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이 단독으로 수행한 최초의 상륙작전... 전세(戰勢)를 역전시키는 불씨를 지핀 전투"

 

 <코나스넷 김성만> 해병대는 6.25전쟁 당시 한국군 단독 상륙작전으로‘귀신 잡는 해병’이란 신화 탄생시킨 통영상륙작전 전승 61주년 기념행사를 지난 8월17일 경남 통영시 무전동 원문공원 일원에서 열었다. 오전에 열린 전승 추모행사에서는 참전용사를 비롯하여 해병대 제1사단장, 해병대전우회 중앙회 총재, 통영시장과 주요 기관장, 현역장병 150여명 등이 참석해 그 날의 감격을 되새겼다.

 오후에는 원문공원 내에 새롭게 건립한 통영상륙작전 기념관 광장에서 기념관 개관식이 열렸다. 기념관(지상 2층, 건축면적 316㎡)에는 당시 중령으로 해병부대를 진두지휘했던 김성은 장군(전 국방부장관)의 유품(遺品)과 해병대 주요장비 및 역사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광장에는 6.25전쟁 당시 해병대가 사용하던 상륙장갑차와 M-47 전차 등을 상설 전시하여 기념관을 찾은 국민들이 해병대의 용맹함과 국가의 안위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의 뜻을 기리는 안보교육장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영상륙작전 경과

북한군은 1950년 6월25일 전면 기습남침한 후 파죽지세로 남하했다. 한국군은 퇴각을 거듭하다가 7월16일경 낙동강에 방어선을 가까스로 구축했다. 한국은 국토의 90% 이상을 북한군에게 점령당한 위급한 상황이었다. 북한군은 낙동강 방어선을 무력화하기 위해 7사단을 통영 방향으로 진격시켜 거제도를 점령함으로써 마산항과 진해항을 봉쇄하고자 했다.

 북한군 제7사단 소속의 증강된 1개 대대 약 650명이 1950년 8월16일 경남 고성을 무혈점령했다. 저녁에는 통영 입구인 원문(猿門)고개에 진출하였고 8월17일 새벽에는 통영시가지를 완전히 점령했다. 그리고 견내량(見乃梁)을 건너서 거제도를 점령하려고 하였다. 만약 이렇게 되면 마산과 진해는 해상으로부터 봉쇄되고 적(敵)의 지상포 사정권내에 있게 되는 것이다.
 
해군은 급히 상륙작전계획을 수립하고 8월17일 20:00시에 통영읍(현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長坪里)해안에 김성은 중령이 지휘하는 해병 제1대대가 기습상륙을 감행했다. 작전에 함정 총 7척(703함, 901정, 302정, 307정, 312정, 504정, 512정, FS평택호)과 20여척의 어선이 투입되었다. 함정은 협조된 공격계획에 따라 통영항구 정면에서 함포사격을 육지로 다음날 아침까지 가했다. 이것은 해병대의 진격방향을 적(敵)이 모르게 하기 위한 양동작전(陽動作戰)이었다.              

 상륙군 제2중대는 8월18일 새벽에 고성에서 통영읍으로 진입하는 원문고개를 확보한 뒤 적의 진격을 차단했다. 3중대와 7중대는 통영시가지가 훤히 내려다보이는 망일봉을 미리 점령해 적군 100여명을 사살했다. 이날 오후에 통영을 완전히 탈환했다. 원문고개는 적의 유일한 공격로이자 통영방어에 있어서 전술상의 요충지여서 해병대는 9월20일까지 필사적으로 방어했다.

 상륙작전과 원문고개 방어전에서 한국군은 적(敵) 사살 469명, 포로 86명 그리고 많은 화기를 노획하는 전과를 올렸다. 적(敵) 대대장, 작전참모 등 지휘관 전원이 사살되었다. 작은 어선 3척을 타고 집단으로 해상으로 도주하던 잔적(殘敵)도 해군 504정과 312정에 의해 격침되었다. 반면, 한국군의 피해는 전사 15명, 부상 47명에 불과했다.

