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보직을 소개합니다-조교는 교육생의 거울이다

by 운영자 posted Nov 20,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40155.jpg

송요셉 일병
해병대교육훈련단

 

나는 해병대교육훈련단에서 상륙전교육대대 수색교육대 조교로 복무 중이다. 내가 근무하는 수색교육대는 극한의 상황에서도 생존을 보장하고 은밀한 침투 등 특수 목적으로 활동하는 수색대원이 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만 하는 곳이다. 우리는 1년에 3회 실시하는 수색 교육과 매월 있는 수색기초반 교육을 통해 수색대원을 양성하고, 전투·생존수영 교관화 교육, 잠수 교관화 교육으로 상륙작전 시 해상을 통한 임무수행이 가능한 장병을 배출하는 교관을 양성한다.

 주 교육인 수색 교육은 수영주·잠수주·극기주·회복주·종합훈련주 이렇게 총 9주로 편성돼 있으며, 입교식을 하기 전 해당 교육생이 수색 교육을 받을 수 있는지 없는지를 체력 평가와 수영 평가로 판단한다. 수영주에 들어가면 무장을 메고 10㎞가 넘는 훈련장까지 구보로 이동해 전투수영과 장구수영으로 체력을 증진한다. 잠수주는 잠수 장비를 착용하고 수영장에서 훈련한 다음 해안에 나가 실습을 한다. 극기주는 수색대원으로서 극한의 상황을 이겨낼 수 있도록 수면 시간과 식사량을 최소화하면서 훈련을 하고, 회복주는 극기주로 인한 피로를 풀 수 있도록 이론적인 과업 위주로 진행한다.

마지막 종합훈련은 그동안 교육생들이 배운 것을 종합 평가하는 기간이다. 5~6명을 1개 팀으로 구성해 팀마다 교관과 조교가 붙어 다니면서 임무 중 발생할 수 있는 고립상황 등을 연출, 교육생이 독도법·은거지 구축 등을 적시 적소에 실시하는지 확인하고 대항군이 돼 은밀히 임무를 수행하는지를 평가한다.

 이 과정 동안 조교는 교육생을 훈련장까지 인솔하고 훈련 전 장비와 교장 안전점검 및 교육생들이 처음 접해 보는 장비 착용과 훈련 시범을 보인다. 잠수주 중에는 함께 잠수도 하며 수중에서 교육생들을 관찰하고 위험 행동이 발견되면 즉시 현장에서 지도한다. 나 하나로 인해 뛰어난 수색대원을 양성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감동적이다. 또한 나에게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 물론 처음에는 ‘수색교육대의 조교’라는 책임감이 부담으로 다가왔지만 시간이 지나갈수록 점점 자신감이 생겼다. 개인적으로도 수영과 야지에서의 생존 능력·잠수 등 여러 가지 능력을 갖출 수 있게 됐다.

 입대 후 학교에서는 배울 수 없었던 많은 것을 배우게 된 나의 보직. 요즘은 ‘어떻게 하면 더욱 멋진 조교가 될까’를 생각하며 하루하루를 신나게 보낸다. <국방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