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지역 근무자, 국내고엽제 피해 인정기간 72. 1. 31까지 연장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DMZ 지역에 근무한 군인 등의 고엽제 피해 인정기간을 종전 1970년 7월 31일에서 1972년 1월 31일로 18개월 연장한다고 밝혔다.

 

 12일(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이번「고엽제후유의증 등 환자지원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이하 “고엽제법”) 개정안은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공포 즉시 시행하게 된다.

 

 개정 전에는 국내 고엽제 인정기간을 ‘67. 10. 09.부터 최종 살포일 후 12개월까지(‘70. 7. 31)로 정하였으나 이 기간 이후 DMZ 근무자 중에도 고엽제후유(의)증 해당 질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미국 정부가 DMZ지역에서 복무한 주한미군에 대하여 고엽제 피해 인정 기간을 1971년 8월 31일까지 연장(2011.2)한 점 등을 고려하여 국내 고엽제 인정기간을 최종 살포일 후 2년 6개월간 (’72.1.31.)으로 연장하게 되었다. 이번 개정으로 800여 명 정도가 고엽제후유(의)증 환자로 등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 미국 DMZ 고엽제 인정기간 : ‘68.4.1.∼71.8.31. (최종 살포일로부터 2년 1개월간 인정)

 

 국내 고엽제 환자 등록을 원하는 경우 진단서(또는 소견서), 반명함판 사진 1장, 병적증명서를 지참한 후 주소지 관할 보훈관서로 신청하면 된다. 이후 사실 확인, 고엽제환자 검진, 신체검사를 거쳐 고엽제후유(의)증 환자로 결정되면 보상금, 대부, 교육, 취업 및 의료지원 등을 받을 수 있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신성한 국방 의무 수행 중 발생한 질병으로 고통 받는 국민을 국가가 끝까지 보호하여 국가의 책무를 다하고, 국민들이 국가에 대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1. No Image

    2014 국방부 업무보고 보도자료(국방부)

    ‘굳건한 국방태세로 평화통일 기반 구축’ 2014년 국방부 업무보고 - 국지도발 및 전면전 동시 대비로 적의 도발에 즉각 대응 - 핵‧WMD 대응능력 강화, 조건에 기초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추진 - 민‧군기술협력 활성...
    Date2014.02.06 By운영자 Views2748
    Read More
  2. 굴절형화기

    굴절형화기
    Date2014.02.02 By운영자 Views2429
    Read More
  3. No Image

    [국방부] 대한민국 수호자 3 (의장대, The Honor Guard of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국방부] 대한민국 수호자 3 (의장대, The Honor Guard of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2013년 여름, 국방부에서 제작한 대한민국 수호자 우리국군의 홍보영상입니다. 국방부와 각 군 의장대의 절도 있는 모습을...
    Date2014.02.02 By운영자 Views2700
    Read More
  4. 북한의 ‘남북관계 개선’ 주장의 저의

    제3주차 시사안보 - 북한의 ‘남북관계 개선’ 주장의 저의 ■ 매년 반복되는 북한의 화전양면 전술 북한 김정은은 지난 1월 1일 신년사를 통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분위기 조성”을 언급하며, 남북간 대결 해소 및 대...
    Date2014.01.12 By운영자 Views2670
    Read More
  5. 2014년, 靑馬의 해 맞아 힘차게 전진하자!

    2014년, 청마(靑馬)처럼 전투의지가 충만한 전사로 거듭나자. ■ 靑馬, 힘찬 기상과 용맹스러움의 상징 2014년 갑오년(甲午年) 새해가 시작됐다. 육십갑자에서 천간(天干)의 ‘갑(甲)’은 청색을, 지지(地支)의 ‘오(午)’...
    Date2014.01.06 By해순이 Views2610
    Read More
  6. 김관진 국방부 장관 2014년 신년사 (장관서신 제19호)

