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210.jpg

서봉수 중령 해병대연평부대 포병대대장

 

전사불망 후사지사(前事不忘 後事之師)란 말이 있다. 이는 “과거의 일을 잊지 않는다면, 이후의 일도 잘 이루어질 것이다”라는 말이다.

 벌써 적이 연평도 포격도발을 자행한 지 1년이 됐다. 그날 우리는 눈앞에서 사랑하는 2명의 해병이 전사하는 모습을 지켜봐야 했고, 선량한 2명의 국민이 죽었다. 지금도 이곳 연평도는 폭파된 가옥의 잔해를 정리하는 작업과 건물을 짓는 복구사업이 진행되고 있어 전후(戰後)의 재건마을을 방불케 하고 있다. 이것은 적이 얼마나 무모한지, 그리고 얼마나 반인륜적인지를 반증하는 것이다.

 그날 연평 해병들은 적의 만행적 도발에 대해 철저하게 응징하지 못한 것을 못내 아쉬워하고 있다. 하지만 국민들의 절대적 지지와 지원에 힘입어 연평도를 비롯한 서북도서는 화포 등 다양한 전력이 보강되는 등 유형 전투력은 적의 도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유형의 전투수단뿐만 아니라 우리 연평부대의 무형 전투력도 남다르게 향상됐다. 지난 연평도 포격도발 시의 전투경험과 8월 10일 적의 NLL 일대 포격도발 시 실상황 경험 등을 바탕으로 최상의 장비운용 능력과 싸우면 반드시 이기겠다는 전투의지가 충만해 최고의 전투력을 가진 부대가 됐다고 자부한다.

 “적은 언제든 다시 도발해 올 것이다.”특히 내년은 안보의 분수령이 되는 해로 우리 안보의 취약시기이기 때문이다. 북한은 김일성 출생 100주년으로 정치사상 강국, 군사 강국, 경제 강국 등 강성대국 건설을 천명했다. 국내외적으로는 우리나라의 대선과 총선, 미국의 대선, 중국 공산당의 창당 90주년 등이 겹쳐 있다. 특히 북한의 권력승계 불안전성, 날로 악화해 가는 식량난과 경제난의 심화, 재스민 혁명으로 상징되는 중동의 민주화 파급 가능성 등을 고려해 볼 때 북한은 국제사회의 집중적인 시선을 받거나 협상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고 김정은이 군부에 대한 신뢰 확보와 권력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더욱더 도발해 올 가능성이 크다.

 우리 연평부대는 철저히 응징할 수 있는 전투력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항재전장 임전필승(恒在戰場 臨戰必勝)의 정신으로 언제든지 전투준비가 돼 있다. 이제 우리 연평부대는 창을 베고 적을 기다린다는 침과대적(枕戈待敵)의 각오로 적이 도발한다면 철저히 응징해 다시는 도발의 엄두를 내지 못하도록 할 것이다. 적들은 그들의 무모한 도발이 곧 김정일 정권 붕괴의 자충수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국방일보 2011.11.23>


  • ㅋㅋㅋ 2024.03.10 03:00
    ㅋㅋ 서봉수 대위. 중대장 시절 비빔밥 만들어준 주계병한테 밥 안비벼놨다고 존나 투덜거림. 기억한다. 그 주계병 비빔밥 비비면서 침 거하게 뱉고 싹싹 비빈거 잘 쳐먹더군.

  1. '필승 DNA'에 '혁신' 이식 더 막강해진 '무적 해병'

    창설 69주년을 맞아 국가전략기동부대 대한민국 해병대가 달라지고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해병대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있다.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창설된 해병대는 6·25 전쟁 당시 수많은...
    Date2018.05.16 Views1112
    Read More
  2. 해병대의 초심찾기 ‘참해병 혁신운동’

    조순근 대령 해병대1사단 행정부사단장 ‘작심삼일(作心三日)’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결심한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하고 금방 풀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결심했던 일이 결실을 보려면 지속해서 마음을 바로잡는 것...
    Date2018.03.22 Views1694
    Read More
  3. 백령도와 해병대가 성장시킨 나

    김 태 환 (예)해병중위 전 해병대6여단 정훈참모실 ‘나도 국민이 힘들어할 때 도와주고 부하들보다 궂은일에 앞장서는 멋진 해병대 장교가 될 거야.’ 제주도에서 나고 자란 나는 어려서부터 해병대인을 꿈꿨다. 태풍 ...
    Date2018.03.08 Views1011
    Read More
  4. 신화를 남긴 해병대 전통을 계승하자

