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8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첨부
장원주 해병 소령.jpg

장원주 해병 소령 합동군사대학교 해병대 작전전술교관



수많은 전쟁의 역사를 가진 독일에서 리더의 어원은 “전쟁터에서 가장 앞장서서 전투를 이끌거나 모범을 보이는 사람, 즉 전투에서 먼지를 제일 먼저 뒤집어쓸 수밖에 없으며 전투 간에 고통을 참고 견뎌야 하는 사람”이다. 이렇게 리더는 불확실성과 죽음의 공포가 난무하는 전투에서 부하들을 이끌어야 하고 한 치 앞도 모르는 미래와 전장으로 나가야 하므로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을 갖고 앞장설 수밖에 없다. 그러면 이러한 여건에서도 주어진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리더가 갖춰야 할 소양(素養)은 무엇일까?

동양의 군사전략 사상가인 손무는 『손자병법』에서 장수의 자질로 지(智), 신(信), 인(仁), 용(勇), 엄(嚴)을 언급하면서 장수에 대한 부하들의 믿음과 신의는 전장에서 보여주는 장수의 지략과 인의, 용기에서 나온다고 했다. 또한 서양의 군사전략 사상가인 클라우제비츠는 『전쟁론』에서 지휘관의 자질을 ‘지성과 감성’으로 기술했다. 즉, 불확실성과 육체적 긴장 및 고통이 수반되는 전쟁에서 흔들림과 망설임 없이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결단력과 통찰력·침착성이 지성의 힘이며, 전장의 공포를 용기로 승화시키고 작전 수행 간에 의지가 약해지는 것을 단호함과 완강함으로 버티며, 매우 격렬한 감정의 동요에도 균형을 잃지 않고 확고한 자기 신념으로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감성의 힘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러한 ‘지성과 감성’의 합금이야말로 전쟁을 수행하는 리더가 갖춰야 할 소양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부하들이 리더와 똑같은 의지와 시각을 갖추고, 함께 고통을 나눌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며, 전투 중에 화합하고 망설임 없이 진격하도록 만드는 힘이다. 전장에서 장수에게 하늘의 이치와 자연의 섭리가 주어져도 부하들이 움직이지 않으면 전투에서 승리할 수가 없다. 즉, 아무리 좋은 목적과 의도를 가진 임무라도 리더가 제대로 된 지침과 방향으로 이끌어 가지 못하거나 자신의 고집과 공명심으로 부하들의 의지를 거스르는 행동을 한다면 성과를 거둘 수 없다. 이처럼 ‘지성과 감성’은 군대라는 조직에서 구성원들이 전장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의지를 하나로 모으는 힘이자 리더와 부하들을 이어주는 핵심적인 능력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조직의 구성원들이 경계를 넘나들며 상호 협업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조적으로 융합하는 집단지성, 협업 지성, 공생적 지능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리더가 먼저 자신의 지식과 내면을 파악한 후 부족한 분야를 학습해 지성을 갖추고, 부하들을 이해하고 배려하면서 자연스럽게 그들과 감성을 통한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해 자발적인 협력을 끌어낸다면 어떠한 임무가 주어져도 창조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국방일보 병영의창 2020.7.21>



  1. 꿈과 희망을 통한 전투력의 배가

    조순근 해병대령해병대사령부 항공단창설준비단장 병영 내 악성 사고는 ‘적’만큼이나 경계하고 조심해야 한다. 부대 장병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유·무형의 전투력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전우에 대한 ...
    Date2017.10.29 Views1167
    Read More
  2. 해병대 창끝부대 소대장의 다짐

    김상아 중위(진)가 중대전술훈련의 일환인 4박5일간의 130km 완전군장 행군에서 선두에 서서 소대원들을 이끌고 있다. &lt;사진 부대 제공&gt; 내 꿈은 초등학생 시절부터 군인이었다. 그런 내가 해병대 ROTC 장교를 지원한...
    Date2017.10.29 Views13191
    Read More
  3. 나를 강하게 만든 혹서기 100㎞ 산악무장행군

    오주현 일병 해병대1사단 행군은 힘들다. 군대에서 행군은 더욱 힘들다. 산악행군은 더더욱 힘들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 산악행군은 더더욱 힘들다. 그러나 우리는 7월의 한여름에 전우들과 함께 100㎞ 산...
    Date2017.08.06 Views1635
    Read More
  4. 달의 뒤편 이야기

    나 상 진 소위 해병대2사단 차갑고 어두운 밤, 한적한 길을 걸어본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한 번쯤은 달빛이 어두컴컴한 길을 밝게 비춰주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한밤중에 빛을 내며 우리를 안전하게 인도하는 달빛...
    Date2017.07.18 Views998
    Read More
  5. 내게 많은 것을 준 해병대

    이재민 일병 해병대 군수단 수송대대 “위잉~위잉~에옹에옹~.” 2017년 5월 16일 08시10분, 호송차 사이렌이 중대 장거리 수송훈련 시작을 알렸다. 평소 운전에 자신이 없던 나는 이번 중대 장거리 수송훈련의 주된 임...
    Date2017.06.25 Views982
    Read More
  6. 첫 대민지원

    류지민 상병 해병대 교육훈련단 우리 소대는 아침 과업정렬 시간에 놀라운 과업을 지시받았다. 오후에 대민지원을 나간다는 것이다. 개인 신변 정리시간에 뉴스나 국방일보를 보면 많은 부대가 대민지원을 나가 국민...
    Date2017.04.09 Views885
    Read More
  7. 故 장시영 회장님을 추모하며 - 정수현. 해병대전우회 제주도연합회 자문위원

