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여단_~1.JPG

'

 

 

 

이른 봄 군에 간 아들이 지난 주말 첫 외박을 나왔다. 고작 2박3일에 오고 가는 길이 한나절, 그야말로 바람처럼 왔다가 바람처럼 가버렸다. …

겨우 넉 달 사이에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또래 누구보다 자유분방했던 아이는 갑자기 훌쩍 커버린 모습으로 나타났다. 정복의 칼날 주름이 행여 무뎌질세라 등을 곧추세워 앉은 채 고된 훈련과 내무생활들을 도리어 자랑스럽게 풀어 놓았다. 하반기에 치러낼 만만치 않은 훈련일정을 얘기하면서도 기대에 찬 표정을 지었다.   …

아들이 짧은 외박을 마치고 귀대하던 날 포항에는 세찬 장맛비가 내렸다. 부대 멀찍이서 차를 내린 아들은 위병소까지 수백m 외길을 꼿꼿한 자세로 고스란히 폭우를 맞으며 걸어 들어갔다. 군에 보내며 기대했던 모습 이상이었다. …'

(2010. 7.16 한국일보 ‘지평선’칼럼 중)

 

  3년 전 해병 1114기로 입대한 아들의 첫 외박 때 소회를 썼던 글의 일부다. 공군에서 병역을 마친 나는 이 때부터 해병대 마니아가 됐다. 사무실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해병대 사이트를 훑어본 뒤 다른 뉴스들을 보고, 해병대 군가를 이어폰으로 들어가며 일을 했다. 난생 처음 상륙돌격장갑차 플라스틱 키트를 사서는 퇴근 후 새벽까지 씨름해댔다.(아들은 1사단 상장승무병이었다) 한 2주쯤 걸렸을까? 만나는 이들마다 늘 손에 말라붙어 있는 본드를 보고 “요즘에 기자 말고 다른 부업도 하느냐?”고 놀렸다.

 

 재작년 하와이의 미 태평양사령부를 방문했을 때 민간재난구조 활동을 하는 백발의 노인을 만났다. 얘기 중에 언뜻언뜻 해병대 경험담이 섞여있는 것 같아 괜히 반가운 마음에 해병대 출신이냐고 물었다. 사람 좋은 미소로 얘기하던 그가 돌연 정색을 했다. “No, I am not an ex-marine. I AM a Marine!(난 전직 해병이 아니다. 나는 해병이다!)” 역시 ‘한번 해병이면 영원한 해병!’, 해병대만의 남다른 자부심은 미 해병대도 마찬가지였다.  


이준희~1.JPG


 아들은 지난 해 초 전역했다. 군에서 얻은 좋은 습관은 채 한 달이 못 간다던가? 아니었다. 해병대 이전과 이후의 아들은 완전히 다른 사람이었다. 삶을 대하는 태도가 성실해졌고, 스스로와 주변에 대한 책임감이 분명해졌다. 국가관도 건강해졌으며, 무엇보다 어떤 어려운 일이든 겁내지 않고 일단 부딪쳐보는 패기가 생겼다. 세상에, 20여 년 엄마의 잔소리와 학교도 해내지 못한 일을 단 2년도 안 되는 기간에 해병대가 해냈다.

 

 지난 여름 국방부에서 군 체험을 제안했을 때 주저 없이 해병대를 택했다. 백령도 도처에 내걸린 ‘우리는 조국의 총 끝, 칼 끝’같은 맹렬한 구호들, 하루에도 몇 번씩 비지땀을 쏟으며 급경사로를 뛰어올라 순식간에 전투태세에 돌입하는 K-9 부대원들, “백령 바다에 적들을 수장(水葬)하자!” 구호와 함께 칠흑 같은 바다에 총탄을 쏟아 붓던 야간사격훈련, 절벽 위 초병들의 매서운 눈빛, 새벽 바다안개 속의 전투수영…. 돌아오는 뱃길, 저 외로운 섬마다 우리의 젊은 해병들이 기꺼이 희생을 감당하고 있다는 생각에 콧날이 시큰해졌다. 당시의 감동은 지금껏 크고도 깊게 남았다.  


