위를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Date2010.09.05 By슈퍼맨 Views5479
    Read More
  2. 22년째 변함없는 ‘해병대 사랑’

    포항 요리학원 박순늠 원장 / 국방일보 2007.01.08 집을 떠나 군생활하는 해병대1사단 장병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22년째 어머니 노릇을 하고 있는 해병 모두의 어머니가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포항요리학원 박순늠(56) 원장. 박원장이 해병대 장병들과 인연을 맺기 시작한 시기는 22년 전인 198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Date2010.09.08 By운영자 Views4775
    Read More
  3. 7번째 빨간명찰장교부부

    2006년도 국방일보 5월22일자에 소개된 빨간명찰장교부부기사입니다. 이당시 이 해병대부부의 결혼이 7번째라고 합니다. 그후에도 더 나왔는지...... 해병대 2사단 김태옥·이혜진 대위 일곱 번째 커플 / 국방일보 2006.05.22 해병대에서 일곱 번째 해병대 장교 부부가 탄생했다. 지난 20일 화촉을 밝힌 김태옥·이혜진 대위(...
    Date2010.09.09 By운영자 Views14229
    Read More
  4. 장지량 前공군참모총장의 회고록중 해병대와 공군의 다툼

    버스 노선 놓고 서로 사소한 시비 해병대의 공군 비행장 습격 불러 1966년 8월2일, 공군참모총장으로 취임한 다음 날 박정희 대통령이 진해의 대통령 별장으로 휴양차 떠나자 나는 첫 업무로 전용기에 동승, 수행했다. 미리 여의도 공항으로 나가 대통령 전용기이자 공군 1호기인 C-54기(4발 프로펠러기)와 조종사·부조종사...
    Date2010.09.09 By운영자 Views7238
    Read More
  5. 최초의 여자해병 문인순씨의 시집

    문인순씨 낙서하듯 쓴 시…50여년만에 / 국방일보 2004.12.14 6·25전쟁 때 학업을 중단하고 해병대에 입대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해병 문인순(73·제주시 용담2동)씨가 처녀 시절 낙서하듯 쓴 시를 모아 50여 년 만에 책으로 펴냈다. 문씨의 시집 ‘짧고도 긴 세월’(사진·대한출판사)에 실린 ‘서리꽃’ ‘슬픈 전설 산방산’ ‘그...
    Date2010.09.10 By운영자 Views6004
    Read More
  6. 해병대축구단에서 복무한 허정무 감독

    “정신만 똑바로 서면 어떤 어려움도 극복” / 국방일보 2010.10.01 허정무 인천유나이티드 감독이 30일 국군의 날 축하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정의훈 기자 ▲전남 진도(1955년생) ▲영등포공고 ▲연세대 학사·수원대 석사 ▲국가대표(74~86년·멕시코 월드컵 대표) ▲해병대 축구단 군 복무(78~80년) ▲네덜란드 PSV 아인트호벤(80~8...
    Date2010.10.02 By운영자 Views5618
    Read More
  7. 작지만 강한 해병’ 새 슬로건에 동의하십니까

    &lt;사진 국방일보 11월 3일자 6면 하단광고&gt; 해병대 재창설 23주년 맞아 공식 발표 해병대는 1일 재창설 23주년을 맞아 대표 표어(슬로건)로 ‘작지만 강한 해병대’를, 핵심 가치로 ‘충성’ ‘명예’ ‘도전’을 선정하고 선포식을 했다. 1949년 4월 15일 창설된 해병대는 73년 해군에 편입됐다가 87년 11월 1일 재창설됐다. 그러나 ...
    Date2010.11.02 By운영자 Views9123
    Read More
  8. 허정무 감독에게 해병대란?

