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  국가유공자 등록기간 대폭 단축, 신속보훈 추진

 

국가보훈처, 전역 또는 퇴직 6개월 전 신청자에 대해 신속처리제 도입 통해 평균 등록 기간 약 8개월100 이내로 단축 기대

보훈 심사 신속처리제(패스트트랙) 도입 및 전담팀 신설(20231)

신체검사 대체 제도 등을 통해 국가유공자 등록 소요 기간을 평균 8개월에서 6개월 이내로 단축하고, 찾아가는 보훈심사회의 통해 신청인 편의 제고 방침

국가보훈 장해진단서 제도 도입(20237)

전국 권역별로찾아가는 보훈심사회의운영(20231)

박민식 국가보훈처장 법령 개정 및 절차 간소화 등 정책개선을 통해 신속한 보훈으로빠르고 편리한 보훈 수혜와 예우에 최선

 

 

국가보훈처(처장 박민식)가 군인경찰소방관에 대해 전역 또는 퇴직 6개월 전과 최근 1년 이내 사고에 대해서는 신속처리(패스트트랙) 전담팀을 신설운영한다.

국가보훈처는 신속처리제를 통해 국가유공자 신청에서 등록까지 통상 8개월 정도 걸리던 절차를 100일 이내로 대폭 단축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보훈 수혜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보훈처는 이와 함께 신체검사 대체 제도를 도입해 신속처리제 도입 전 국가유공자 등록 소요 기간을 오는 2024년까지 기존 평균 8개월에서 6개월 이내로 단축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찾아가는 보훈심사회의를 통해 신청인 편의를 제고할 계획이다.

 

[보훈심사 신속처리제(패스트트랙) 도입 및 전담팀 신설]

 

군인과 경찰, 소방관에 대해 신속히 보훈 심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보훈심사 신속처리제(패스트트랙)>를 도입하고, 이를 전담할 조직이 보훈심사위원회에 신설된다.

 

<보훈 심사 신속처리제(패스트트랙)>전역 또는 퇴직 6개월 전, 그리고 최근 1년 이내 사고를 당한 군인, 경찰, 소방관이 대상으로, 이들에 대한 심사자료는 대부분 군이나 해당 기관에서 확보가 가능해 서류 제출과 동시에 빠른 심사가 가능하다.

 

 

개선 전

개선 후

보훈심사

패스트트랙

대상: 군 전역 6개월 전 신청자

소요기간: 8개월 이상  

전담팀: 없음

 

대상: 군 전역 6개월 전 및 최근 1년 이내 사고 신청자

소요기간: 100일 이내

전담팀: 신설

 

 

ㅇ 특히, 이를 전담하는 팀의 신설·운영을 통해 국가유공자 신청에서 등록까지 통상 8개월 정도 걸리던 절차를 100일 이내로 대폭 단축할 계획으로, 신청인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보훈 수혜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속처리제(패스트트랙) 전담팀은 내년 1월 중 신설할 예정이며, 신속한 심사자료 확보를 위해 각 군 및 주요 기관과 협업을 추진 중이다.

 

[국가보훈 장해진단서 첫 도입으로 신체검사 대체]

 

국가보훈처는 국가유공자의 상이등급 판정을 위해 평균 2개월 정도 소요되는 신체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국가보훈 장해진단서> 제도를 최초로 도입, 20237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ㅇ 국가보훈처는 이를 위한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국가유공자 등급 판정을 위해 신체검사를 받는 사람은 매년 14천여 명으로,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5개 특·광역시에 소재한 보훈병원에서만 실시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고령 또는 몸이 불편한 신청자들이 신체검사를 받기 위해 원거리를 이동해야 하고, 지정된 신체검사일에 보훈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 여기에, 2020년부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보훈병원 신체검사를 축소 운영함에 따라 수개월을 기다려야 하기도 했다.

 

 

개선 전

개선 후

장해진단서

도입

보훈병원에서 신체검사 후

 

보훈심사위원회에서 상이등급 판정

보훈병원 신체검사 또는 상급종합병원 등에서 발급한 국가보훈 장해진단서

 

보훈심사위원회에서 상이등급 판정

 

 

하지만, <국가보훈 장해진단서>가 도입되면, 기존처럼 보훈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는 것 외에 본인이 치료받고 있는 거주지와 가까운 상급종합병원* 등에서 발급받은국가보훈 장해진단서 통해 별도의 신체검사 없이 상이등급 판정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신체검사에 소요되는 기간을 기존의 평균 2개월에서 1개월 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

 

* 상급종합병원 : 20개 이상의 진료과목과 각 진료과목별 전문의를 갖추는 등 중증질환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전문적으로 하는 종합병원으로,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병원

 

 

특히, 복무 중 예기치 않게 부상을 입은 전·공상 군경 등 현역군인과 경찰, 소방관의 경우, 진료받던 국군병원과 경찰병원에서 국가보훈 장해진단서를 발급받아 상이등급 판정을 받을 수 있다.