 

해병대~1.JPG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KCTC)에서 해병대가 전례 없는 전과를 올려 한창 화제가 되던 무렵이었다. 합참 고위관계자에게 농담처럼 제안했다. “타군 교관들을 해병대 교육훈련단에서 일정기간 위탁 교육받게 하거나, 해병대 교관들을 타군에 보내 해병대처럼 훈련시켜보면 어떨까?” 그가 고개를 흔들었다. “해병대식으로 훈련시킨다 해서 절대 해병대 같은 전투력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해병대는 스스로가 고통을 선택한 병사들이기 때문에 어떤 훈련이나 지시도 다들 감수할 자세가 돼있다. 대부분 병역의무를 위해 입대한 타군 병사들을 똑같이 훈련 시켰다가는 큰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K-9자~1.JPG


 늘 온화하고 신사다운 태도로 정평 있는 언론계 동료가 있다. 언론계 중진끼리의 모임도 막판이면 군대 얘기로 흐르는 건 다를 게 없다. 다들 저 아니면 벌써 대한민국이 망했을 것처럼 잔뜩 과장하는데 이 친구만 빙그레 웃으며 듣고만 있었다. “당신은 할 얘기 없어? 혹시 군대 안 갔어?” “아니, 갔다 왔지.” “그래? 어디서 근무했는데?” “…응, 해병대.” 갑자기 조용해졌다. 이후 아무도 더 이상 군생활을 자랑하지 않았다. 강함은 평소 함부로 드러내지 않을 때 가장 멋있다는 걸 그 친구를 통해 새삼 깨달았다.       

이게 해병대다. 국민들이 해병대에 갖는 신뢰는 다른 게 아니다. 직업군인을 안정된 공무원쯤으로 여기고, 군 복무를 좀 길고 빡센 캠프 정도로 생각하는 이들이 많아지는 현실에서 해병대만은 단연코 그렇지 않다는, 또는 그럴 리 없다는 믿음이다. 실제로 3년 전 연평도 포격전은 충성, 명예, 도전, 희생 등 군 본연의 가치가 해병대에는 여전히 생생하게 살아있음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해병대는 이미 대한민국의 일급 브랜드다. 해병대원 한 명 한 명마다 지키고 키워갈 책임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오늘도 이 명예로운 브랜드를 훌륭하게 지켜가고 있는 해병대원 모두에게 감사와 경의를 표한다.

이준희 한국일보 논설실장 / 해병대블로그 날아라마린보이



  1. 이제부터는 해병대를 사랑으로 품어주자

    이세영 건양대학교 국방공무원학과 교수 지난달 4일 우리들은 강화도에서 들려온 정말 가슴 아픈 사건을 접하게 된다. 2005년 6월에 전방부대에서 발생했던 끔찍했던 총 격사건을 잊은 지 꽤 오래되었는데 그만 금번 ...
    Date2011.08.05 Views2884
    Read More
  2.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시론 -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 국방일보 2011.7.27 신원배 (예)해병대소장 /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사무총장 # 지금으로부터 58년 전인 1953년 7월 23일, 유엔군 대표 윌리엄 해리슨 중장과 북한군 대표 남...
    Date2011.07.27 Views2649
    Read More
  3. No Image

    다시 태어나는 해병대의 모습을 보이길

    <대한매일신문 홍성봉의 是是非非> 홍성봉 편집국장 귀신도 잡는다는 우리나라의 해병대가 구타와 폭언 등 후진적인 군기문화를 퇴출시키기 위해 최근 발생한 해병 2사단 총기난사 사건을 계기로 ‘병영문화 혁신 100...
    Date2011.07.25 Views2663
    Read More
  4. "젊은 해병을 명예롭게 대우 안하면 戰場 선봉에 설 수 없다"

    해병대 사령부 병영문화 혁신 대토론회 각계 200여명 참석 - 金국방 "구타는 식민 잔재"… 현역 부사관 "期數는 악습" 어떤 대안이 논의됐나 - 가혹행위 땐 붉은명찰 떼고 해당 부대는 해체, 재창설 <조선일보 유용원...
    Date2011.07.24 Views3665
    Read More
  5. No Image

    해병대와 개병대의 차이 -오시영의 세상의 창

    오시영 숭실대 법대학장/변호사/시인 우리는 해병대와 관련한 몇 가지 유행어를 알고 있다. 그 중 하나가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든지, “해병대는 개병대다!”라는 말이다. 앞의 말은 해병대의 용감성과 의리,...
    Date2011.07.22 Views2392
    Read More
  6.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 2사단 해안경계소초에서 총기사고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해병대의 관행...
    Date2011.07.20 Views2999
    Read More
  7.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편집자에게]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강신길 한국해양수산연수원장·해병대 예비역 준장 요즘 '귀신 잡는 해병대'가 '전우 잡는 해병대'가 되었다는 언론의 질책에 해병대 예비역 장성의 일원으로 몸 둘 ...
    Date2011.07.20 Views3946
    Read More
  8. No Image

    동성애자까지 나서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기자수첩] 해병대를 공격하는 좌파진영 ‘자칭 군인권단체’, 해병대 사고 조사에 끼워 달라 주장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좌파 진영, 盧정권 시절 '병영문화개선위원회' 실패...
    Date2011.07.19 Views2345
    Read More
  9. “그래도 용맹 해병대는 사랑 받아야 한다!”

