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입력 : 2011.11.22 23:02 
 

유용원 군사전문기자

2011112201469_0.jpg "국가 전략기동부대로는 육군 1개 기동군단보다 해병대를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지난 17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제11회 해병대 발전 국제 심포지엄에서 육군 예비역 대령인 대학교수가 이 같은 주장을 펴 눈길을 끌었다. 그는 막강한 화력을 갖춘 육군 기동군단과 해병대를 각각 국가 전략기동부대로 지정했을 경우의 장단점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평가한 결과 해병대를 지정하는 것이 더 타당성이 높았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해병대의 역할 및 위상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종종 나오고 있다.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됐던 국방선진화추진위원회도 지난해 말 해병대를 국가 전략기동군으로 발전시키고 병력과 장비를 대폭 증강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지난 6월엔 해병대사령부를 모체(母體)로 백령도와 연평도 등 서북도서 방어를 책임지는 서북도서방위사령부가 창설됐다. 지난해 서북도서에 불과 12문밖에 없던 K-9 자주포도 3배 이상 늘었고, 처음으로 AH-1 '코브라' 공격용 헬기와 '구룡' 다연장 로켓도 배치됐다. 지난달부터 국군조직법, 군(軍)인사법 개정안 등이 시행돼 1973년 해병대사령부가 해체돼 해군본부로 통폐합된 지 38년 만에 해병대가 독립적인 지휘권한을 행사할 수 있게 된 점도 큰 변화로 꼽힌다.

그러면 이제 우리 해병대는 북한의 추가도발을 억제하는 데 제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까? 하지만 전문가들은 아직도 해결해야 할 숙제들이 적지 않게 남아 있다고 말한다. 우선 경기도 김포지역 등을 방어하고 있는 해병대 2사단 등의 임무를 바꿀 필요성이 제기된다. 해병대는 기본적으로 최전방 철책선을 지키는 방어용 부대가 아니라 유사시 북한지역에 상륙해 타격을 가하는 전략 기동타격 부대다. 그런데 현재 2개 사단과 1개 여단을 보유하고 있는 해병대는 이 중 1개 사단과 1개 여단이 최전선 경계를 맡으면서 발목이 잡혀 있다. 김포 지역 경계작전을 육군이 맡고 해병대 2사단은 후방으로 재배치돼 전략기동부대로 제 역할을 한다면 북한 도발에 큰 억제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평가다. 우리 해병대의 존재로 북한 8개 사단과 7개 여단이 우리 군의 상륙작전 대비에 묶여 있고, 전면전 때는 북한 4개 기계화군단과 1개 기갑군단의 전방 투입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

아직 군내에서 '가장 춥고 배고픈 군대'로 불리는 해병대의 장비와 물자 보강도 숙제다. 해병대 1개 사단의 장비는 육군 1개 사단에 크게 못 미친다. 1999년 제1연평해전 직후 백령도에는 최신예 K-9 자주포가 육군보다 먼저 배치되는 '사건'이 있었다. 이는 육군 출신인 조성태 당시 국방장관의 강한 의지가 아니었으면 불가능했을 것으로 지금도 회자된다. 또 현대적인 상륙작전에는 헬기가 필수적인데 해병대가 직접 보유한 헬기가 아직 한 대도 없고, 오는 2016년에야 도입될 상륙기동헬기의 관할권을 놓고 해군과 해병대가 치열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는 상태다.

23일로 연평도 포격 도발 1주기를 맞는다. 1년 전의 희생과 상처가 헛되지 않도록 해병대의 진정한 변화와 발전을 기대해본다.



  1. '필승 DNA'에 '혁신' 이식 더 막강해진 '무적 해병'

    창설 69주년을 맞아 국가전략기동부대 대한민국 해병대가 달라지고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해병대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있다.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창설된 해병대는 6·25 전쟁 당시 수많은...
    Date2018.05.16 Views1112
    Read More
  2. 해병대의 초심찾기 ‘참해병 혁신운동’

    조순근 대령 해병대1사단 행정부사단장 ‘작심삼일(作心三日)’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결심한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하고 금방 풀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결심했던 일이 결실을 보려면 지속해서 마음을 바로잡는 것...
    Date2018.03.22 Views1694
    Read More
  3. 백령도와 해병대가 성장시킨 나

    김 태 환 (예)해병중위 전 해병대6여단 정훈참모실 ‘나도 국민이 힘들어할 때 도와주고 부하들보다 궂은일에 앞장서는 멋진 해병대 장교가 될 거야.’ 제주도에서 나고 자란 나는 어려서부터 해병대인을 꿈꿨다. 태풍 ...
    Date2018.03.08 Views1011
    Read More
  4. 신화를 남긴 해병대 전통을 계승하자

