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kmc.jpg

 

 그때의 젊은 병사는 오늘 시신이 되어 돌아왔다. 지금까지 아무도 찾아주지 않는 차가운 땅 속에서 불편한 자세로 누워 있었던 그 젊은병사. 그의 시신은 이 나라가 물이 흐르듯 그렇게 유지되어온 나라가 아니라고 말해주고 있었다. 이 땅은 수많은 목숨들이 지켜낸 우리 삶 의 터전. 아직까지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로서 6ㆍ25전쟁의 아픔을 지닌 곳이 바로 이 곳이다.
유해발굴을 위해 처음 산에 오를 때 설마 이런 곳까지 전투가 있었을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산 곳곳에 남겨진 개인호의 흔적은 지금도 한반도 곳곳에 남아있을 상처들의 단편을 보여주고 있었다.
개인호들은 이제 지금껏 쌓여 왔던 세월의 무게만큼 흙으로 답답하게 막혀 있었다. 산등을 따라 여기저기 파져있던 그 흔적들은 마치 산등허리에 새겨진 지워지지 않는 멍자국 같았다.
햇볕이 기분 좋게 내리쬐던 날. 내가 맡은 부분은 산등에서 가장 뒤쪽에 자리잡은 호였다. 작업반장이 내게 지정해 준 개인호를 한 삽한 삽 파내려가기 시작했다. 딱딱한 돌멩이가 박혀있는 암반층까지 삽으로 파내는 작업이었다. 땅을 팔 때마다 나오는 탄피들이 그 당시 치열했던 전투 상황을 말해주는 듯했다.
내 옆에는 커다란 소나무가 서 있었다. 60년 전에도 변함없이 뿌리를 박고 있었을 그 소나무가 바로 전쟁의 증인이었다. 병사들이 흘린 피를 먹고 자랐을 그 소나무가 지금 나를 꾸짖고 있었다. 왜 지금까지 나라를 지켜낸 너의 조상들을 잊고 지내왔냐고. 너와 너의 친구들은 왜 기억하려고 노력하지 않았느냐고.
그때 삽 끝에 묵직한 돌덩이의 느낌이 왔다. 다행인지 내가 맡은 호안에는 마주하기 죄송스러울 그 젊은 영웅이 누워있지 않았다. 삽을 놓고 잠시 앉아 땀을 식혔다. 탄띠에 멘 수통을 떼어 한 모금 물을 마셨다. 수통의 차가운 느낌이 좋았다. 잠시 바람이 불어와 나의 몸에 열기를 식혀주었다. 살아 있다는 것에 있어서 이런 작은 휴식도 행복이란 걸 나는 처음 깨달았다. 살며시 불어오는 바람이 내가 살아 숨 쉬고 있다는 것에 감사하는 법을 알게 해주었다.
rokmc.jpg

얼마쯤 지났을까. 나는 자리에서 일어나 다음 장소로 이동했다. 탁트이고 전망이 밝은 곳. 그래서인지 여기 저기 많은 개인호들이 파헤쳐져 있었다. 이번에도 작업반장이 내가 파야 할 호를 정해주었다. 아무도 내가 파는 이곳에 묻혀 있지 않기를 바라며 또다시 땅을 파기 시작했다. 반쯤 팠다고 생각했을 때 옆에서 같은 작업을 하던 인원이 뭔가 발견했다며 이리로 와 보라고 했다. 사람의 허벅다리 뼈. 순간 나 의 가슴 한켠에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는 듯하였다. 청춘을 나라를 위
해 바쳤던 용사가 이곳에 초라하게 누워 있었다. 남모를 깊숙한 산 등허리에서 그는 이름 없이 죽어 있었다. 호 주변을 조심스럽게 호미로 파내어 뼈 조각 몇 개를 더 찾아내었다. 주변은 탄피들로 가득했다. 그는 아마도 마지막까지 적들을 향해 방아쇠를 당기다 피흘리며 고통스럽게 죽어 갔을 것이다. 그는 아마도 누군가의 아들이고 오빠이고 형이었을 것이다. 또 그는 아마도 고통스런 죽음의 순간에서 어머니 얼굴을 떠올렸을 것이다. 머릿속에는 수많은 생각들로 가득했다.
유골을 수습하고 산을 내려오는 길에 서쪽으로 지는 해를 바라보았다. 해는 주변 하늘을 붉게 물들이며 아름답게 지고 있었다. 앞으로도 이 땅의 태양은 뜨고 지기를 반복하며 넓은 하늘을 밝게 비추리라.

부대로 복귀하는 버스 좌석에 앉아 피곤한 눈꺼풀을 잠시 감아보았다. 오늘은 너무나 많은 생각을 했다. 우리나라는 결코 그냥 지켜진 나라가 아니라는 것을 유해발굴이라는 귀중한 체험을 통해 알게됐다. 수많은 이들의 고통과 슬픔으로 지켜진 우리나라.