    해병대를 위한 변명 그리고 고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부대에서 가혹행위로 인해 김 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4명의 해병대원이 목숨을 잃었다. 불과 일주일만인 10일 포항의 해병대 1사단에서 정모 일병이 가혹행위...
    Date2011.07.19 Views2202
    Read More
  10. 상륙작전에 정통한 장교로 첫걸음

    김규태 소위 / 해군5전단 생도생활을 마치고 해군 장교로서 실무에 배치되자마자 2011년 연대급 합동상륙훈련 상황장교로 파견을 가게 됐다. 상륙작전이라고는 생도 시절 군사학 과목으로 잠깐, 그리고 초군반 성분작...
    Date2011.07.17 Views4043
    Read More
  11. 황석영 작가가 해병대 후배들에게…다시 전우를 생각한다

    <서울신문 7/16 8면> 요즈음 해병대에서 일어난 몇 차례의 군기 사고에 대하여 너무도 뻔하고 상투적인 여론이 들끓는 것을 보며 착잡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나는 한국의 젊은이라면 누구나 겪어야 하는 병역의 ...
    Date2011.07.17 Views3624
    Read More
  12. 진화의 시계가 정지된 해병대 / 김종대

    김종대 <디앤디포커스> 편집장 생물이 유전자를 통해 자신을 복제하듯이 인간 집단도 자신의 문화를 후대로 전승한다. 이러한 집단의 유전자를 사회생물학에서는 ‘밈’(Meme)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다른 집단과 구별...
    Date2011.07.17 Views2822
    Read More
  13. No Image

    해병대 때리는 언론을 네티즌이 때린다

    몽상한 문사들의 횡포에 우직한 무사들 반발 방송의 해병대 죽이기가 집요하게 반복되는 게 아닌가 의심되는 가운데 네티즌들은 반송에 비판적이다. 14일 "유낙준 해병대사령관은 12일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만나 ‘책...
    Date2011.07.16 Views4916
    Read More
  14. [설왕설래] 해병대

    無敵海兵(무적해병)’,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최초로 써준 휘호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6월 해병 제1연대가 17일 만에 강원도 양구의 도솔산을 점령한 공로다. 이때부터 해병은 무적해병으로 통했다. ‘귀신 잡...
    Date2011.07.14 Views2806
    Read More
  15. 강한 훈련으로 무적해병의 명성을/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지난 한주 해병2사단 총기사건으로 온 나라가 충격에 빠졌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의 낭보가 아니었더라면 며칠 더 뉴스의 앞머리를 장식했을지 모른다. 동료 전우 4명의 목숨을 앗...
    Date2011.07.12 Views4815
    Read More
  16. ‘영원한 해병’의 위기- 방형남(동아닷컴)

    해병부대 총기 사건은 지난달 말 정년퇴직한 선배가 남긴 말을 다시 떠올리게 한다. 그는 논설위원 동료들과 석별의 정을 나 누는 자리에서 “군과 검경(檢警)은 비판을 할 때도 밑바탕에 애정을 깔고 바라봐야 한다”...
    Date2011.07.10 Views2711
    Read More
  17. No Image

    우리를 돌아보는 계기입니다.

    유용원의 군사세계 sealhur 님의 게시글 제대한지 30년이 되어 가지만 마음은 아직도 현역이란 생각에서 벗어나질 못합니다. 해병대란 이렇게 강한 중독과 향수를 갖게하는 거겠죠. 언론에서 말하는대로 배타적이고 ...
    Date2011.07.08 Views1971
    Read More
  18. No Image

    深度 있는 조사로 해병대 병영 바꿀 것 집어내라 - 조선일보 사설

    해병대 2사단의 강화도 해안 소초 생활관(내무반)에서 근무하던 김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부대원 4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했다. 지난 2005년 6월 경기 연천군 육군 28사단 최전방 초소(GP)에서 김모 일병이 수류탄...
    Date2011.07.06 Views2589
    Read More
  19. No Image

    <연합시론> `군기 빠진' 해병대, 강군으로 거듭나야

    (서울=연합뉴스) 우리 군의 최정예로 꼽히는 해병대가 흔들리고 있다. 군기가 풀렸다는 징후가 꼬리를 물더니 급기야 병사 4명이 죽고 2명이 다치는 총기난사 사건이 터졌다. 해병대에서 이런 총기 사건이 난 것은 사...
    Date2011.07.05 Views2475
    Read More
  20. No Image

    ‘해병대 정신’ 다시 세우라 - 문화일보 사설

    강화도 해병대 해안 소초에서 4일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김정일의 잦은 도발에 맞서며 서해영토를 지켜온 해병대에서 병사 4명이 동료 사병의 총기난사로 숨진 사건은 1990년대 ...
    Date2011.07.05 Views25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 28 Next
/ 2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