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 소방대장 김대훈 중사를 만나다

by 운영자 posted May 31,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001.jpg
해병대 하면 많은 사람들이 빡빡 민 특유의 머리와 빨간 명찰, 강한 군기, 상륙 작전으로 대표되는 강도 높은 훈련을 떠올리게 마련이다. 하지만 그런 해병대 역시 완벽한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원활한 군수 및 다른 분야에서의 지원이 필수적. 해병대의 화재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소방대장 김대훈 중사를 만나 보았다.

Q. 어떻게 하여 직업군인의 길을 걷게 되었나.

A. 가족들 중 군인이 많았다. 집안 어른 중 한 분이 현재 육군 소장으로 계시고, 사촌 형님이 해병대 부사관으로 계셨다. 휴가 나오신 사촌 형님의 해병대 군복과 특유의 군인다운 어조에 매력을 느껴 왔고, 결국 나 역시 1992년에 해병대 부사관으로 임관했다.


Q. 처음 임관하였을 때부터 평생 직업군인의 길을 걷겠다고 생각하였나.

A. 솔직히 그렇지는 않았고, 의무복무 기간을 마친 뒤 전역할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1997년 공병대대에서 근무하던 때 학교 후배 한 명이 병사로 입대하여 나의 소대원으로 왔는데, 이 후배와 많은 대화를 나누며 직업군인으로서 대원들을 이끌어 나가는 데 대한 매력, 군 생활과 훈련의 묘미를 새로이 느끼게 되어 장기 복무를 결심하였다. 때마침 닥쳐 왔던 IMF 경제난 때문에 이 길을 선택한 것은 아니다.

Q. 지금까지 걸어온 군 생활의 경력은.

A. 92년 임관하여 공병 병과를 배정받아 6년 동안 공병중대에서 근무하였고, 4년 동안 백령도 근무를 한 뒤 상륙지원대대에서도 3년간 근무하다가 현재의 소방대장 임무에 이르고 있다.

Q. 소방대의 역할과 현황을 소개해 달라.

A. 사실 우리가 소방대이기는 하지만 부대 안에서 일어나는 화재를 진압할 일은 거의 없다. 군사 시설에 소방차가 출동하여 화재 진압을 하여야 할 정도의 큰 불이 일어난다면 그야말로 큰일 아니겠나(웃음). 따라서 평상시의 주된 화재 진압 활동은 민간에서 일어난 화재 진압의 지원을 나가는 것이다. 1년에 100회 정도 지원을 나가고 있으며, 공용화기사격 훈련을 할 때에도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여 현장 대기를 한다. 산불 예방 활동을 병행함과 함께 월 1회 부대원에 대한 화재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소방대 인원은 두 명의 간부와 열세 명의 병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네 대의 소방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Q. 근무 특성상 일상적인 일과 시간이나 주5일제 근무 등이 적용되지 않을 것 같은데, 근무 형태는 어떠한가.

A. 그렇다. 화재라는 것이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24시간 출동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비번인 간부도 늘 5분 대기와 같은 개념으로 부대 인근 지역을 벗어나지 않는다. 특히 매년 10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의 기간은 화재 빈발 기간이어서 각별히 비상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Q. 최근에도 화재 진압 작전을 나간 적이 있나.

A. 그렇다. 며칠 전에도 인근의 한 마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민간 소방서와 합동 진압 작전을 펼쳤다. 작년에는 인근 대보 지역에 큰 산불이 발생하여 17시에 출동해서 다음날 오전 10시에 복귀한 적도 있고(웃음), 제철소에서 일어난 화재 진압을 나가기도 하였다. 소방서와 자매결연이 맺어져 있어, 바깥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명령 계통을 거쳐 소방대에 출동 지시가 떨어진다.
 
 
 
Q. 소방대원에게 하고 싶은 당부의 말은.

A. '당부의 말’은 다소 권위적이라는 느낌이 들어 하고 싶지 않다. 어려운 여건에서 대장과 반장을 믿어 주고, 선후임끼리 서로 아껴 주며 사랑해 주는 대원들이 고맙다. 건강한 모습으로 사회에 나가서 훌륭한 사회 구성원이 되었으면 좋겠다.

☞ 글/사진 : 김준석 블로그 기자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