 

[2023년부터 찾아가는 보훈심사회의 운영]

 

지금까지 보훈 심사 신청자가 청문을 희망하면, 신청자의 질환 상태를 직접 확인할 필요가 있는 등 청문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실시하고 있지만, 2023년부터는 구술 청문을 대폭 확대한다.

 

ㅇ 이를 위해 그동안 세종시에 소재한 보훈심사위원회에서만 실시하던 보훈심사회의 개최 장소를 내년부터 전국으로 확대하는 <찾아가는 보훈심사회의>를 운영할 계획이다.

 

 

개선 전

개선 후

찾아가는

보훈심사

대상: 청문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

장소: 세종시

대상: 고령 및 몸이 불편하신 분 등 청문 희망자로 확대

장소: 전국(서울, 부산, 광주 등)

 

 

<찾아가는 보훈심사회의>서울, 부산, 광주 등 신청자가 많은 지역을 순회, 신청인의 신청 사유와 상이 정도,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 등을 직접 듣는 것은 물론, 령자와 몸이 불편한 신청의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서 진행함으로써 원거리 이동에 따른 불편을 크게 해소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보훈처는 이 같은 제도와 전담팀 등이 운영·정착되면, 오는 2024까지는 현재 평균 8개월(240) 정도 걸리는 전체 국가유공자 등록 기간이 평균 6개월(180) 이내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구 분

 

현 행

 

개 선

등록신청

(보훈관서)

주소지 관할 보훈관서에 국가유공자 등록신청

 

2개월

2개월

 

 

 

국가유공자 등 요건확인

(소속기관)

국방부 등 소속기관에서 국가유공자등 요건 관련 사실확인

 

 

 

 

 

 

 

국가유공자 등 요건심사

(보훈심사위원회)

공무 관련성 부상 또는 질병 여부에 대하여 심의의결

* 전상, 공상, 보훈보상대상자, 비해당자 등으로 구분

 

3개월

2개월(-1)

 

 

 

 

 

 

 

인정상이에 대한 신체검사

(보훈병원)

5 보훈병원에서 신체검사 실시

* 상이 17, 11개 등급 및 등급미달로 소견

 

2개월

1개월(-1)

 

 

 

 

 

 

 

상이등급 판정심사

(보훈심사위원회)

신체검사를 토대로 상이등급 심의의결

* 상이 17, 11개 등급 및 등급미달로 소견

 

1개월

1개월

 

 

 

국가유공자 최종 결정

(보훈관서)

국가유공자 대상 여부 최종 결정 후 신청인에게 통보

 

 

 

 

 

 

 

국가유공자 등록기간

 

8개월

6개월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일류보훈 실현을 위해 신속 보훈을 추진할 방침이라며 보훈심사 신속처리제 및 국가보훈 장해진단서 도입 그리고 찾아가는 보훈심사회의를 통해 국가를 위한 헌신에 대해 조금이라도 더 빠르고 편리하게 보훈 수혜와 예우받을 수 있도록 관련 법률과 제도개선 등을 면밀하게 살펴 많은 분이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붙임 1. 제도 개선 예시(가상) 사례

 

붙임 1

 

제도 개선 예시(가상) 사례

 

 

신속처리제(패스트트랙) 제도개선 예시(가상) 사례

 

<사례1> 유격훈련 중 낙상하여 부상을 입고 최근 전역한 ㄷ씨

 

개선 전

군에서 유격훈련 중 낙상하여 부상을 입고, 최근 군에서 전역한 ㄷ씨는 전역 전에 국가유공자 등록 신청을 하였으나, 등록까지 평균 8개월 이상 소요되어, 전역 후 국가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개선 후

전역 6개월 전에 등록 신청 이후 100일 이내 등록이 가능해져, 전역 후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보훈 수혜를 받을 수 있다.

