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래 기고] 국군의 혁신을 위한 제언

by 운영자 posted Apr 30,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김형래.jpg

김형래 중령 해병대6여단


『무한혁신』(노나카 이쿠지로 저)은 세계 최강의 조직으로 성장한 미국 해병대의 생존전략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책이다. 저자는 미 해병대가 “통렬한 반성과 현실 직시 그리고 미래 예측을 통해 지금의 최강 부대가 될 수 있었다”고 분석한다. 이 책을 통해 우리 군과 해병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 해병대의 첫 번째 도전은 탄생과 함께 찾아왔다. 미국 독립전쟁 중 2개 대대 규모로 창설된 미 해병대는 초창기 그들만의 명확한 임무 영역을 구축하지 못해 필요성 논란에 시달렸지만, 1차 세계대전에서 혁혁한 공을 세우고 병력 7만5000명 규모의 조직으로 성장했다. 두 번째 도전은 1차 세계대전 종전과 함께 찾아왔다. 전후 군비감축을 명분으로 병력이 1만5000명 규모로 축소된 것이다. 위기의 순간, 미 해병대는 조직의 생존을 위해 전 구성원이 머리를 맞대고 ‘상륙작전’ 개념을 체계화했다. 그리고 2차 세계대전 태평양 전장에서 260여 회의 상륙작전을 성공시키며 존재감을 뽐냈다. 전쟁이 끝나자 미국은 다시 한번 군비감축에 들어갔다. 병력 규모가 감축되는 위기 속에서 미 해병대는 베트남전쟁을 거치며 ‘공지기동부대’라는 ‘즉응부대’ 개념을 발전시킨다. 미국의 국익을 위해 부대를 전 세계에 신속히 투사할 수 있는 ‘공지기동부대’ 개념은 해병대 존재가치에 대한 미국민의 지지를 끌어냈고, 지금까지 미국민이 가장 신뢰하는 세계 최강의 군대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거듭되는 위기를 극복하고 성장해온 미 해병대의 변혁에서 우리 군은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첫째, 조직원들 간 소통이 원활해야 한다. 조직은 엘리트 1명이 이끌어가지 못한다. 구성원 전체의 집단지성과 역할분담이 있어야 한다. 미 해병대는 조직의 위기가 있을 때마다 전 구성원이 조직의 사활을 걸고 토론했고 새로운 개념을 창조해냈다. 조직의 비전을 공유하고 서로 의견을 주고받는 소통 속에서 상호 간의 일체감이 형성된다면, 하나 된 힘을 원동력으로 조직 발전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조직 외부의 흐름에 밝아야 한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안보환경의 변화는 미래전 양상을 변화시킬 것이다. 미 해병대는 시대 흐름과 전쟁 양상을 미리 파악하고 그에 최적화된 모습으로 조직을 변화시키며 국민에게 존재가치를 역설했다. 우리 군이 접하게 될 미래 전장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모든 것을 바꿔놓을 것이다. 무인기·로봇 등을 활용한 새로운 작전개념을 선제적으로 발전시키고 활용해 어떠한 전장환경에서도 승리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항상 국민의 곁에서 국민의 필요에 응답해야 한다. 미 해병대가 위기마다 생존하고 조직을 키울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해병대=승리’라는 미국민의 믿음과 전폭적인 지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같은 비군사적 안보위협에 맞서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 우리 군의 노력은 국민에게 신뢰받는 군이 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2020년 4월 16일 국방일보 오피니언 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