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5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첨부

권혁진.jpg

권 혁 진 상병 해병대군수지원단 본부대


"군인은 반드시 승리해야 하고 군인은 언제나 명예로워야 한다." 이 말은 해병대 창설을 역설한 초대 해군참모총장, 손원일 제독께서 남긴 말씀이다. 늘 우리가 경례구호로 외치는 필승과 명예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항상 승리하면 명예로워지는 것일까?

지난주 해병대 정체성 강화를 위해 떠난 안보현장 견학은 해병대가 처음 창설된 진해, 6·25전쟁 때 수많은 적과 맞서 싸워 승리한 마산, 그리고 국가 운명의 칼날을 돌려 겨눌 수 있게 했던 통영을 거치는 여정이었다. 언제나 적은 수로 더 많은 적과 맞서서, 패배한 전장이 없고 지키지 못한 고지가 없는 그날의 영웅적인 선임 해병들의 업적을 훑으며, 그날 우리는 성지 순례자와 같은 엄숙함으로 무장했다.

진해 해병대 창설 기념비를 견학한 후, 그 맞은편에 '해병혼'을 간직한 채 우뚝 서 있는 천자봉을 바라보며 선배들의 피땀 어린 절규를 잠시 떠올리기도 했다. 이후 진동리 지구 전첩비와 통영 상륙작전 현장도 둘러볼 수 있었다.

이 '순례길'에서 우리는 과거 영웅들과 같은 피가 우리의 DNA가 되어 면면히 이어지고 있음을 느꼈다. 자랑스러웠다. 나서서 자랑하진 않아도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그 시절 선임 해병들은 승리를 준비했었고, 누구보다 용감하고 강인했다는 것을. 이제 그런 선임 해병들의 역사를 지금은 우리가 이어나가고 있고, 그들과 우리가 똑같은 해병이라는 사실에 강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이토록 대단한 해병대의 역사를 이어나가는 우리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짐을 동시에 느꼈다.

이 찬란한 해병대의 역사를 명예롭게 이어나가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통영 상륙작전 기념관에서 만난 나이 지긋한 선배 해병은 우리에게 해병대를 잘 부탁한다며 힘을 주어 경례를 하셨다. 내 옆의 동기를 비롯한 몇몇은 얼굴이 붉게 상기됐고 모두의 가슴속에 큰 감동이 퍼졌다.

그때 느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를. 그것은 할아버지 이전 세대부터 힘들게 이어온 해병대 정신을 우리가 잘못된 문화로 흐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 현실적인 목표는 '병영문화혁신을 위한 바른 생각과 자세'일 것이다.

가족 같은 분위기에서 생긴 끈끈한 전우애를 바탕으로 한 전투력, 그것이 바로 해병대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우리는 선임 해병들이 이어온 명예로운 해병대를 명예롭게 이어갈 것이다.



  1. '필승 DNA'에 '혁신' 이식 더 막강해진 '무적 해병'

    창설 69주년을 맞아 국가전략기동부대 대한민국 해병대가 달라지고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해병대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있다.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창설된 해병대는 6·25 전쟁 당시 수많은...
    Date2018.05.16 Views1157
    Read More
  2. 해병대의 초심찾기 ‘참해병 혁신운동’

    조순근 대령 해병대1사단 행정부사단장 ‘작심삼일(作心三日)’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결심한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하고 금방 풀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결심했던 일이 결실을 보려면 지속해서 마음을 바로잡는 것...
    Date2018.03.22 Views1731
    Read More
  3. 백령도와 해병대가 성장시킨 나

    김 태 환 (예)해병중위 전 해병대6여단 정훈참모실 ‘나도 국민이 힘들어할 때 도와주고 부하들보다 궂은일에 앞장서는 멋진 해병대 장교가 될 거야.’ 제주도에서 나고 자란 나는 어려서부터 해병대인을 꿈꿨다. 태풍 ...
    Date2018.03.08 Views1047
    Read More
  4. 신화를 남긴 해병대 전통을 계승하자

    김 재 현 중위(진) 해병대2사단 선봉연대 1967년 2월 15일 새벽, 짙은 안개가 끼고 비가 내리는 베트남의 쾅나이성 손틴군 짜빈동 인근의 야트막한 30m 고지. 청룡부대 11중대는 2개 연대 규모의 월맹 정규군과 3시간...
    Date2018.02.25 Views940
    Read More
  5. 국방개혁 완성을 위한 제언

