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com_a012.jpg

 

 1980년대에 해병대에서 LVT-P7의 승무원이 사용한 헬멧이다. 보병화기의 발전과 기동력이 중시되면서 무게 때문에 보병의 기동에 방해가 되는 철모의 중요성이 감소하는 듯했으나 화포의 발달과 함께 다시 전장(戰場)에 등장했다. 근대적인 철모는 1914년 프랑스 육군이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다음해 영국 육군이 채용하면서부터 점차 각 국에 보급됐다. 각 국마다 모양, 재질 등에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1kg 안팎의 무게에 장갑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니켈, 망간, 크롬, 실리콘 등이 포함된 특수합금 재료로 사용한다. 현대의 철모는 소화기 탄환, 폭탄, 포탄의 파편, 암석 등이 관통하지 않도록 상당한 강도의 방어력과 역학적 각도를 갖고 있고 가볍게 만든다. 지금은 금속 재질로 제작하지 않기 때문에 철모라는 표현은 적절치 않으나 세계 각국의 군대는 관습적으로 철모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재질은 강인성, 내열성, 고강력, 고탄성의 특수 합성수지이다. 상호 통신을 위한 전화기 셋트가 내장되어 있다.

 

 hbcom_a013.jpg

 

 



  1. 군 통수권자 최초 연평부대 방문

  2. 강추위속 KAAV를 이용 새해 첫 전투수영나가는 해병대원들!!!

  3. 해병5여단 방문한 박정희대통령

  4. 해병대원들의 추모군무

  5. 항상 충실한 해병이 되자!

  6. 해병대 신형전투복 야전상의

  7. 수색정찰훈련중인 해병대2사단 수색대대원들

  8. 베트남전에 참전한 해병대정찰기

  9. 1971년도 해병대사령부 휴가증

  10. 해병대, 그 찰나의 아름다움 - 4회 해병대, 상륙돌격.

  11. 해병대치욕의 날, 10월10일 해병대사령부 해체

  12. 순직 5인의 해병 해병대장 - 1965년

  13. 9.28 서울수복 해병대기동훈련 1960

  14. 1956년 이승만대통령내외 해병대 제1사단시찰

  15. 1953년 해병대 제2연대창설기념식

  16. 국군의 날 축하인사하는 현빈(김태평)

  17. 해병대수색대 오종혁해병

  18. 해병대, 그 찰나의 아름다움 - 해병대, 상륙기습 前.

  19. 파월 해병대창설18주년기념탑 제막식

  20. 채명신 주월한국군사령관 파월해병대창설18주년기념 표창식참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 27 Next
/ 2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