 

  통영상륙작전의 의의(意義)

 이 통영전투는 한국군이 단독으로 수행한 최초의 상륙작전이었다. 무엇보다도 부산 교두보(橋頭堡)의 측방위협을 제거했다는 점과 암담(暗澹)했던 전세(戰勢)를 역전시키는 불씨를 지핀 전투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자못 컸다. 그 뿐만 아니라 작전상 후퇴만 거듭하던 국군 장병들에게는 승리의 신념을 심어 준 전투였다. 전원이 일 계급 특진의 영예를 얻은 진동리(鎭東里)작전에 이어 통영상륙작전에서 또다시 크게 전공을 이룩한 김성은 부대에 대하여 외신기자(뉴욕 헤럴드트리뷴지의 마거리트 히긴스)는 ‘귀신잡는 해병(They might capture even the devil)’이라는 별명을 붙여 주었다.

 그리고 한반도는 통영상륙작전(1950.8.17)과 인천상륙작전(1950.9.15)의 성공을 통해 작전환경 상 상륙작전이 방어와 공격에서 가장 효과적임이 확인된 것이다. 따라서 우리 군은 통영상륙작전의 성공을 교훈삼아 ‘한국적 상륙작전 개념’ 발전에 더 많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지금도 한국 해병대는 상륙작전을 주(主)임무로 하는 준비된 국가 전략군으로서 국가안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konas)

김성만(예비역 해군중장, 해병대전략연구소 연구위원, 전 해군작전사령관)



  1. 서측 도서방어’ 임무 수행

    김 형 일 상병 해병대2사단 3월 말, 말도에 투입됐다가 지난달 중순 대대로 복귀했다. 말도는 생각보다 날씨 변덕이 심했다. 공수교육으로 교대 하루 전에 배가 못 뜰 정도로 비바람이 불다가도 다음 날 아침에는 언...
    Date2016.08.01 Views686
    Read More
  2. No Image

    해병 월남전에 가다 제1진 참전수기

    해병 월남전에 가다 제1진 참전수기 최우식(해간 33기) -제2대대 6중대 1소대장- 1. 출발에 앞서 월남 파병부대로 포항 제1사단 제2연대가 결정된 후 1965년 8월에 접어들면서 월남전을 대비한 훈련은 연일 계속 되었...
    Date2016.06.27 Views3760
    Read More
  3. 동계훈련의 목적

    이해승 (예)해병준장 동계훈련의 목적은 혹한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며 주어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해병대 수색대대장 시절 해마다 겨울이면 강원도 산악지역으로 훈련을 갔다. 훈련장에 도착하면 ...
    Date2016.02.28 Views1310
    Read More
  4. 해병이 된 자랑스러운 아들에게

    공복철 해병대1사단 공원경 해병 상병 아버지 1월 22일 자에 실린 공원경 해병 상병의 ‘아버지께 부치는 특별한 편지’를 읽고 보내온 글입니다. 네가 해병대에 지원하겠다고 했을 때 너무나 큰 충격이었다. 어떻게 육...
    Date2016.02.03 Views900
    Read More
  5. 해병대 명예를 잇는다는 것

    권 혁 진 상병 해병대군수지원단 본부대 &quot;군인은 반드시 승리해야 하고 군인은 언제나 명예로워야 한다.&quot; 이 말은 해병대 창설을 역설한 초대 해군참모총장, 손원일 제독께서 남긴 말씀이다. 늘 우리가 경례구호로 외...
    Date2016.01.11 Views811
    Read More
  6. 진정한 해병과 민주시민 육성

    이해승 / 예비역 해병준장 해병대에서 31년8개월간 근무하면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은 정신이었다. “싸워 이겨야 한다” “주어진 임무는 반드시 완수한다” “불가능은 없다” 등등이 늘 나와 함께했던 정신이었다....
    Date2015.11.12 Views1034
    Read More
  7. No Image

