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110 추천 수 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연평도에서 13분 걸렸다.

평시가 아닌 전시에서. 한대에 40억하는...

정말 그런 몸값을 하는 자주포를 6대 연평도에 배치했다.(한부대가 6대)

 

나는 155밀리 견인곡사포를 상병떄까지 하고

군단급이라 포가 자주포로 바뀌는 경험을 했다.

덕분에 상병떄 분대장달고 다시 공부했다.

결국 전역할떄까지 K9과 살았다.

 

포병은 T0T사격이라는 것이 있다. 6문이 동시에 적진에 발사하는 것인데,

K9자주포는 혼자 할 수 있다.

다시말해 전시에는 155밀리 곡사포가 36대할일을 6대가 할 수 있다.

가신들고, 발톱 뭍고 할 일이 없다.

인원도 많이 필요없다. 자동방열도 가능하고 기동성이 뛰어나다.

그런 자주포를 운용하는 연평도 해병대부대에서 13분이 걸렸다.

 

그럼 왜 13분이나 걸렸을까...

K9자주포는 탄이 완료되어있고, 대원들이 탑승시에는 제원만 기다리면 된다.

포반장과 조종수가 포의 방열방향을 교신하기 떄문에

그리 오래 걸리지 않고 포를 돌릴 수 있다.

 

제원하달...음. FDC... 글세...제원이 늦게 떨어졌을까?

포병을 했던 사람은 다 알겠지만 포병은 포를 쏘고

목표를 완파하면(훈련) 포 진지를 이동한다.

아주 신속하게. 2년동안 이동준비라는 말을 질릴듯 들었고, 했다.

 

FDC제원도 그리 늦게 나오지 않는다.

상병장이 전부 휴가를 가지 않는이상은...

또한 포탄을 자동장전할 수 있는 큰 덩치의 장갑차가 있다.

 

전시였다.

북한이 포를 쏴대는 와중에 13분만에 적진에 포를 쐈다.



내 생각에는 아마 작전체계에서 명령하달 시간이 좀 걸리지 않았을까 싶다.

 

K9은 13분만에 쏠래야 쏠수가 없는 자주포다.

대에 40억하는 자주포를 운용하는 ...

그것도 최정예부대 해병대가 팀웍이 안 맞았을까?

포병의 최고 멋진 모습은 팀웍이 잘 맞아서

포탄을 가장 빨리 쏘는 내무반(포대)이다.

연평도 최전방에서 밥먹듯 훈련할 그들이 과연 늦장부리며 포를 쐈을까.

 

보병은 눈앞에(사격가능거리) 적이 있어서

실수로 한발 쏴도 전력에 크게 손상이 가지 않는다.

포병은 포탄 하나 쏠려면 명령하달 기다리고, 제원받고,

포 돌리고 가신 돌리고, 그 다음에 장전을 하고 쏜다.

(물론 K9자주포는 제원만 하달되면 좀 빠르다는 특징이 있긴 하다)

 

KH-179 155mm 견인 곡사포를 주특기로 했고, k9자주포를 상병떄부터 했다.

좀 더 뉴스를 봐야 늦게 쐈다는 그 이유를 알겠지만 총알도 아니고

포탄이 날라오는 상황에서 13분 걸린 건 정말 침착하게 잘 대응했다고 생각한다.

 

또한 잠시 몸을 피했다가 두번쨰 응사했다는 것도 참 잘했다고 생각한다.

살상반경이 워낙 크기에 상황을 장기적으로 봤을떄 참 잘했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80여발을 응사했다고 하는데 K9의 포탄 유효살상반경은 엄청나다

.

어지간한 포탄하고 비교하면 안된다.

80여발이면 어지간한 대대급은 개작살 날 정도의 화력이다.

물론 사격방식에 따라 다르겠지만.

( 쉽게 말해서 수학용어?로 교집합으로 몰아서 쏘냐..합집합으로 ...뭐 이런거)

뭐 전쟁이라도 바라냐? 80여발이면 교전수칙에 맞게 적절했다.