    올 해 여름. 우리를 울고 웃게 만들었던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사상 첫 원정 16강의 기쁨을 국민에게 안겨준 국가대표팀의 선봉에는 허정무 감독이 있었다. 이제 인천유나이티드 감독으로 돌아온 허정무 감독을 인터뷰하기 위해 찾은 문학 경기장. 문을 열어주는 허정무 감독은 빨간 명찰을 달고 있는 취재팀을 너무나 반갑...
    Date2010.11.07 By운영자 Views5584
    Read More
  9. 해병6기 이승만교수의 역경의 열매

    역경의열매 이승만 (11) 성경 읽으며 해병대 혹독한 훈련 견뎌 / 국민일보 [2010.11.11 17:55] 서울에서 방위군으로 자원입대한 후 18일간 사선을 넘나든 끝에 훈련소인 진해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 도착했다. 1951년 1월이었다. 그곳에서 해병대라는 것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훈련은 제일 세고 가장 치열한 전투에 ...
    Date2010.11.20 By운영자 Views3833
    Read More
  10. No Image

    이대로 있어야만 합니까?

    해병대출신 홍사덕의원은 &quot;해병은 공매 맞는 군대 아냐..몇배 보복토록 내버려뒀어야&quot; 하다는 발언처럼 즉시 대응했어야 하고 더이상으로 보복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3분만에 대응사격도....즉시 대응할 수 있었던 우리 해병들이 아마 보고체계때문에 늦어졌으리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 13분이라는 긴시간동안 우리 ...
    Date2010.11.24 By안기선 Views5286
    Read More
  11. No Image

    해병대는 줄이고 자주포는 늘려야 하는데 (예비역 육군중사)

    게시글출처 : 다음 아고라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mp;articleId=1228274 해병대 감축안을 폐지하고 현행대로 유지한다는 언론 뉴스를 보고 한마디 합니다. 서해5도 다시말하면 해병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백령도,연평도에 가장 필요한것은 적의 공격을 가장 효과적 으로 방어할수있는...
    Date2010.11.27 By운영자 Views7149
    Read More
  12. 빗발치는 포격속에서 빛난 해병대의 뜨거운 전우애

    중화기 중대 김지용 상병은 다른 해병들과 함께 북한군의 포격간 마을 주민을 대피시키고 잠시 소강상태가 되자 부대로 복귀했다. 하지만 곧 2차 폭격이 시작되었고, 중대건물에 포격이 시작되며 파편으로 인해 목 파편상을 입었다. 하지만 중대 관측담당관인 김종선 상사가 김상병의 목을 지혈하고 &quot;너는 내가 반드시 살린...
    Date2010.11.27 By운영자 Views3997
    Read More
  13. 연평도의 K9자주포 해병대가 늦장대응이라고???

    연평도에서 13분 걸렸다. 평시가 아닌 전시에서. 한대에 40억하는... 정말 그런 몸값을 하는 자주포를 6대 연평도에 배치했다.(한부대가 6대) 나는 155밀리 견인곡사포를 상병떄까지 하고 군단급이라 포가 자주포로 바뀌는 경험을 했다. 덕분에 상병떄 분대장달고 다시 공부했다. 결국 전역할떄까지 K9과 살았다. 포병은 T0T...
    Date2010.11.27 By운영자 Views6110
    Read More
  14. 골수기증으로 한 생명을 살린 김성관소령을 만나다.

    “누구나 약속하기는 쉽다. 그러나 그 약속을 이행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미국의 시인이자 사상가인 에머슨 (Ralph Waldo Emerson) 이 남긴 말이다. 우리는 타인, 또는 자기 자신과 무수히 많은 약속을 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그 많은 약 속들 중 상당수는 지키지 못한 채 살아가는 것도 사실이다. 골수 기증은 적혈구, ...
    Date2010.12.01 By관리자 Views4960
    Read More
  15. 나라를 구한 섬사람들 제주해병 3,4기

    지난 9월 1일. 제주도 동문 로터리 일대에서 ‘해병대 주둔 표지석 제막식’이 열렸다. 60년 전 해병대 사령부가 주둔했음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 해병대는 1949년 12월 28일 제주도로 이동하여 한라산의 공비를 토벌하고 4·3사건으로 피폐된 제주도의 민심을 수습하는데 전력투구한다. 그러던 1950년 6월 25일 6·25전쟁이 발...
    Date2010.12.01 By관리자 Views45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2 Next
/ 2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