    울릉도 해병대 주둔 결정 매우 잘한 일이다

    충남일보 사설 2015.11.06 울릉도 해병대 주둔 결정 매우 잘한 일이다 우리 군이 독도수호를 위해 울릉도에 해병대를 배치하기로 한 것은 매우 잘한 일이다. 울릉도의 해병대 주둔은 그동안 독도를 둘러싼 국인불안해...
    Date2015.11.06 Views2489
    Read More
  8. 해병대·한국조직문화연구회 분대급 전투조직 특성 연구

    과학적 軍조직관리…병영문화 혁신 이끌어 병사·지휘관 패턴, 전투능력에 큰 영향 병사간 소외되는 유형 ‘관심병사’ 파악 유용 지난해 3월 열린 한미연합 상륙훈련에서 가상의 적 해안에 상륙한 한미 해병대원들이 목...
    Date2015.03.10 Views1667
    Read More
  9. 해병대 부대구조 개편개혁, 9여단 및 항공단

    국방부가 국방정책 전반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제고하고 범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2년마다 발간하고 있는 2014 국방백서에 소개된 해병대 부대구조 개편 계획은 다음과 같다. = 다음 = 해병대는 전략도서 ...
    Date2015.01.13 Views3959
    Read More
  10. [국방일보 인터뷰] 해병대사령부 복지·전직지원실장 권영배 대령

    “전역 간부들 최고의 복지혜택은 취업” 복지·전직지원실장 권영배 대령 “전역 간부들에게 최고의 복지혜택은 취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단기 계약직, 기간제 근무가 아닌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정년까지 근무할 수 있는 ...
    Date2014.07.22 Views3371
    Read More
  11. 병원로비에서 만난 이름 모를 해병에게

    병원로비에서 순서를 기다리던 그는 대한민국 해병이라고 했다. 입대를 앞둔 요즘 장정들이 경쟁을 해야 들어가는 귀신 잡는 해병대원이 무릎을 다쳐 군 병원의 서울이라 할 수 있는 국군수도병원에까지 온 것이다. ‘...
    Date2014.02.28 Views3579
    Read More
  12. 해병대 부모·가족 커뮤니티…득일까, 실일까

    &quot;비록 마음만이지만 아들과 함께 행군하고 함께 훈련받고 함께 잠듭니다. 이만하면 저도 해병대 가족이죠?&quot; 입소 후 21개월, 위문편지나 잠깐의 면회로만 듣던 아들 혹은 친구의 소식이 매일 들려온다면 어떨까. 몇 ...
    Date2014.02.06 Views10395
    Read More
  13. 자랑스러운 해병대의 창조적 복무를 위해/윤영미 평택대 외교안보전공 교수

    토인비는 “인류에게 가장 큰 비극은 역사에서 아무런 교훈을 얻지 못하는 데 있다”고 했다. 즉 역사에서 교훈을 찾고 비극적인 결과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예를 들면 북한...
    Date2014.01.21 Views3951
    Read More
  14. 해병대사령부 송예진 일병이 백희진 양에게

    해병대사령부 송예진 일병이 백희진 양에게 사랑하는 백희진씨 안뇽? 난 사랑스런 당신의 남편입니다! 자기야 우리가 서로를 사랑한지 300일이 되었네! 300일이란 시간은 어땠어? 많이 부족한 남자와 300일이란 시간...
    Date2014.01.12 Views4412
    Read More
  15. 아저씨라도 좋다! 그 예쁜 마음 덕분에- 주현욱 해병 일병

    주현욱 일병 해병대교육훈련단 본부대대 “군인아저씨! 죽지마세요. 나쁜 놈들이 우리 집을 부수고 우리를 잡아가잖아요. 그러니까 아저씨들은 죽으면 안 돼요. 군인아저씨 늘 고맙습니다.” 나더러 아저씨란다. 상큼한...
    Date2013.12.11 Views36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