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조부ㆍ아버지ㆍ아들ㆍ딸, 3대를 잇는 해병대 부사관 가족
- 가족 중 현역ㆍ예비역 해병대 부사관만 13명
- 현역으로 근무 중인 7명의 근무기간을 더하면 100년

“같은 군복을 입고 아버지의 뒤를 잇는다는 것이 자랑스럽습니다.
” 한 집안에 아버지와 아들, 딸을 비롯해 7명이 현역 부사관으로 근무 중이고 7명의 예비역(부사관 전역 6명, 병 전역 1명)까지 포함한다면 3대에 걸쳐 총 14명이 해병대에 몸담고 있는 가족이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주인공은 해병대 상륙지원단 상륙지원대대 주임원사로 근무하고 있는 문성탁 원사(46세, 해병대 부후 177기)의 가족으로 주위에서는 문 원사 가족을 ‘해병대를 위해 살고 또 해병대 때문에 사는 가족’으로 부르고 있다.

3대를 잇는 해병 가족

문성탁 원사의 장인(故 김태중, 81년 작고, 예비역 중사)은 해병대 헌병 부사관으로 베트남전에도 2차례 참가했으며 중사로 전역 했고, 문성탁 원사는 ’85년도에 임관해 현재는 해병대 주 임무인 상륙작전을 지원하는 상륙지원대대에서 주임원사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문성탁 원사는 슬하에 2남 2녀를 두고 있다.
이들 중 장녀인 문라원 하사 (22세, 해병대 부후 318기)와 큰아들 문찬호 하사(21세, 해병대 부후 323기)가 모두 해병대 부사관으로 아버지의 뒤를 잇고 있다.
아버지를 포함한 해병대에 근무 중인 주변 친척들의 멋있는 모습이 이들을 자연스럽게 해병대로 이끈 것. 이뿐만이 아니다.

해병대보다 더 해병대를 사랑하는 나머지 세 명의 가족이 문성탁 원사 가족을 진정한 해병대 가족으로 완성시키고 있다.
문 원사의 부인 김수빈씨(43세)는 “해병대가 아니면 절대 시집ㆍ장가를 보내지 않겠다. ”고 못 박아 둔 상태이고, 아직 중학생인 막내아들 문석현(14세)군은 “기필코 해병대에 입대하겠다.”며 해병이 될 날만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100년 = 현역에 있는 가족들이 복무한 시간
해병대 부사관으로 근무 중인 가족이 7명에 달하다 보니 근무지도 직책도 다양하고 이들이 해병대와 함께한 시간을 더하면 총 100년에 달한다.

문성탁 원사는 현재 현역으로 근무하는 가족 중 27년으로 가장 오랜 기간을 해병대와 함께해 왔고 가족 중 가장 늦게 군문에 들어선 문찬호 하사까지 가족 7명의 근무기간을 모두 합치면 정확히 100년이다.
또한 전역한 7명이 해병대와 함께한 기간까지 합하면 150년을 훌쩍 넘긴다.
현역에 복무중인 이들은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포항에 이르기까지 동ㆍ서해를 넘나들며, 전역한 이들은 사회 각 분야에서 해병대의 자부심을 가지고 생업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둘이 합쳐 11단, 무에타이 남매
문라원ㆍ찬호 남매는 ‘남매 해병’이라는 사실 외에도 ‘무에타이 남매’로도 유명하다.
두 명 모두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해병대에 입대하기 전까지 각각 12년 동안 무에타이를 함께 연마해 왔다.
격투기 사범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이 둘의 무에타이 실력은 취미활동의 수준을 가뿐히 뛰어 넘는다.

누나 문라원 하사의 경우 격투기 4단으로 ’08년 격투기 한국 주니어미들급 챔피언 및 각종 전국대회 입상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태권도 1단, 무적도 1단으로 부대에서 무적도(해병대 특공무술) 교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동생 문찬호 하사 역시 격투기 4단, 태권도 1단이며 어렸을 때부터 격투기 대회에서 수 차례 수상했고 지난 ’08년도에는 국내 신인왕에 오르기도 했다.

가족 중에 해병대가 많다보니 에피소드도 많다고 한다.
한자리에 모이면 해병대이야기로 시작해서 해병대이야기로 끝나다 보니 이제는 누가 해병인지 헷갈릴 정도이고 과장이 심한 무용담은 절대 존재 할 수 없다고 한다.

문라원 하사는 “집에서는 아침에 출근을 하기위해 방문을 열다가 군복을 입고 안방에서 나오시는 아버지를 보고 깜짝 놀라 경례를 한 일도 있었고, 친척오빠와 연인으로 오해받는 웃지 못 할 에피소드도 있었다. ”라고 말했다.

웃고 넘기는 일만 있다면 좋겠지만, 간혹은 가족관계라는 사실을 모르는 다른 사람들이 가족에 대한 섭섭함을 솔직히 얘기할 때에는 당혹스럽기도 하다고 입을 모았다.