 

 

장해진단서 제도개선 예시(가상) 사례

 

<사례1> 군복무중 부상에 대해 국가유공자 신체검사를 신청한 20대 ㄱ씨

 

개선 전

군 복무 중 부상을 입은 ㄱ씨는 전역 후 국가유공자 등록을 위한 신체검사를 받기 위해 신청을 했지만, 대기인원이 많아 2개월 이상 기다린 끝에 보훈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고, 보훈심사위원회의 상이등급 심사를 받을 수 있었다.

개선 후

소 진료받던 상급종합병원에서 장해진단서를 발급받아 보훈청에 제출하, 보훈병원 신체사 없이 바로 보훈심사위원회에서 상이등급 심사를 받을 수 있어 1개월 이상의 기간을 단축 및 기존 상급종합병원을 통한 판정의 정확도에 대해 신뢰 할 수 있었다.

 

 

<사례2> 질병악화와 고령으로 거동이 어려운 80대 ㄴ씨

 

개선 전

남전에 참전하여 고엽제후유증인 폐암으로 5급 상이 국가유공자가 된 씨는 최근 상태가 많이 악화되어 등급상향을 신청했으나, 현재 입원중이라 보훈병원 신체검사장까지 가기 어려워 곤란을 겪고 있다.

개선 후

현재 입원한 상급종합병원에서 폐암에 대한 장해진단서와 의무기록을 급받아 보훈청에 제출함으로써 보훈병원 신체검사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악화된 질병에 대해 훈심사위원회로부터 등급상향 결정을 받을 수 있었다.

 

찾아가는 보훈심사 예시(가상) 사례

 

<사례1> 다리에 파편이 박혀 거동이 불편한 부산에 거주하는 88세 ㄹ씨

 

 

 

개선 전

부산에 거주하는 88세의 ㄹ씨는 6·25 전쟁 ○○ 전투 시 다리에 박힌 포탄 파편으로 거동이 불편하다. 보훈심사회의에 참석해 불편한 다리와 상처를 직접 보여주고, 당시에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한 억울한 사정을 토로하고 싶었지만, 보훈심사회의가 세종시에서만 열려, 대중교통으로 세종까지 갈 엄두를 내지 못하였다.

개선 후

2023년부터는 거주지인 부산에서 개최되는 보훈심사회의에 직접 참석하여 구술 청문이 가능해졌다.



  1. 2024년 예비군훈련 3월 4일부터 시작

    국방부는 3월 4일(월)부터 전국 예비군훈련장에서 280만여 명의 예비군을 대상으로 “2024년도 예비군훈련을 시작한다고 17일 밝혔다. 국방부는 △실전적인 훈련을 통해 예비군들이 전ㆍ평시 작전수행능력을 갖추게 하...
    Date2024.01.19 Views11672
    Read More
  2. 밀리토피아 호텔 · 문화센터, 해병대회관으로 전환 확정, 해병대창설기념일 4월 15일 개관

    국방부는 2024년 1월 18일, 군인복지운영위원회를 개최하여 밀리토피아 호텔·문화센터를 해병대 회관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 확정하였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따라 밀리토피아 호텔·문화센터를 운영하는 부대는 국군...
    Date2024.01.19 Views11044
    Read More
  3. 합참차장, NATO 군사위원회 국방총장 회의 참가

    합참차장, NATO 군사위원회 국방총장 회의 참가 사진 합참 제공 합참은 황유성(육군 중장) 합참차장이 김명수 합참의장을 대리해 벨기에 브뤼셀에서 1월 17일(수)부터 18일(목)까지 개최된 ‘NATO 군사위원회 국방총장...
    Date2024.01.19 Views9815
    Read More
  4. 제2연평해전 영웅 이희완 차관, 18일 '안보의 섬' 연평도 군 장병 및 국가유공자 위문

    이희완 국가보훈부 차관이 18일 오전 해병대 연평부대를 방문해 장병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보훈부 제공 새해 들어 북한의 잇따른 포사격 등으로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제2연평해전을 이끌었던 ...
    Date2024.01.18 Views8441
    Read More
  5.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관련 군의 입장

    □ 북한은 어제(1.14.) 극초음속 미사일을 장착한 고체연료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을 발사했다고 주장했음. □ 북한의 이같은 행태는 탄도미사일 기술 활용을 금지하고 있는 ‘유엔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명백한 도발행...
    Date2024.01.16 Views9544
    Read More
  6.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② "신형 IRBM 이달 중 발사할 수도"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② "신형 IRBM 이달 중 발사할 수도"
    Date2024.01.14 Views10946
    Read More
  7.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① "해병대가 돌아왔다"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① "해병대가 돌아왔다"
    Date2024.01.14 Views10806
    Read More
  8.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③ "팍 일하고 푹 쉬는 군대 만들겠다"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③ "팍 일하고 푹 쉬는 군대 만들겠다"
    Date2024.01.14 Views8308
    Read More
  9. 국가보훈부, 2024년 국가보훈의료 주요 계획 발표

