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위(진)허태진 / 해병대지 41호

 

“해병대 아저씨, 감사합니다.”
지난 12월 15일부터 16일까지 우리는 부대 인근에 있는 복지시설을 찾았다. 도솔산에서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몹시 바쁘게 지나갔던 해병대사령부 군악대! 숨 가쁘게 달려온 2011년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들기 위해 우리는 우리와 조금 다른 친구들을 찾아 길을 나섰다.
해병대사령부 군악대의 찾아가는 음악회, 연말연시 조금은 형식적인 방문처럼 보일 수 있기에 친구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없지는 않았지만 우리 대원들이 진심으로 그곳을 향했기에 우리의 마음이 친구들에게 제대로 전해졌으리라 생각하며 미안한 마음을 떨쳐내본다.
크리스마스를 앞 둔 겨울 행사의 첫 날, 그 곳에는 80여 명의 장애우친구들이 우리들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었다. 특별히 그 날은 생일을 맞이하는 몇 명의 친구들의 생일 파티가 열리는 날이라 더욱 의미가 있었고 마치 우리들이 그 친구들의 생일 선물이 되어준 것 마냥 뿌듯하고 기분 좋은 연주회가 될 수 있었다.
‘두둥 두둥 쿵쿵’ 모듬북 공연으로 작은 연주회가 시작되었다. 북소리가 울리자 객석에 앉아있던 친구들의 작은 움직임이 눈에 들어왔다. 비록 몸은 조금 불편한 친구들이었지만 각자 느낀 흥겨움과 즐거움을 자신만의 몸짓과 손짓 그리고 표정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그 모습을 무대 위에서 바라보고 있자니 알 수 없는 미안함과 고마움에 연주대원들을 더욱 힘껏 독려하게 되었다. 무대 뒤에서는 공연을 진행하던 간부들과 친구들이 손에 손을 잡고 박수도 치고 작은 몸짓으로 흥겨워하며 즐거운 축제를 만들어 가고 있었다.

“이번에는 금관 5중주 연주가 있겠습니다. 이 악기는 트럼펫이구요, 이 악기는 트롬본, 이것은 호른, 이것은 튜바라는 악기입니다” 사회자의 설명과 함께 각 악기의 음색을 들려주고 연주를 이어갔다. 처음 보는 신기한 악기와, 그 특유의 음색을 듣는 그들의 표정은 마치 귀한 보물을 만지는 것 마냥 조심스러웠고 들떠 있었다.
조금은 낯설고 어색했던 작은 강당 안이 조금씩 훈훈해지는 것 같았다. 그렇다 우리는 ‘음악’이라는 도구를 통해 하나가 되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작은 무대였지만 우리 대원들은 그들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서 연주를 이어갔고 친구들은 우리를 향해 힘찬 박수와 기대감 가득한 눈빛으로 우리를 응원해주고 있었다. 이 감사함을 어떻게 되돌려 드려야 좋을까 그들에게 힘을 주기 위해 이 곳을 찾은 건 우리인데 오히려 그들에게서 우리가 큰 힘과 격려를 받고 있는 이 먹먹한 감사함을 어찌 다 갚을 수 있을까?
마지막 순서로 스윙밴드 대원들과 친구들이 크리스마스 캐롤을 함께 부르던 순간 자원봉사자 분께서 조용히 말을 전해주셨다. “애들이 평상시에는 잘 웃지도 않는데 이렇게 폴짝폴짝 뛰면서 좋아하는 것은 처음 보네요. 크리스마스 때도 와주세요” 자원봉사자 분의 감사 인사에 괜히 눈가가 시큰해졌다. 내가 느낀 감정을 이 자리에 함께했던 장병 모두가 느꼈을 것이다.
늘 작은 것에 감사하던 나의 대원들이 오늘 누군가에게 그들이 가진 작은 능력을 통해 기쁨과 감동을 주고 있다. 우리의 평범한 오늘 하루가 어느 누구에게는 하나의 희망이 되고, 삶의 기쁨과 에너지가 되어주고 있었다. 지금 내가 대원들과 함께 나누는 이 작은 능력이 얼마나 감사하고 소중한 것인지 새삼 느끼게 된 순간이었다.
모든 연주가 끝나고 우리는 발길을 쉽게 돌리지 못했다. 조금이라도 친구들과 함께 하고 싶은 마음에 친구들과 즐겁게 사진도 촬영하고 그들의 생활관에 들러 이불을 털어주며 아쉬운 마음을 전했다.
혹한의 겨울이 다가오지만, 우리 해병들의 가슴은 누구보다도 따뜻한 겨울이 될 것이다.
앞으로도 시간이 될 때마다 많은 이웃을 찾아가 국민과 진심으로 함께하는 해병대 그리고 해병대 군악대가 될 수 있도록 바쁘게 움직여야겠다. 오늘처럼 추운 겨울이 찾아오면 그들은 어느 겨울날 빨간색 이름표를 달고 있던 우리들이 불러준 노래를 흥얼거릴 것이다.
‘종소리 울려라, 종소리 울려...’