 (주변 화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지만...)

 

포병은 평시 북한과 남한이 서로의 진지를 겨누고 있다.

그래서 이등병떄 나는 이렇게 교육 받았다.

"초탄을 5분이내에 쏘아올리는 실전과 같은 비사격훈련을 앞으로 할 것이다"

 

북한에서 쏘든 남한에서 쏘든 날아오는 시간내에 서로 쏴야 한다.

그래서 포병은 2년동안 비사격 훈련을 수도 없아 한다.

보병이 죽어라 걷듯, 포병은 죽어라 방열훈련을 한다.

그래서 자주포에 전 인원이 탑승상태였다면 뭔가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포탄이 날라오는 실전에서 침착하게 포를 쏜 연평도해병대부대가 난 너무 자랑스럽다.

 

어떤 기사에서 늦장대응이라는 기사를 본 순간,

지금도 사지에서 목숨걸고 있는 그들이 떠올라 울컥해서 쓴다.

사망자가 발생했다. 내가 눈으로 안 봐서 짐작컨데,

해병대기에 겨우 그정도 죽었다고 생각한다.

 

당나라 부대가 요즘 얼마나 많은가.

아마 탄 날라오고 쾅! 소리나면 오합지졸부대 꽤 많을 것이다.

그나마 얼차려받고, 기합 든 그들이기에 더욱 적은 사상자가 나왔으리라 생각한다.

 

내 친한 동생도 백령도에서 첫 휴가 나왔다가 전화왔다.

"형,저 복귀할려고 합니다. 다음 휴가때 뵈요."

 

조기복귀라... 후... 씨발...군대가는게 죄냐?

멋지고 불쌍한 내동생...

탁상공론 하지말고... 제발... 더이상의 사상자가 나오지 않으면 좋겠다.

 

연평도해병대를 비롯,

지금 이시간에 진돗개하나 상황에서 부모형제 생각하며 실탄장전하고 있을

전방의 모든 동생들에게 응원을 보낸다.

 

병역기피? 이 ㅆㅂ 것들. 다 뒈지고 ㅈㄹ 해라.

 

 

 

추가-------------------------------

 

기사가 떳네~! 그럼 그렇지 .

국방부 발표에 의하면 훈련이 끝난뒤 정비중이었으며,

북한의 선제공격으로 두문은 공격으로 파손되었고

일단 대원들이 피신했다가 포 이동하고 초탄 발사했다고 한다.

 

그럼 그렇지. 늦을이유가 없지!

그렇다면 정말 초기대응 잘 한거다.

간혹 무개념들은 북한의 포진지 이동이 있으면

미리 대응했어야 한다고 하는데

하루이틀 북한이 움직거리는 것도 아닌데 공격징후인줄 아는가.

우리가 진지 이동해서 1분만에 쐈다고 한다.

 

제발 자기들 군시절 떠올리며 자지는 어쩌네 ...하며 늦장대응이라 말하지마라.

군시절 실사격들은 다 상황이 준비된 것들이다. 이번 대처는 정말 최선을 다한 것임을 알자.

 

 

***사진출처 : 날아라 마린보이

***출처 : http://blog.daum.net/haseullin/14640458

 

 

 


  • 소닉 2012.09.05 19:15

    역시 늦장대응이 아니었네요~ 보면서 왜그랬을까 생각햇는데 이런이유였네요 감사합니다~~


  1. 요강파티 - 공정식

    정식 인사발령도 없이 부임했던 김포 제1여단장 시절 잊을 수 없는 일은, 북한에 우리의 위력을 과시한 염하 상륙작전이었다. 5·16 두 달 뒤인 1961년 7월 최고회의에서 대규모 상륙작전을 실시하라는 지시가 내려왔다. 당시 한강 하구 루트로 무장 게릴라를 다수 침투시키던 북한에 경고성 시위를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Date2010.09.05 By슈퍼맨 Views5479
    Read More
  2. 22년째 변함없는 ‘해병대 사랑’