해병대에 몸담고 있는 지금이, 최고의 순간!

문성탁 원사는 “우리가 해병대에 몸담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인생에 있어가장 훌륭한 모험을 할 수 있는 최고의 순간이니 다소 어려움이 있더라도 목적지에 다다를 때까지 멈추지 말고 꿋꿋하게 나가자.”는 말로써 사랑하는 가족임과 동시에 해병대라는 이름으로 함께하고 있는 가족 모두에 대한 신뢰와 사랑을 표현했다.

문라원 하사는 “내 인생의 레드 카펫이 되어준 해병대를 사랑하고 주어진 임무에 더욱 충실할 것이며, 다시 태어나도 자부심과 사명감을 가지고 이 레드카펫을 다시 밟을 것이다.

”라며 해병대에 대한 사랑을 표현했다.

해병대가족.jpg

<사진> 문성탁 원사 가족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 오른쪽 부터 문성탁 (46세, 해병대 부후 177기)상륙지원대대 주임원사, 장녀 문라원 하사(23세, 해병대 부후 318기), 문찬호 하사(22세, 해병대 부후 323기)

 

◆ 아래 사진은 2010년 상륙지원대대취재시에 만난 문라원하사

DSC_6693.jpg


TAG •

  1. 45년전 135명이 무임승차한 기차값입니다.

    (대전=연합뉴스) 45년 전인 1966년 8월 이맘 때 해병학교 시절 단체로 무임승차한 빚을 갚기 위해 김무일(金武一.67.전 현대제철 부회장)씨와 고광호, 엄준걸씨 등 예비역 장교 일행이 11일 대전 코레일 본사를 찾아 허준영사장에게 100만원을 건네고 있다. < < 코레일ㆍ지방기사 참고 > > 2011.8.11 ▲ 공군과 해병대의 난투...
    Date2011.08.13 By배나온슈퍼맨 Views3476
    Read More
  2. 포항 김원일, 그라운드서 외치는 "나는 해병이다"

    포항 홈경기에 가면 언제나 500~2000여명의 해병대가 있다. 이들은 스틸야드 본부석 맞은편 2층에서 열렬한 응원과 함께 군가 '팔각모 사나이'를 부르며 분위기를 띄운다. 오랜 병영 생활에 지친 해병대에게 포항 축구는 그동안의 스트레스를 날려버릴 수 있는 활력소다. 이런 해병대를 열광하게 하는 사람이 있다. 관중들 ...
    Date2011.08.08 By배나온슈퍼맨 Views4976
    Read More
  3. 재향군인회 신원배 사무총장(예비역 해병소장), 국군방송 인터뷰

    재향군인회 신원배 사무총장, 국군방송 인터뷰... '2011 범국민 안보공감 캠페인'통해 안보경각심 고취 ▲ 신원배 사무총장. ⓒkonas.net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신원배(예, 해병소장) 사무총장은 향군이 금년 들어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2011 범국민 안보공감 캠페인'에 대해 "2012년은 6·25전쟁 이후 최대의 안보위기가 ...
    Date2011.07.27 By김종영 Views3815
    Read More
  4. 또 다른 해병이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 老해병의子

    해병 6기(병 이후 부사관이셨던듯 합니다)이신 제 아버지께서 지난 17일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병상에서도 얼마전 있었던 총기사건을 전해 들으시고 '피를 나눈 전우들간에 그게 무슨일이냐'며 격분과 탄식을 하시던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지금이라도 병원에 가면 계실것만 같습니다. 아버지 복무시절엔 단체기합과 병행되...
    Date2011.07.21 By배나온슈퍼맨 Views3060
    Read More
  5. 끝장토론, 해병대 김상병 '가해자인가 피해자인가' 다뤄

    tvN '백지연의 끝장토론'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총기사건 김상병, 가해자인가 피해자인가'를 주제로 토론을 진행한다r고 합니다. 김기남 전 해병대2사단장이 출연한다고 합니다. [엑스포츠뉴스=이준학 기자] tvN '백지연의 끝장토론'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총기사건 김상병, 가해자인가 피해자인가'를 주 제로 토론...
    Date2011.07.13 By운영자 Views8991
    Read More
  6. 해병대는 제대해도 괴롭힌다. 치약뚜껑 머리박기…

    [국민일보 쿠키 사회] 자살과 총격사건 등으로 부대 내 구타와 성추행, 기수열외 등이 문제로 떠오른 해병대에 대해 잇따라 더 심한 가혹행위도 있었다는 네티즌들의 증언이 터져나오고 있다. 이들이 트위터와 각종 인터넷 게시판에 올린 글들에 따르면 100일 휴가 때 해병이 아닌 육군 일반병 군번줄 빼앗아오기, 치약뚜껑...
    Date2011.07.11 By운영자 Views10607
    Read More
  7. No Image

    "해병대 철조망은 녹슬어도 기수는 녹슬지 않는다"