    김 재 현 중위(진) 해병대2사단 선봉연대 1967년 2월 15일 새벽, 짙은 안개가 끼고 비가 내리는 베트남의 쾅나이성 손틴군 짜빈동 인근의 야트막한 30m 고지. 청룡부대 11중대는 2개 연대 규모의 월맹 정규군과 3시간...
    Date2018.02.25 Views911
    Read More
  5. 국방개혁 완성을 위한 제언

    김 종 화 소령 해병대2사단 작전참모실 작전계획과 과거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맹자는 “천시는 지리만 못하고, 지리는 인화만 못하다(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라고 해 인적자원을 전쟁의 결정적 승리요인으로 보...
    Date2017.12.18 Views1022
    Read More
  6. 꿈과 희망을 통한 전투력의 배가

    조순근 해병대령해병대사령부 항공단창설준비단장 병영 내 악성 사고는 ‘적’만큼이나 경계하고 조심해야 한다. 부대 장병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유·무형의 전투력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전우에 대한 ...
    Date2017.10.29 Views1132
    Read More
  7. 해병대 창끝부대 소대장의 다짐

    김상아 중위(진)가 중대전술훈련의 일환인 4박5일간의 130km 완전군장 행군에서 선두에 서서 소대원들을 이끌고 있다. <사진 부대 제공> 내 꿈은 초등학생 시절부터 군인이었다. 그런 내가 해병대 ROTC 장교를 지원한...
    Date2017.10.29 Views13125
    Read More
  8. 나를 강하게 만든 혹서기 100㎞ 산악무장행군

    오주현 일병 해병대1사단 행군은 힘들다. 군대에서 행군은 더욱 힘들다. 산악행군은 더더욱 힘들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 산악행군은 더더욱 힘들다. 그러나 우리는 7월의 한여름에 전우들과 함께 100㎞ 산...
    Date2017.08.06 Views1619
    Read More
  9. 달의 뒤편 이야기

    나 상 진 소위 해병대2사단 차갑고 어두운 밤, 한적한 길을 걸어본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한 번쯤은 달빛이 어두컴컴한 길을 밝게 비춰주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한밤중에 빛을 내며 우리를 안전하게 인도하는 달빛...
    Date2017.07.18 Views961
    Read More
  10. 내게 많은 것을 준 해병대

    이재민 일병 해병대 군수단 수송대대 “위잉~위잉~에옹에옹~.” 2017년 5월 16일 08시10분, 호송차 사이렌이 중대 장거리 수송훈련 시작을 알렸다. 평소 운전에 자신이 없던 나는 이번 중대 장거리 수송훈련의 주된 임...
    Date2017.06.25 Views958
    Read More
  11. 첫 대민지원

    류지민 상병 해병대 교육훈련단 우리 소대는 아침 과업정렬 시간에 놀라운 과업을 지시받았다. 오후에 대민지원을 나간다는 것이다. 개인 신변 정리시간에 뉴스나 국방일보를 보면 많은 부대가 대민지원을 나가 국민...
    Date2017.04.09 Views856
    Read More
  12. 故 장시영 회장님을 추모하며 - 정수현. 해병대전우회 제주도연합회 자문위원

    얼마 전 故 장시영 회장의 부고를 받고 인생무상을 느꼈다. 그분은 여러 분야에 헌신하셨지만 해병대에 대한 기여가 남달랐다. 장 회장은 제주도립병원 산부인과 과장을 역임하다 부산에서 의원을 개업하는 중 6·25전...
    Date2017.03.11 Views1011
    Read More
  13. 군대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유 동 선 상병 해병대사령부 근무지원단 나는 부대의 영내·외 화재에 대한 소방임무를 수행하는 소방반 대원이다. 부푼 기대와 각오로 해병대에 입대했지만, 전역 후 뚜렷한 진로를 정하지 못해 최근까지 고민이 많았...
    Date2017.03.03 Views797
    Read More
  14. 해병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재 민 일병 해병대군수단 소대 전술훈련 1주일 전. 나는 혹독했던 해병대 신병 훈련의 악몽을 다시 겪는다는 악몽에 시달렸다. 해병이 되기 위해 겪어야 하는 신병 교육 7주. 그중에서도 가장 힘들었던 극기주 기...
    Date2017.02.27 Views1710
    Read More
  15. [도청도설] 해병대 정 하사 - 국제신문

    인류의 역사는 곧 전쟁의 역사다. 영토·종교·인종 등 문제로 기록될 만한 지구촌 전쟁의 희생자만 36억4000명에 이른다는 연구물도 있다. 전쟁의 역사는 군대 역사이기도 한데 시대마다 막강 군대가 존재해 왔다. 지...
    Date2017.02.06 Views7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