    포항 요리학원 박순늠 원장 / 국방일보 2007.01.08 집을 떠나 군생활하는 해병대1사단 장병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22년째 어머니 노릇을 하고 있는 해병 모두의 어머니가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포항요리학원 박순늠(56) 원장. 박원장이 해병대 장병들과 인연을 맺기 시작한 시기는 22년 전인 198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Date2010.09.08 By운영자 Views4775
    Read More
  3. 7번째 빨간명찰장교부부

    2006년도 국방일보 5월22일자에 소개된 빨간명찰장교부부기사입니다. 이당시 이 해병대부부의 결혼이 7번째라고 합니다. 그후에도 더 나왔는지...... 해병대 2사단 김태옥·이혜진 대위 일곱 번째 커플 / 국방일보 2006.05.22 해병대에서 일곱 번째 해병대 장교 부부가 탄생했다. 지난 20일 화촉을 밝힌 김태옥·이혜진 대위(...
    Date2010.09.09 By운영자 Views14229
    Read More
  4. 장지량 前공군참모총장의 회고록중 해병대와 공군의 다툼

    버스 노선 놓고 서로 사소한 시비 해병대의 공군 비행장 습격 불러 1966년 8월2일, 공군참모총장으로 취임한 다음 날 박정희 대통령이 진해의 대통령 별장으로 휴양차 떠나자 나는 첫 업무로 전용기에 동승, 수행했다. 미리 여의도 공항으로 나가 대통령 전용기이자 공군 1호기인 C-54기(4발 프로펠러기)와 조종사·부조종사...
    Date2010.09.09 By운영자 Views7238
    Read More
  5. 최초의 여자해병 문인순씨의 시집

    문인순씨 낙서하듯 쓴 시…50여년만에 / 국방일보 2004.12.14 6·25전쟁 때 학업을 중단하고 해병대에 입대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해병 문인순(73·제주시 용담2동)씨가 처녀 시절 낙서하듯 쓴 시를 모아 50여 년 만에 책으로 펴냈다. 문씨의 시집 ‘짧고도 긴 세월’(사진·대한출판사)에 실린 ‘서리꽃’ ‘슬픈 전설 산방산’ ‘그...
    Date2010.09.10 By운영자 Views6004
    Read More
  6. 해병대축구단에서 복무한 허정무 감독

    “정신만 똑바로 서면 어떤 어려움도 극복” / 국방일보 2010.10.01 허정무 인천유나이티드 감독이 30일 국군의 날 축하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정의훈 기자 ▲전남 진도(1955년생) ▲영등포공고 ▲연세대 학사·수원대 석사 ▲국가대표(74~86년·멕시코 월드컵 대표) ▲해병대 축구단 군 복무(78~80년) ▲네덜란드 PSV 아인트호벤(80~8...
    Date2010.10.02 By운영자 Views5618
    Read More
  7. 작지만 강한 해병’ 새 슬로건에 동의하십니까

    <사진 국방일보 11월 3일자 6면 하단광고> 해병대 재창설 23주년 맞아 공식 발표 해병대는 1일 재창설 23주년을 맞아 대표 표어(슬로건)로 ‘작지만 강한 해병대’를, 핵심 가치로 ‘충성’ ‘명예’ ‘도전’을 선정하고 선포식을 했다. 1949년 4월 15일 창설된 해병대는 73년 해군에 편입됐다가 87년 11월 1일 재창설됐다. 그러나 ...
    Date2010.11.02 By운영자 Views9123
    Read More
  8. 허정무 감독에게 해병대란?