    밑의 글에 6연대라고 글이 잘못 올려져 있길래 댓글을 달고 총기사고 관련기사사 있어 올려봅니다. 기수열외에 대한 기사인데 이번 사고로 언론을 통해 다뤄지는 해병대의 모습이 사고 자체를 떠나 해병대에 여러 부분에 대해 정확하지 않은 기사와 추측으로 보도되는 사례가 많이 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럴때일수로...
    Date2011.07.05 By이대용 Views9013
    Read More
  8. No Image

    강화6연대 총기난사

    0. 아 참 안타깝다 0. 595기인데 이거 참 선임을 인정않하는 선임병열외 왜 이리되었을까 0. 고문관이나 정말꼴통이 그당시도 분명존재했고 그사람이 선임병이 이라도 무조건 선임이었는데 0. 그래서 기수가 깡패였는데 0. 고문관이라고 꼴똥이라고 선임병열외라니 0. 요즘해병들 이야기를 들어봐야겠지만 더럽더라도 참아야...
    Date2011.07.05 By오구오 Views6545
    Read More
  9. 1975년 감포 60분초 간첩침투사건

    1975년 감포 간첩침투사건을 상기하며 쓴 수기로 보여집니다. 당시 사건으로 인해 해병대의 위상과 자존심에 많은 상처를 입었으나 1983년 71대대(당시 김명환대대장)가 양남에서 침투간첩 5명을 사살함으로서 명예회복을 하게됩니다. (이 게시글의 작자를 찾습니다. 원 게시물을 찾으려 했으나 쉽지 않네요. 아시는 분 연락...
    Date2011.07.02 By운영자 Views7480
    Read More
  10. KCTC에 참가한 해병대 부대들

    지난주 육군과학화훈련단에 취재차 들렸다가 KCTC 과학화훈련 체험부대 기록이 있기에 해병대관련 부분만 찾아보았습니다. 해병대는 KCTC에 2006년부터 1년에 1개대대가 참석, 총5개대대가 KCTC 훈련을 체험했습니다. 올해는 9월에 협조회의를 마무리하고 10월중에 참가할 것 같습니다. KCTC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현재 여단...
    Date2011.06.27 By운영자 Views14442
    Read More
  11. 한국 해병대의 산증인 공정식 전 해병대사령관이 말하는 ‘6·25’

    “인천상륙작전 성공은 우리 해군 첩보대의 힘” 1950년 6·25전쟁을 겪은 이들은 “아직 이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고 말한다. 조국은 여전히 분단돼 있고 지난해 천안함·연평도 사건에서 보듯 북한의 도발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6·25 발발 61주년을 맞아 23일 서울 용산 해병대기념관에서 만난 공정식(87) 전 해병대 사령...
    Date2011.06.25 By운영자 Views3108
    Read More
  12. 내가겪은 6·25-도솔산 전투 영웅 강복구 해병중위

    “한국 해병대가 아니었다면 이 전략적 요충지를 수중에 넣지 못했을 것이다”라는 극찬이 쏟아진 전투. `무적해병'의 칭호를 얻음으로써 대한민국 해병대의 위상을 드높인 도솔산 전투는 해병대 5대 작전 중 하나로 기록돼 있다. 1951년 6월 4일부터 20일까지 17일 동안 격전의 현장에서 눈부신 활약을 펼친 강복구(당시 중위...
    Date2011.06.22 By운영자 Views4514
    Read More
  13. 해병인생 살아온 제주女해병 강인숙씨

    남편은 해병 4기 동기, 두 아들도 해병 / 2010.08.31 14:18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훈련받다가 몽둥이로 맞을 때가 제일 기억에 남아. 한 사람만 잘못해도 전체기합을 받으며 툭하면 몽둥이로 맞았지." '제주해병의 날'을 하루 앞둔 31일 군번 '91092'인 해병 4기 강인숙(75.여.제주시 오라동)씨는 6.25한국전쟁 발...
    Date2011.06.09 By운영자 Views5269
    Read More
  14. 역대 해병대 사령관들은 해병대의 해체를 몰랐을까?

    과연 역대 해병대 사령관들은 해병대의 해체를 모르고 있었을까? 비록 오래 전의 일이나 그 사실이 올바른 내용이었건 잘 못된 내용이었건 우리는 그 지난 일, 특히 잘못된 내용 등은 그 사실을 교훈삼아 다시는 같은 일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사나 과거사를 연구하고 있음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물론 여기에...
    Date2011.06.09 By운영자 Views6839
    Read More
  15. 해병대 출신 권오갑 사장의 `연평도 사랑`

    지난 27일 인천 항동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연평도로 향하는 여객선 '미래호'에 대형 냉장고 등 800만원어치의 전자제품과 급식 설비가 실렸 다. 현대오일뱅크가 연평초 · 중 · 고교에 보내는 물품이었다. 지난 4월 말 김태경 노조위원장과 박병규 생산지원부문장이 연평도를 찾아 설비를 보내겠다고 약속한 뒤 변덕스러운 날...
    Date2011.06.01 By운영자 Views656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2 Next
/ 2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