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하.jpg
김종하 / 한남대 국방전략대학원 교수 · 군사학

2일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은 “육군과 해군에서 특전사와 해병대를 각각 차출해 새로운 부대를 만들어 4군(軍)체제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해병대를 별도의 특수전 부대로 해군에서 독립시키거나, 아니면 해병과 특전사를 통합해 10만 병력의 ‘해병특전사령부’를 창설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해병대는 특전사와 같은 특수부대가 아니라, 그보다 상위 차원의 특수한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대통령이 설치하고 지정한 ‘특수목적군’이다. 상륙작전을 비롯해 기습·공수·유격·수색 등의 다양한 작전을 수행하는 군인 것이다. 특히 해상기지를 기반으로 해 전투력을 바다로부터 육상으로 투사하는 군종으로, 특전사와 해병대의 통합은 좋은 방안이 아니다.

현재 해병대가 해군 소속이고, 특수목적군으로서의 임무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대한민국 해병대는 사령부, 북한의 측·후방으로 상륙작전을 전담하는 포항 1사단, 김포반도에서 휴전선 전방지대 방어를 담당하고 있는 김포 2사단, 전략도서 방어를 담당하고 있는 백령도 6여단 및 연평도 연평부대, 그리고 교육훈련단 및 상륙지원단을 포함, 약 2만7000여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파병, 재해·재난 지원 등과 같은 평시 역할은 1사단이, 육군의 고유임무인 수도권 북방 방어는 해병 2사단이 수행하고 있다. 이는 해병대가 그 본연의 임무수행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다.

첫째, 해병대는 해군 소속으로 3성 장군이 지휘하다 보니 국방예산 배분, 특히 방위력 개선비 배분을 위한 의사결정 시 제대로된 목소리를 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해병대를 해군에서 독립시켜 독자적인 작전 수행과 함께 독자적인 예산편성도 가능케 해야 한다. 그러지 않고는 육·해·공군의 전력 증강을 둘러싼 이해관계로 인해 해병대의 전력 증강은 사실상 어렵다.

둘째, 1사단은 미래전 대비 선진국들의 해병대 발전 추세에 부합하도록 상륙작전에 특화된 전략기동부대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현재 유일하게 상륙작전 능력을 갖추고 있는 만큼, 앞으로 억제력을 발휘하고 전시 전역작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새로운 능력을 더 보강해야 한다. 일례로 상륙병력과 장비의 수송·정찰·수색을 담당하는 기동·지원 헬기대대 각 1개, 그리고 상륙목표 지역의 적 병력을 제압하는 공격용 헬기대대 1개 등 모두 3개 항공대대구성된 공지(空地) 기동 능력을 갖춘 1개 항공여단 규모의 항공단 창설을 통한 지원을 들 수 있다.

셋째, 2사단은 비군사적 위협에 대응하는 신속대응부대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지금처럼 김포반도에서 경계임무를 수행하는 데서 벗어나, 평시작전에 활용할 수 있는 신속대응부대로 개편, 운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6여단과 연평부대는 전략도서방어에 지금보다 더 효과적인 부대로 탈바꿈해 나가야 한다. 해군과 해병대의 고유 임무 가운데 하나가 바로 전략도서 방어다. 이는 도서를 방어하는 해병대와 도서를 포함하는 해역을 담당하는 해군과의 협력작전을 통해 주로 이뤄진다. 서해5개 도서 방어를 육군에 맡기는 것은 해군과 육군의 합동작전이 미흡한 국군에는 대비태세에 더 큰 취약점을 초래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전통적 위협과 비전통적 위협이 혼재된 복합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해병대를 전략기동부대, 신속대응부대, 전략도서방어부대의 삼각 대응체제로 편성, 운용해 나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과정에서 해병대의 가치, 국민의 사랑과 지지, 예비역들의 강한 응집력 등을 적절히 활용하는 국민적 차원의 노력이 더해진다면 대한민국 해병대의 능력은 상상을 초월하게 될 것이다.


  1. ‘영원한 해병’의 위기- 방형남(동아닷컴)

    해병부대 총기 사건은 지난달 말 정년퇴직한 선배가 남긴 말을 다시 떠올리게 한다. 그는 논설위원 동료들과 석별의 정을 나 누는 자리에서 “군과 검경(檢警)은 비판을 할 때도 밑바탕에 애정을 깔고 바라봐야 한다”...
    Date2011.07.10 Views2711
    Read More
  2. No Image

    우리를 돌아보는 계기입니다.