    올 해 여름. 우리를 울고 웃게 만들었던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사상 첫 원정 16강의 기쁨을 국민에게 안겨준 국가대표팀의 선봉에는 허정무 감독이 있었다. 이제 인천유나이티드 감독으로 돌아온 허정무 감독을 인터뷰하기 위해 찾은 문학 경기장. 문을 열어주는 허정무 감독은 빨간 명찰을 달고 있는 취재팀을 너무나 반갑...
    Date2010.11.07 By운영자 Views5584
    Read More
  9. 해병6기 이승만교수의 역경의 열매

    역경의열매 이승만 (11) 성경 읽으며 해병대 혹독한 훈련 견뎌 / 국민일보 [2010.11.11 17:55] 서울에서 방위군으로 자원입대한 후 18일간 사선을 넘나든 끝에 훈련소인 진해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 도착했다. 1951년 1월이었다. 그곳에서 해병대라는 것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훈련은 제일 세고 가장 치열한 전투에 ...
    Date2010.11.20 By운영자 Views3833
    Read More
  10. No Image

    이대로 있어야만 합니까?

    해병대출신 홍사덕의원은 "해병은 공매 맞는 군대 아냐..몇배 보복토록 내버려뒀어야" 하다는 발언처럼 즉시 대응했어야 하고 더이상으로 보복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3분만에 대응사격도....즉시 대응할 수 있었던 우리 해병들이 아마 보고체계때문에 늦어졌으리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 13분이라는 긴시간동안 우리 ...
    Date2010.11.24 By안기선 Views5286
    Read More
  11. No Image

    해병대는 줄이고 자주포는 늘려야 하는데 (예비역 육군중사)

    게시글출처 : 다음 아고라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1228274 해병대 감축안을 폐지하고 현행대로 유지한다는 언론 뉴스를 보고 한마디 합니다. 서해5도 다시말하면 해병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백령도,연평도에 가장 필요한것은 적의 공격을 가장 효과적 으로 방어할수있는...
    Date2010.11.27 By운영자 Views7149
    Read More
  12. 빗발치는 포격속에서 빛난 해병대의 뜨거운 전우애

    중화기 중대 김지용 상병은 다른 해병들과 함께 북한군의 포격간 마을 주민을 대피시키고 잠시 소강상태가 되자 부대로 복귀했다. 하지만 곧 2차 폭격이 시작되었고, 중대건물에 포격이 시작되며 파편으로 인해 목 파편상을 입었다. 하지만 중대 관측담당관인 김종선 상사가 김상병의 목을 지혈하고 "너는 내가 반드시 살린...
    Date2010.11.27 By운영자 Views3997
    Read More
  13. 연평도의 K9자주포 해병대가 늦장대응이라고???

    연평도에서 13분 걸렸다. 평시가 아닌 전시에서. 한대에 40억하는... 정말 그런 몸값을 하는 자주포를 6대 연평도에 배치했다.(한부대가 6대) 나는 155밀리 견인곡사포를 상병떄까지 하고 군단급이라 포가 자주포로 바뀌는 경험을 했다. 덕분에 상병떄 분대장달고 다시 공부했다. 결국 전역할떄까지 K9과 살았다. 포병은 T0T...
    Date2010.11.27 By운영자 Views6110
    Read More
  14. 골수기증으로 한 생명을 살린 김성관소령을 만나다.

    “누구나 약속하기는 쉽다. 그러나 그 약속을 이행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미국의 시인이자 사상가인 에머슨 (Ralph Waldo Emerson) 이 남긴 말이다. 우리는 타인, 또는 자기 자신과 무수히 많은 약속을 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그 많은 약 속들 중 상당수는 지키지 못한 채 살아가는 것도 사실이다. 골수 기증은 적혈구, ...
    Date2010.12.01 By관리자 Views4960
    Read More
  15. 나라를 구한 섬사람들 제주해병 3,4기

    지난 9월 1일. 제주도 동문 로터리 일대에서 ‘해병대 주둔 표지석 제막식’이 열렸다. 60년 전 해병대 사령부가 주둔했음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 해병대는 1949년 12월 28일 제주도로 이동하여 한라산의 공비를 토벌하고 4·3사건으로 피폐된 제주도의 민심을 수습하는데 전력투구한다. 그러던 1950년 6월 25일 6·25전쟁이 발...
    Date2010.12.01 By관리자 Views45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2 Next
/ 2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