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21713272424.jpg

연평도 사태 이후 해병대는 젊은이들에게 가장 각광받는 경쟁률 높은 군대가 되었다. 우리 군의 자존심을 찾아가는 한 사례라 본다. 때를 맞춰 국방부도 해병대 병력을 최소 1천200명, 최대 2천여명 수준에서 증강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필자는 국회의원이 된 2000년부터, 해병대 특히 서해 5도에 주둔하는 해병대의 중요성에 대해 계속해서 주장 해 왔다. 이유는 하나였다.

해병대는 한국전쟁 중이던 1951년 2월 동·서해안 전략도서 확보작전을 수행함으로써, 서해5도를 우리 땅으로 만드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지금까지 수도 서울방어의 핵심지역인 이곳을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해병대는 수도방어의 전략요충지인 서해5도를 확보했을 뿐 아니라, 대한민국 경제개발기반이 된 월남전 파병을 통해 '신화를 남긴 해병대'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1973년 국내정치적 요인과 군 운영비용 절감이라는 명분하에 해병대는 해군으로 통폐합되었다. 더 이상 독립된 부대도 아니고, 독립적인 예산권이나 작전권도 행사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이후 해군으로 통합 운용되어온 해병대가 제대로 전력을 관리하지 못하게 되자 국방부는 해병대 고유임무인 상륙작전에 대한 지휘구조 개선을 위해 해병대 부대를 통합지휘 하는 해병대 사령부를 재창설하였다.

그러나 완전히 독립된 사령부가 아닌 상륙작전 지휘임무 수행만을 위한 사령부로 역할이 한정됨에 따라 법적 책임과 권한이 상당히 모호한 상태였다. 이후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육·해·공군 부대와는 위상이 다른 직제령 부대로서 해병대 사령부가 해병부대를 지휘하도록 했다. 반쪽짜리 독립이 된 셈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태는 해병대의 위상 뿐만 아니라, 해병대가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는 데도 차질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필자는 한반도의 안보상황, 급변하고 있는 전장의 형태, 위협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 할 때 육·해·공·해병대 4군체제로 군을 재편해야 한다는 주장을 계속해왔다. 군 체제 개편과 함께 해병대의 역할과 임무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첫째, 현재 포항에 주둔중인 1사단을 상륙작전에 특화된 전략기동부대로 발전시켜야 한다. 해병 1사단은 유일하게 상륙작전 능력을 갖추고 있는 부대인 만큼, 전쟁억제력을 발휘하고 전시 전역작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보강해 나가야 한다.

둘째, 2사단을 신속대응부대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김포반도의 경계임무에서 벗어나, 평시작전에 활용할 수 있는 신속대응부대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북한군의 전략이 전면전 위협에서 소규모 국지도발을 통해 큰 효과를 노리는 방향으로 바뀐 상황(예를 들어, 소규모 특작부대의 공격, 사회기반시설 파괴, 북한군 전방부대의 산악지대를 통한 기습공격 등)에서 큰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셋째, 서북 전략도서 방어를 담당하고 있는 6여단과 연평부대의 전력을 획기적으로 증강시켜야 한다. 해병대의 고유임무 중 하나가 전략도서 방어이다.하지만 지금의 병력과 장비로는 잠수정, 해안포 등으로 무장한 북한군의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 K-9자주포, 대포병레이더, 북한의 해안포 기지를 무력화 할 수 있는 전력보강이 절실하다.

해병대는 전시에 제대로 임무를 수행 할 수 있는 몇안되는 최정예 군 중 하나다. 연평도 공격 당시에 포탄이 터져 철모에 불이 붙은 줄도 모르고 임무를 수행하던 해병대 병사의 모습에서 아직 우리군의 정신이 살아있음을 느꼈다.

군이 국민의 신뢰와 사랑을 받고 자랑스러운 군의 기개를 국민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해병대 독립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 276지대천 2011.02.19 19:00

    송영선 의원님의 말씀이 지당 하신 말씀입니다.

    꼭 해병대의 독립을 이루어 주십시요..

  • 김종영 2011.02.19 21:17

    저도 역시 상과 동입니다.

    송영선의원 사랑하고 적극 지지합니다요~~~~


  1. 2012년 우리는 준비됐다.

    2012년 우리는 준비됐다. / 글 중령 서봉수 전사불망 후사지사(前事不忘 後事之事)란 말이 있다. 이는 “과거의 일을 잊지 않는다면, 이후의 일도 잘 이루어질 것이다”라는 말이다. 벌써 적이 연평도 포격도발을 자행...
    Date2012.01.17 Views3621
    Read More
  2. 편지 한 통과 과자 한 봉지의 비밀

    이동후 이병 / 해병대교육훈련단 상대적으로 늦은 나이에 입대한 해병대. 해병대 특유의 남성스러움과 거친 면을 견딜 수 있을까 하는 부모님의 걱정에도 힘들고 고단했던 훈련 기간을 무사히 마치고 부푼 기대감을 ...
    Date2012.01.09 Views3682
    Read More
  3. 패러다임 전환으로 세상과 소통하다