    - 보훈병원 기반시설 확충... 중앙보훈병원 진료시설 확장 및 개선, 광주보훈병원 중증·응급의료시설 확충, 대구보훈병원 재활센터 완공 등 - 정보통신 자원 통합·공유(클라우드) 기반 차세대 보훈병원정보시스템 개...
    Date2024.01.13 Views8393
    Read More
  10. 국가보훈부, 국가유공자 전용 온라인 즉시 대출 도입... 1월부터 시행

    “생활안정자금 이제 휴대전화 앱으로 신청하세요” ▲ 국가유공자 대부한도액 및 상환조건 국가유공자를 비롯한 보훈가족들에게 시행되고 있는 나라사랑대출 가운데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생활안정자금에 대한 온라...
    Date2024.01.13 Views7118
    Read More
  11. 신원식 국방부장관, 국방과학연구소를 방문 첨단 무기체계 개발 현장 점검

    “대량응징보복(KMPR) 작전 수행을 위한 첨단 감시정찰 및 초정밀·고위력 타격체계 개발에 박차” ▲12일 국방과학연구소를 방문한 신원식 국방부장관이 연구소 내의 순직 연구원 추모공간에서 그동안 첨단 무기체계 개...
    Date2024.01.13 Views6455
    Read More
  12.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인공지능(AI) 과학기술로 전방지역 경계 강화된다

    ▲ 운영체계도 이미지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기존 일반 전방초소(General Out Post, 이하 GOP) 과학화경계시스템 대비 인공지능(AI) 영상분석 기능 및 탐지능력이 향상된 주·야간(열영상) 감시카메라 ...
    Date2024.01.10 Views8346
    Read More
  13.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고해상도 전천후 군 정찰위성 2, 3호기 발사 예정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 이하 방사청)은 425사업의 2, 3호 위성(SAR위성)을 올해 플로리다 케이프캐너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SpaceX의 Falcon-9 발사체를 이용하여 발사할 예정이다. 425사업 SAR위성은 주, 야간 악기...
    Date2024.01.10 Views7580
    Read More
  14. 김명수 합참의장, 롭 바우어 NATO 군사위원장과 공조통화

    합동참모본부는 김명수 합참의장이 1월 9일(화) 오후, 롭 바우어(Rob Bauer, 네덜란드 해군대장) NATO 군사위원장과 취임 후 첫 공조통화를 실시하여, 다음 주 개최 예정인 NATO 군사위원회 국방총장 회의 주요 의제,...
    Date2024.01.10 Views7148
    Read More
  15. 국방부장관, 드론작전사령부 방문, 압도적·공세적 작전태세 확립 강조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1월 8일(월), 드론작전사령부를 방문해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장병들을 격려했다. 신원식 장관은 작전현황을 보고받는 자리에서 “북한은 한반도 정세 악화의 책임을 적반하장식으로 우리 측에 전...
    Date2024.01.08 Views8067
    Read More
  16. 국가보훈부, 새해 제대군인 전직지원금 10% 인상

    - 중기복무자 50만원 → 55만원, 장기복무자 70만원 → 77만원(각 10% 인상) - 보훈부, 2027년까지 고용노동부 구직급여의 50% 수준(99만원)으로 인상 계획 - 강정애 장관 “제대군인 지원은 제대군인과 현역군인의 사기...
    Date2024.01.07 Views8701
    Read More
  17. 전쟁기념사업회, <공조: HID와 해병대> 특별전

    ▲공조 : HID와 해병대 포스터 전쟁기념사업회(회장 백승주)는 28일(목) 전쟁기념관에서 6·25전쟁영웅 김동석·박정모 특별전 <공조: HID(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와 해병대>를 개막했다. 이번 기획전...
    Date2024.01.07 Views7554
    Read More
  18. [2024년 방위사업청 정책 돋보기]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맞춤형 절차 마련한다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무기체계에서 소프트웨어의 비중과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24년에는 소프트웨어 중심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별도의 절차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3...
    Date2024.01.07 Views67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