    김 종 화 소령 해병대2사단 작전참모실 작전계획과 과거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맹자는 “천시는 지리만 못하고, 지리는 인화만 못하다(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라고 해 인적자원을 전쟁의 결정적 승리요인으로 보...
    Date2017.12.18 Views1052
    Read More
  6. 꿈과 희망을 통한 전투력의 배가

    조순근 해병대령해병대사령부 항공단창설준비단장 병영 내 악성 사고는 ‘적’만큼이나 경계하고 조심해야 한다. 부대 장병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유·무형의 전투력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전우에 대한 ...
    Date2017.10.29 Views1167
    Read More
  7. 해병대 창끝부대 소대장의 다짐

    김상아 중위(진)가 중대전술훈련의 일환인 4박5일간의 130km 완전군장 행군에서 선두에 서서 소대원들을 이끌고 있다. <사진 부대 제공> 내 꿈은 초등학생 시절부터 군인이었다. 그런 내가 해병대 ROTC 장교를 지원한...
    Date2017.10.29 Views13189
    Read More
  8. 나를 강하게 만든 혹서기 100㎞ 산악무장행군

    오주현 일병 해병대1사단 행군은 힘들다. 군대에서 행군은 더욱 힘들다. 산악행군은 더더욱 힘들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 산악행군은 더더욱 힘들다. 그러나 우리는 7월의 한여름에 전우들과 함께 100㎞ 산...
    Date2017.08.06 Views1635
    Read More
  9. 달의 뒤편 이야기

    나 상 진 소위 해병대2사단 차갑고 어두운 밤, 한적한 길을 걸어본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한 번쯤은 달빛이 어두컴컴한 길을 밝게 비춰주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한밤중에 빛을 내며 우리를 안전하게 인도하는 달빛...
    Date2017.07.18 Views998
    Read More
  10. 내게 많은 것을 준 해병대

    이재민 일병 해병대 군수단 수송대대 “위잉~위잉~에옹에옹~.” 2017년 5월 16일 08시10분, 호송차 사이렌이 중대 장거리 수송훈련 시작을 알렸다. 평소 운전에 자신이 없던 나는 이번 중대 장거리 수송훈련의 주된 임...
    Date2017.06.25 Views981
    Read More
  11. 첫 대민지원

    류지민 상병 해병대 교육훈련단 우리 소대는 아침 과업정렬 시간에 놀라운 과업을 지시받았다. 오후에 대민지원을 나간다는 것이다. 개인 신변 정리시간에 뉴스나 국방일보를 보면 많은 부대가 대민지원을 나가 국민...
    Date2017.04.09 Views885
    Read More
  12. 故 장시영 회장님을 추모하며 - 정수현. 해병대전우회 제주도연합회 자문위원

    얼마 전 故 장시영 회장의 부고를 받고 인생무상을 느꼈다. 그분은 여러 분야에 헌신하셨지만 해병대에 대한 기여가 남달랐다. 장 회장은 제주도립병원 산부인과 과장을 역임하다 부산에서 의원을 개업하는 중 6·25전...
    Date2017.03.11 Views1041
    Read More
  13. 군대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유 동 선 상병 해병대사령부 근무지원단 나는 부대의 영내·외 화재에 대한 소방임무를 수행하는 소방반 대원이다. 부푼 기대와 각오로 해병대에 입대했지만, 전역 후 뚜렷한 진로를 정하지 못해 최근까지 고민이 많았...
    Date2017.03.03 Views834
    Read More
  14. 해병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재 민 일병 해병대군수단 소대 전술훈련 1주일 전. 나는 혹독했던 해병대 신병 훈련의 악몽을 다시 겪는다는 악몽에 시달렸다. 해병이 되기 위해 겪어야 하는 신병 교육 7주. 그중에서도 가장 힘들었던 극기주 기...
    Date2017.02.27 Views1734
    Read More
  15. [도청도설] 해병대 정 하사 - 국제신문

    인류의 역사는 곧 전쟁의 역사다. 영토·종교·인종 등 문제로 기록될 만한 지구촌 전쟁의 희생자만 36억4000명에 이른다는 연구물도 있다. 전쟁의 역사는 군대 역사이기도 한데 시대마다 막강 군대가 존재해 왔다. 지...
    Date2017.02.06 Views8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