    친애하는 국군장병과 국방가족 여러분! 희망찬 갑오년(甲午年) 새해를 맞아 여러분의 부대와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또한 지금 이 시각 전·후방 각지와 해외에서 국가안보와 세계평화를 위해 헌...
    Date2014.01.01 By운영자 Views2200
    Read More
  7. No Image

    군복 및 군용장구의 단속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국방부)

    ⌜군복 및 군용장구의 단속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 - 제조업 허가 시설기준 중 도금시설 등 일부 삭제 - 행정정보 공동이용으로 확인할 수 없는 신원증명은 공동이용 대상에서 삭제 ◦정부(국방부)는 지난 1973...
    Date2013.12.26 By운영자 Views2106
    Read More
  8. 새로운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대한민국 정부는 2013년 12월 8일 방공식별구역 관련 법령을 근거로, 군 항공작전의 특수성, 항공법에 따른 비행정보구역의 범위, 국제관례 등을 고려하여 한국방공식별구역의 범위를 조정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새...
    Date2013.12.09 By운영자 Views2224
    Read More
  9. K11 소총 본격 전력화, 방사청 “품질문제 해결…육군에 납품”

    K11 복합형 소총(사진)의 전력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방위사업청은 28일 “2011년 10월 폭발사고로 생산을 중단했던 K11 복합형 소총의 품질 문제를 해결했다”며 “내일(29일)부터 육군에 납품해 연차적으로 각군에...
    Date2013.12.01 By운영자 Views2943
    Read More
  10. No Image

    논산 연무대 입영장정 면회가족쉼터

    논산 연무대 입영장정 면회가족쉼터 논산 육군훈련소 입영심사대 바로 옆에 위치한 입영장정 면회가족쉼터
    Date2013.05.05 By운영자 Views6940
    Read More
  11. 제18주차 기본정훈-제7과 자유를 지켜낸 6·25전쟁

    제18주차 기본정훈-제7과 자유를 지켜낸 6·25전쟁 / 국방일보 18주차 기본정훈 ‘자유를 지켜낸 6·25전쟁’은 공주대 안보과학대학원 정명복 교수가 강의했습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김일성은 한반도를 공산화하...
    Date2013.05.01 By운영자 Views4342
    Read More
  12. No Image

    참전명예수당·무공영예수당 등 인상

    [2013 보훈처 업무보고] 국가유공자 보상 강화 국가보훈처의 2013년 업무보고의 첫번째 과제는 참전명예수당 인상 등 국가유공자 보상 강화이다. ◇ 6·25전쟁 참전유공자 등의 수당 상향 조정 및 복지확대 보훈처는 참...
    Date2013.04.29 By운영자 Views5764
    Read More
  13. 아파치 헬기는 북한 압도하는 비대칭전력, 국방부 ‘방위사업추진위’ 의결 내용

    아파치 헬기는 북한 압도하는 비대칭전력, 국방부 ‘방위사업추진위’ 의결 내용 / 국방일보 2013. 04. 17 19:03 입력 막강 롱보우 레이더 장착…기갑전력·국지도발 저지 중고도정찰용 무인기·화생방정찰차량은 국산화 ...
    Date2013.04.17 By운영자 Views5234
    Read More
  14. 원격사격통제체계 사업 공고

    방위사업청(청장 노대래)은 3월 5일 최전방 GP 및 GOP에서 주?야간 북한군 GP 및 DMZ를 감시하고 적 도발 시 즉각적인 대응사격이 가능한 원격사격통제체계 사업을 공고한다. 원격사격통제체계는 감시·타격·통제시스...
    Date2013.03.06 By운영자 Views4204
    Read More
  15. No Image

    국방 신개념기술시범(ACTD)사업 신규과제 공모

    국방기술품질원(원장 최창곤, 이하 기품원)은 3월 4일부터 4월 30일까지 산학연의 우수한 첨단 기술을 국방분야에 효율적으로 접목하기 위한 ‘국방 신개념기술시범(Advanced Concept Technology Demonstration, 이하 ...
    Date2013.03.06 By운영자 Views257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