우리는 절대그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나라를 지켜낸 조상들의 노력을 우리는 가슴에 새기며 매 순간순간을 살아가야 할 것이다. 등 뒤로 멀어져가는, 음산한 잡초가 무성한 그 산등 위에는 뜨거운 역사가 누워 있었다. <해병대지 39호에서>



  1. 서측 도서방어’ 임무 수행

    김 형 일 상병 해병대2사단 3월 말, 말도에 투입됐다가 지난달 중순 대대로 복귀했다. 말도는 생각보다 날씨 변덕이 심했다. 공수교육으로 교대 하루 전에 배가 못 뜰 정도로 비바람이 불다가도 다음 날 아침에는 언...
    Date2016.08.01 Views686
    Read More
  2. No Image

    해병 월남전에 가다 제1진 참전수기

    해병 월남전에 가다 제1진 참전수기 최우식(해간 33기) -제2대대 6중대 1소대장- 1. 출발에 앞서 월남 파병부대로 포항 제1사단 제2연대가 결정된 후 1965년 8월에 접어들면서 월남전을 대비한 훈련은 연일 계속 되었...
    Date2016.06.27 Views3760
    Read More
  3. 동계훈련의 목적

    이해승 (예)해병준장 동계훈련의 목적은 혹한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며 주어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해병대 수색대대장 시절 해마다 겨울이면 강원도 산악지역으로 훈련을 갔다. 훈련장에 도착하면 ...
    Date2016.02.28 Views1310
    Read More
  4. 해병이 된 자랑스러운 아들에게

    공복철 해병대1사단 공원경 해병 상병 아버지 1월 22일 자에 실린 공원경 해병 상병의 ‘아버지께 부치는 특별한 편지’를 읽고 보내온 글입니다. 네가 해병대에 지원하겠다고 했을 때 너무나 큰 충격이었다. 어떻게 육...
    Date2016.02.03 Views900
    Read More
  5. 해병대 명예를 잇는다는 것

    권 혁 진 상병 해병대군수지원단 본부대 &quot;군인은 반드시 승리해야 하고 군인은 언제나 명예로워야 한다.&quot; 이 말은 해병대 창설을 역설한 초대 해군참모총장, 손원일 제독께서 남긴 말씀이다. 늘 우리가 경례구호로 외...
    Date2016.01.11 Views811
    Read More
  6. 진정한 해병과 민주시민 육성

    이해승 / 예비역 해병준장 해병대에서 31년8개월간 근무하면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은 정신이었다. “싸워 이겨야 한다” “주어진 임무는 반드시 완수한다” “불가능은 없다” 등등이 늘 나와 함께했던 정신이었다....
    Date2015.11.12 Views1034
    Read More
  7. No Image

    울릉도 해병대 주둔 결정 매우 잘한 일이다

    충남일보 사설 2015.11.06 울릉도 해병대 주둔 결정 매우 잘한 일이다 우리 군이 독도수호를 위해 울릉도에 해병대를 배치하기로 한 것은 매우 잘한 일이다. 울릉도의 해병대 주둔은 그동안 독도를 둘러싼 국인불안해...
    Date2015.11.06 Views2489
    Read More
  8. 해병대·한국조직문화연구회 분대급 전투조직 특성 연구

    과학적 軍조직관리…병영문화 혁신 이끌어 병사·지휘관 패턴, 전투능력에 큰 영향 병사간 소외되는 유형 ‘관심병사’ 파악 유용 지난해 3월 열린 한미연합 상륙훈련에서 가상의 적 해안에 상륙한 한미 해병대원들이 목...
    Date2015.03.10 Views1667
    Read More
  9. 해병대 부대구조 개편개혁, 9여단 및 항공단

    국방부가 국방정책 전반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제고하고 범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2년마다 발간하고 있는 2014 국방백서에 소개된 해병대 부대구조 개편 계획은 다음과 같다. = 다음 = 해병대는 전략도서 ...
    Date2015.01.13 Views3959
    Read More
  10. [국방일보 인터뷰] 해병대사령부 복지·전직지원실장 권영배 대령

    “전역 간부들 최고의 복지혜택은 취업” 복지·전직지원실장 권영배 대령 “전역 간부들에게 최고의 복지혜택은 취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단기 계약직, 기간제 근무가 아닌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정년까지 근무할 수 있는 ...
    Date2014.07.22 Views3371
    Read More
  11. 병원로비에서 만난 이름 모를 해병에게

    병원로비에서 순서를 기다리던 그는 대한민국 해병이라고 했다. 입대를 앞둔 요즘 장정들이 경쟁을 해야 들어가는 귀신 잡는 해병대원이 무릎을 다쳐 군 병원의 서울이라 할 수 있는 국군수도병원에까지 온 것이다. ‘...
    Date2014.02.28 Views3579
    Read More
  12. 해병대 부모·가족 커뮤니티…득일까, 실일까

    &quot;비록 마음만이지만 아들과 함께 행군하고 함께 훈련받고 함께 잠듭니다. 이만하면 저도 해병대 가족이죠?&quot; 입소 후 21개월, 위문편지나 잠깐의 면회로만 듣던 아들 혹은 친구의 소식이 매일 들려온다면 어떨까. 몇 ...
    Date2014.02.06 Views10395
    Read More
  13. 자랑스러운 해병대의 창조적 복무를 위해/윤영미 평택대 외교안보전공 교수

    토인비는 “인류에게 가장 큰 비극은 역사에서 아무런 교훈을 얻지 못하는 데 있다”고 했다. 즉 역사에서 교훈을 찾고 비극적인 결과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예를 들면 북한...
    Date2014.01.21 Views3951
    Read More
  14. 해병대사령부 송예진 일병이 백희진 양에게

    해병대사령부 송예진 일병이 백희진 양에게 사랑하는 백희진씨 안뇽? 난 사랑스런 당신의 남편입니다! 자기야 우리가 서로를 사랑한지 300일이 되었네! 300일이란 시간은 어땠어? 많이 부족한 남자와 300일이란 시간...
    Date2014.01.12 Views4412
    Read More
  15. 아저씨라도 좋다! 그 예쁜 마음 덕분에- 주현욱 해병 일병

    주현욱 일병 해병대교육훈련단 본부대대 “군인아저씨! 죽지마세요. 나쁜 놈들이 우리 집을 부수고 우리를 잡아가잖아요. 그러니까 아저씨들은 죽으면 안 돼요. 군인아저씨 늘 고맙습니다.” 나더러 아저씨란다. 상큼한...
    Date2013.12.11 Views36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