    김 재 현 중위(진) 해병대2사단 선봉연대 1967년 2월 15일 새벽, 짙은 안개가 끼고 비가 내리는 베트남의 쾅나이성 손틴군 짜빈동 인근의 야트막한 30m 고지. 청룡부대 11중대는 2개 연대 규모의 월맹 정규군과 3시간...
    Date2018.02.25 Views911
    Read More
  5. 국방개혁 완성을 위한 제언

    김 종 화 소령 해병대2사단 작전참모실 작전계획과 과거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맹자는 “천시는 지리만 못하고, 지리는 인화만 못하다(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라고 해 인적자원을 전쟁의 결정적 승리요인으로 보...
    Date2017.12.18 Views1022
    Read More
  6. 꿈과 희망을 통한 전투력의 배가

    조순근 해병대령해병대사령부 항공단창설준비단장 병영 내 악성 사고는 ‘적’만큼이나 경계하고 조심해야 한다. 부대 장병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유·무형의 전투력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전우에 대한 ...
    Date2017.10.29 Views1132
    Read More
  7. 해병대 창끝부대 소대장의 다짐

    김상아 중위(진)가 중대전술훈련의 일환인 4박5일간의 130km 완전군장 행군에서 선두에 서서 소대원들을 이끌고 있다. &lt;사진 부대 제공&gt; 내 꿈은 초등학생 시절부터 군인이었다. 그런 내가 해병대 ROTC 장교를 지원한...
    Date2017.10.29 Views13125
    Read More
  8. 나를 강하게 만든 혹서기 100㎞ 산악무장행군

    오주현 일병 해병대1사단 행군은 힘들다. 군대에서 행군은 더욱 힘들다. 산악행군은 더더욱 힘들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 산악행군은 더더욱 힘들다. 그러나 우리는 7월의 한여름에 전우들과 함께 100㎞ 산...
    Date2017.08.06 Views1619
    Read More
  9. 달의 뒤편 이야기

    나 상 진 소위 해병대2사단 차갑고 어두운 밤, 한적한 길을 걸어본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한 번쯤은 달빛이 어두컴컴한 길을 밝게 비춰주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한밤중에 빛을 내며 우리를 안전하게 인도하는 달빛...
    Date2017.07.18 Views961
    Read More
  10. 내게 많은 것을 준 해병대

    이재민 일병 해병대 군수단 수송대대 “위잉~위잉~에옹에옹~.” 2017년 5월 16일 08시10분, 호송차 사이렌이 중대 장거리 수송훈련 시작을 알렸다. 평소 운전에 자신이 없던 나는 이번 중대 장거리 수송훈련의 주된 임...
    Date2017.06.25 Views958
    Read More
  11. 첫 대민지원

    류지민 상병 해병대 교육훈련단 우리 소대는 아침 과업정렬 시간에 놀라운 과업을 지시받았다. 오후에 대민지원을 나간다는 것이다. 개인 신변 정리시간에 뉴스나 국방일보를 보면 많은 부대가 대민지원을 나가 국민...
    Date2017.04.09 Views856
    Read More
  12. 故 장시영 회장님을 추모하며 - 정수현. 해병대전우회 제주도연합회 자문위원

    얼마 전 故 장시영 회장의 부고를 받고 인생무상을 느꼈다. 그분은 여러 분야에 헌신하셨지만 해병대에 대한 기여가 남달랐다. 장 회장은 제주도립병원 산부인과 과장을 역임하다 부산에서 의원을 개업하는 중 6·25전...
    Date2017.03.11 Views1011
    Read More
  13. 군대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유 동 선 상병 해병대사령부 근무지원단 나는 부대의 영내·외 화재에 대한 소방임무를 수행하는 소방반 대원이다. 부푼 기대와 각오로 해병대에 입대했지만, 전역 후 뚜렷한 진로를 정하지 못해 최근까지 고민이 많았...
    Date2017.03.03 Views797
    Read More
  14. 해병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재 민 일병 해병대군수단 소대 전술훈련 1주일 전. 나는 혹독했던 해병대 신병 훈련의 악몽을 다시 겪는다는 악몽에 시달렸다. 해병이 되기 위해 겪어야 하는 신병 교육 7주. 그중에서도 가장 힘들었던 극기주 기...
    Date2017.02.27 Views1710
    Read More
  15. [도청도설] 해병대 정 하사 - 국제신문

    인류의 역사는 곧 전쟁의 역사다. 영토·종교·인종 등 문제로 기록될 만한 지구촌 전쟁의 희생자만 36억4000명에 이른다는 연구물도 있다. 전쟁의 역사는 군대 역사이기도 한데 시대마다 막강 군대가 존재해 왔다. 지...
    Date2017.02.06 Views7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