    신홍규 대령 / 해병대 리더십센터장 지난 2010년 11월 23일은 해병대가 주둔하는 연평도에 북한군이 기습 포격도발을 해 무고한 주민들에게 큰 피해를 준 가슴 아픈 날이다. 그 아수라장의 현장에서 지휘자들은 전장 ...
    Date2012.01.03 Views3714
    Read More
  4. 2012년 새해 평소와 같은 날

    신일환 중위(진) 해병대 흑룡부대 소위로 임관한 후 14주간의 보병 초군반을 수료한 뒤 짧은 휴가를 받고, 2011년 10월 10일 백령도에 입도했다. 장교라는 신분으로 나는 62대대 6중대 1소대장이라는 직책을 맡아 씩...
    Date2012.01.01 Views3932
    Read More
  5. [김정원이 만난 사람]이호연 해병대 사령관

    “진짜 해병은 적과 싸워 이기는 것” / 충청매일 2011년 12월 25일 이호연 해병대사령관(53·해사 34기)은 유사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강인한 전투체력을 강조한다. 그래서 그는 스포츠선수들도 하기 어렵다는 철인...
    Date2011.12.27 Views4398
    Read More
  6. No Image

    병영문화 혁신의 제고

    해병대지 40호 / 중령 황용선 ○사단 7.4 총기 사망사고의 발생은 시사점이 크다. 해병대는 명예와 자부심에 큰 손상을 받았고, 군내·외적으로는 커다란 파장을 일으 켰다. 병영문화 혁신은 2000년 이전에 사고예방 및...
    Date2011.12.11 Views3904
    Read More
  7. 해병대의 권한과 사기 및 전력 증강 초점

    [국회보 2011년 12월호] 해병대의 권한과 사기 및 전력 증강 초점 국군조직법 개정법률 국군조직법에 따르면, 우리 군은 육군·해군·공군의 3군으로 조직되고, 해병대는 해군 소속이다. 해병대의 지휘·감독 권한도 해...
    Date2011.12.10 Views3110
    Read More
  8. No Image

    [야고부] 해병대

    북한의 연평도 도발로 해병대가 부각되는 것 같지만, 과거에는 이보다 훨씬 더했다. 타군과는 차별적인 복장과 두발, 군기 때문만이 아니다. 해병대는 역사적 격변기마다 등장해 뉴스의 초점이 돼왔다. 6`25전쟁과 월...
    Date2011.11.27 Views3575
    Read More
  9. 아직 숙제가 많은 해병대 - 유용원

    조선일보 입력 : 2011.11.22 23:02 유용원 군사전문기자 "국가 전략기동부대로는 육군 1개 기동군단보다 해병대를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지난 17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제11회 해병대 발전 국제 ...
    Date2011.11.25 Views2934
    Read More
  10. 절치부심의 1년 “우리는 준비됐다”

    서봉수 중령 해병대연평부대 포병대대장 전사불망 후사지사(前事不忘 後事之師)란 말이 있다. 이는 “과거의 일을 잊지 않는다면, 이후의 일도 잘 이루어질 것이다”라는 말이다. 벌써 적이 연평도 포격도발을 자행한 ...
    Date2011.11.22 Views42554
    Read More
  11. <리뷰> 北 연평도 포격도발 1년

    연이은 평화 깬 도발에 우린 이겼고, 또 이기리라 / 국방일보 2011.11.22 해병대 연평부대 K-9 자주포가 지난해 11월 23일 북한의 포격도발 직전 해상 목표물을 향해 포탄을 발사하고 있다. 국방일보 DB 대한민국 영...
    Date2011.11.21 Views4333
    Read More
  12. <르포> 北 포격도발 1년… 연평도를 가다

    각종 시설 새로 교체… 상흔 일부 간직 K-9·벌컨포 배치 등 전력 대폭 강화 / 국방일보 지금도 남아 있는 북한의 기습포격 피해 현장. 연평도 포격전 전승기념관(위). 7중대 포상(아래) 해병대 연평부대 장병들이 가상...
    Date2011.11.21 Views2425
    Read More
  13. 해병 1000명 증강… 방어작전서 도발지 응징 거점으로

    서북도서 전력 어떻게 바꿨나 / 서울신문 “단 한 뼘의 영토, 풀 한 포기도 내줄 수 없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 1주년(23일)을 앞두고 김관진 국방장관이 18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1주년에 즈음하여’라는 제목의...
    Date2011.11.19 Views3374
    Read More
  14. 공부의 신이 말하는 수능 공략법

    구본석 일병 / 해병대6여단 마라톤을 포함한 모든 육상 경기를 보면 기본적으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막판 스퍼트다. 각 선수는 자기 페이스를 조절하기 위해서 처음부터 필사적으로 달리지 않는다....
    Date2011.11.10 Views2877
    Read More
  15. No Image

    [스크랩] 해병대 여러분께 드리는 글

    저는 현역 육군 대위(포병)으로서 현재 일본에서 유학중인 사람입니다. 현역인 관계로 성명과 소속을 밝히지 못 한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한동안 떠들석했던 특수전 계시판이 잠시 소강상태에 들어간것 처럼 느껴지...
    Date2011.11.07 Views282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