  1. '필승 DNA'에 '혁신' 이식 더 막강해진 '무적 해병'

    창설 69주년을 맞아 국가전략기동부대 대한민국 해병대가 달라지고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해병대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있다.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창설된 해병대는 6·25 전쟁 당시 수많은...
    Date2018.05.16 Views1112
    Read More
  2. 해병대의 초심찾기 ‘참해병 혁신운동’

    조순근 대령 해병대1사단 행정부사단장 ‘작심삼일(作心三日)’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결심한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하고 금방 풀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결심했던 일이 결실을 보려면 지속해서 마음을 바로잡는 것...
    Date2018.03.22 Views1694
    Read More
  3. 백령도와 해병대가 성장시킨 나

    김 태 환 (예)해병중위 전 해병대6여단 정훈참모실 ‘나도 국민이 힘들어할 때 도와주고 부하들보다 궂은일에 앞장서는 멋진 해병대 장교가 될 거야.’ 제주도에서 나고 자란 나는 어려서부터 해병대인을 꿈꿨다. 태풍 ...
    Date2018.03.08 Views1011
    Read More
  4. 신화를 남긴 해병대 전통을 계승하자

    김 재 현 중위(진) 해병대2사단 선봉연대 1967년 2월 15일 새벽, 짙은 안개가 끼고 비가 내리는 베트남의 쾅나이성 손틴군 짜빈동 인근의 야트막한 30m 고지. 청룡부대 11중대는 2개 연대 규모의 월맹 정규군과 3시간...
    Date2018.02.25 Views911
    Read More
  5. 국방개혁 완성을 위한 제언

    김 종 화 소령 해병대2사단 작전참모실 작전계획과 과거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맹자는 “천시는 지리만 못하고, 지리는 인화만 못하다(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라고 해 인적자원을 전쟁의 결정적 승리요인으로 보...
    Date2017.12.18 Views1022
    Read More
  6. 꿈과 희망을 통한 전투력의 배가

    조순근 해병대령해병대사령부 항공단창설준비단장 병영 내 악성 사고는 ‘적’만큼이나 경계하고 조심해야 한다. 부대 장병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유·무형의 전투력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전우에 대한 ...
    Date2017.10.29 Views1132
    Read More
  7. 해병대 창끝부대 소대장의 다짐

    김상아 중위(진)가 중대전술훈련의 일환인 4박5일간의 130km 완전군장 행군에서 선두에 서서 소대원들을 이끌고 있다. <사진 부대 제공> 내 꿈은 초등학생 시절부터 군인이었다. 그런 내가 해병대 ROTC 장교를 지원한...
    Date2017.10.29 Views13125
    Read More
  8. 나를 강하게 만든 혹서기 100㎞ 산악무장행군

    오주현 일병 해병대1사단 행군은 힘들다. 군대에서 행군은 더욱 힘들다. 산악행군은 더더욱 힘들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 산악행군은 더더욱 힘들다. 그러나 우리는 7월의 한여름에 전우들과 함께 100㎞ 산...
    Date2017.08.06 Views1619
    Read More
  9. 달의 뒤편 이야기

    나 상 진 소위 해병대2사단 차갑고 어두운 밤, 한적한 길을 걸어본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한 번쯤은 달빛이 어두컴컴한 길을 밝게 비춰주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한밤중에 빛을 내며 우리를 안전하게 인도하는 달빛...
    Date2017.07.18 Views961
    Read More
  10. 내게 많은 것을 준 해병대

    이재민 일병 해병대 군수단 수송대대 “위잉~위잉~에옹에옹~.” 2017년 5월 16일 08시10분, 호송차 사이렌이 중대 장거리 수송훈련 시작을 알렸다. 평소 운전에 자신이 없던 나는 이번 중대 장거리 수송훈련의 주된 임...
    Date2017.06.25 Views958
    Read More
  11. 첫 대민지원

    류지민 상병 해병대 교육훈련단 우리 소대는 아침 과업정렬 시간에 놀라운 과업을 지시받았다. 오후에 대민지원을 나간다는 것이다. 개인 신변 정리시간에 뉴스나 국방일보를 보면 많은 부대가 대민지원을 나가 국민...
    Date2017.04.09 Views856
    Read More
  12. 故 장시영 회장님을 추모하며 - 정수현. 해병대전우회 제주도연합회 자문위원

    얼마 전 故 장시영 회장의 부고를 받고 인생무상을 느꼈다. 그분은 여러 분야에 헌신하셨지만 해병대에 대한 기여가 남달랐다. 장 회장은 제주도립병원 산부인과 과장을 역임하다 부산에서 의원을 개업하는 중 6·25전...
    Date2017.03.11 Views1011
    Read More
  13. 군대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유 동 선 상병 해병대사령부 근무지원단 나는 부대의 영내·외 화재에 대한 소방임무를 수행하는 소방반 대원이다. 부푼 기대와 각오로 해병대에 입대했지만, 전역 후 뚜렷한 진로를 정하지 못해 최근까지 고민이 많았...
    Date2017.03.03 Views797
    Read More
  14. 해병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재 민 일병 해병대군수단 소대 전술훈련 1주일 전. 나는 혹독했던 해병대 신병 훈련의 악몽을 다시 겪는다는 악몽에 시달렸다. 해병이 되기 위해 겪어야 하는 신병 교육 7주. 그중에서도 가장 힘들었던 극기주 기...
    Date2017.02.27 Views1710
    Read More
  15. [도청도설] 해병대 정 하사 - 국제신문

    인류의 역사는 곧 전쟁의 역사다. 영토·종교·인종 등 문제로 기록될 만한 지구촌 전쟁의 희생자만 36억4000명에 이른다는 연구물도 있다. 전쟁의 역사는 군대 역사이기도 한데 시대마다 막강 군대가 존재해 왔다. 지...
    Date2017.02.06 Views7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