    유용원의 군사세계 sealhur 님의 게시글 제대한지 30년이 되어 가지만 마음은 아직도 현역이란 생각에서 벗어나질 못합니다. 해병대란 이렇게 강한 중독과 향수를 갖게하는 거겠죠. 언론에서 말하는대로 배타적이고 ...
    Date2011.07.08 Views1971
    Read More
  3. No Image

    深度 있는 조사로 해병대 병영 바꿀 것 집어내라 - 조선일보 사설

    해병대 2사단의 강화도 해안 소초 생활관(내무반)에서 근무하던 김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부대원 4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했다. 지난 2005년 6월 경기 연천군 육군 28사단 최전방 초소(GP)에서 김모 일병이 수류탄...
    Date2011.07.06 Views2589
    Read More
  4. No Image

    <연합시론> `군기 빠진' 해병대, 강군으로 거듭나야

    (서울=연합뉴스) 우리 군의 최정예로 꼽히는 해병대가 흔들리고 있다. 군기가 풀렸다는 징후가 꼬리를 물더니 급기야 병사 4명이 죽고 2명이 다치는 총기난사 사건이 터졌다. 해병대에서 이런 총기 사건이 난 것은 사...
    Date2011.07.05 Views2475
    Read More
  5. No Image

    ‘해병대 정신’ 다시 세우라 - 문화일보 사설

    강화도 해병대 해안 소초에서 4일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김정일의 잦은 도발에 맞서며 서해영토를 지켜온 해병대에서 병사 4명이 동료 사병의 총기난사로 숨진 사건은 1990년대 ...
    Date2011.07.05 Views2553
    Read More
  6.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출처 : 7연대 카페 멧돼지동산
    Date2011.07.03 Views4091
    Read More
  7. ‘싸우면 이기는’ 해병대, 날개 달다

    전황기 해병대사령부 중령 [6월,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 배경과 의미 과거부터 서북도서와 NLL 부근에서는 크고 작은 북한의 도발 위협이 지속되었고, 그때마다 우리 해병대는 이를 지키...
    Date2011.06.30 Views2488
    Read More
  8. No Image

    해병대 독자성 강화 기대된다

    &lt;기호일보 사설 2011.6.28&gt;마침내 해병대조직법, 군인사법, 군수품관리법 등 3개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되면서 해병대는 명실상부한 법적 지위 및 독자성이 대폭 강화됐다고 한다. 작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
    Date2011.06.30 Views2034
    Read More
  9. No Image

    조용하지만 강한 ‘제주도 해병대’

    서인직 해군제주방어사령부 본부대 상병 / 제주일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주도에 해병대가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그리고 전투와는 한참 먼 후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주도는 도민들의 10분의 1이 해병대 출...
    Date2011.06.25 Views4666
    Read More
  10. 해병대 쌍룡합동상륙훈련

    박세봉 상병 해병대1사단 / 국방일보 2011.6.22 여명을 가르는 장갑차와 전차 소리에 훈련이 시작됐음을 깨달았고 바다를 가르는 독도함의 뱃고동 소리에 이 훈련의 웅장함을 새기게 됐다. 이렇게 2011년도 ‘쌍룡 1-1...
    Date2011.06.22 Views3464
    Read More
  11.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거는 기대 - 동아일보 시론 김태현

    15일 해병대를 모체로 하고 육해공군을 망라한 합동참모부를 갖춘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창설됐다. 이 조치는 군사적 전략적으로 중대한 의미가 있다. 첫째, 당연한 말이지만 서해5도 지역의 방위전력을 크게...
    Date2011.06.16 Views2704
    Read More
  12. 서북도서 방위사령부 창설 이후 과제

    문화일보 / 이갑진 전 해병대사령관 게재 일자 : 2011-06-14 14:00 지난해 11월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일어난 지 7개월 만에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15일 창설된다. 해병대 사령관이 지휘하는 서방사...
    Date2011.06.14 Views2675
    Read More
  13. 6월을 맞아 동작동 국립 현충원을 찾았다 - 임종린

    임종린(시인, 전 해병대사령관) 우리국민 그 누구도 죽음 앞에서는 자신을 통제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특히 푸른 유니폼을 입고 있거나 입었던 사람들에게는 헌신해 왔던 천직의식이 값어치를 샘할 수 없을 정도로 ...
    Date2011.06.05 Views2998
    Read More
  14. 현빈 출연금지령 - 박성진

    &lt;박성진의 군이야기&gt; ‘한류 스타’ 김태평 이병(29·현빈)을 보기가 무척이나 힘이 듭니다. 현빈은 5월26일 열린 제47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시크릿가든’으로 TV부문 대상을 수상했지만 영상으로만 인사를 대신했습니다....
    Date2011.06.01 Views3877
    Read More
  15. 손원일 제독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 임성채

    임성채 - 해군역사기록관리단 편찬과장 지난 28일은 해군을 창설한 고(故) 손원일 제독 탄생 102주년이 되는 날이다. ‘우리 민족이 번영할 수 있는 지름길은 바다에 있 다’고 예지한 손 제독은 해방 직후인 1945년 11...
    Date2011.05.30 Views37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