    얼마 전 故 장시영 회장의 부고를 받고 인생무상을 느꼈다. 그분은 여러 분야에 헌신하셨지만 해병대에 대한 기여가 남달랐다. 장 회장은 제주도립병원 산부인과 과장을 역임하다 부산에서 의원을 개업하는 중 6·25전...
    Date2017.03.11 Views1042
    Read More
  8. 군대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유 동 선 상병 해병대사령부 근무지원단 나는 부대의 영내·외 화재에 대한 소방임무를 수행하는 소방반 대원이다. 부푼 기대와 각오로 해병대에 입대했지만, 전역 후 뚜렷한 진로를 정하지 못해 최근까지 고민이 많았...
    Date2017.03.03 Views834
    Read More
  9. 해병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재 민 일병 해병대군수단 소대 전술훈련 1주일 전. 나는 혹독했던 해병대 신병 훈련의 악몽을 다시 겪는다는 악몽에 시달렸다. 해병이 되기 위해 겪어야 하는 신병 교육 7주. 그중에서도 가장 힘들었던 극기주 기...
    Date2017.02.27 Views1734
    Read More
  10. [도청도설] 해병대 정 하사 - 국제신문

    인류의 역사는 곧 전쟁의 역사다. 영토·종교·인종 등 문제로 기록될 만한 지구촌 전쟁의 희생자만 36억4000명에 이른다는 연구물도 있다. 전쟁의 역사는 군대 역사이기도 한데 시대마다 막강 군대가 존재해 왔다. 지...
    Date2017.02.06 Views808
    Read More
  11. 5분전투대기 소대장을 마치고

    박지혜 중위(진) 해병대2사단 2016년 6월 사관후보생 120기로 임관, 10월에 보병 초군반 157기 과정까지 모두 마치고, 11월 중순 해병대2사단 소대장 직책을 맡게 됐다. 이제는 소대장 후보생이 아닌 현실의 소대장이...
    Date2017.01.15 Views1742
    Read More
  12. [권영일 종교와 삶] 내 인생의 화양연화

    권영일 대위·법사 해군 재경대대 신앙전력담당 “위국헌신! 우리는 하나! 해병! 해병!” 해병대교육단에서 주말 종교활동의 시작과 동시에 훈련병들과 북을 치면서 외치던 구호다. 지금도 연말이 되고 첫눈 오는 날이면...
    Date2017.01.13 Views781
    Read More
  13. 해병대, 연평도 대응작전은 군사교과서이자 감동 드라마 - 문현철

    문현철 초당대 군사학과장 국방부 정책자문위원의 일원으로 며칠 전 헬기를 타고 연평도에 다녀왔다. 지난해에는 민방위정책자문위원으로 백령도에 다녀온 바 있다. 이번 연평도 방문을 통해 국가위기관리법을 연구하...
    Date2017.01.09 Views725
    Read More
  14. 해병대 DNA를 회복하자

    조순근 해병대령 해병대사령부 감찰실장 해병대에는 과거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해병대만의 고유한 가치와 정신, 태도가 있다. 이런 무형요소들은 해병들에게 상황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현되면서 DNA처럼 해병대만의 ...
    Date2016.08.13 Views1855
    Read More
  15. 서측 도서방어’ 임무 수행

    김 형 일 상병 해병대2사단 3월 말, 말도에 투입됐다가 지난달 중순 대대로 복귀했다. 말도는 생각보다 날씨 변덕이 심했다. 공수교육으로 교대 하루 전에 배가 못 뜰 정도로 비바람이 불다가도 다음 날 아침에는 언...
    Date2016.08.01 Views734
    Read More
  16. No Image

    해병 월남전에 가다 제1진 참전수기

    해병 월남전에 가다 제1진 참전수기 최우식(해간 33기) -제2대대 6중대 1소대장- 1. 출발에 앞서 월남 파병부대로 포항 제1사단 제2연대가 결정된 후 1965년 8월에 접어들면서 월남전을 대비한 훈련은 연일 계속 되었...
    Date2016.06.27 Views3907
    Read More
  17. 동계훈련의 목적

    이해승 (예)해병준장 동계훈련의 목적은 혹한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며 주어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해병대 수색대대장 시절 해마다 겨울이면 강원도 산악지역으로 훈련을 갔다. 훈련장에 도착하면 ...
    Date2016.02.28 Views1371
    Read More
  18. 해병이 된 자랑스러운 아들에게

    공복철 해병대1사단 공원경 해병 상병 아버지 1월 22일 자에 실린 공원경 해병 상병의 ‘아버지께 부치는 특별한 편지’를 읽고 보내온 글입니다. 네가 해병대에 지원하겠다고 했을 때 너무나 큰 충격이었다. 어떻게 육...
    Date2016.02.03 Views944
    Read More
  19. 해병대 명예를 잇는다는 것

    권 혁 진 상병 해병대군수지원단 본부대 &quot;군인은 반드시 승리해야 하고 군인은 언제나 명예로워야 한다.&quot; 이 말은 해병대 창설을 역설한 초대 해군참모총장, 손원일 제독께서 남긴 말씀이다. 늘 우리가 경례구호로 외...
    Date2016.01.11 Views853
    Read More
  20. 진정한 해병과 민주시민 육성

    이해승 / 예비역 해병준장 해병대에서 31년8개월간 근무하면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은 정신이었다. “싸워 이겨야 한다” “주어진 임무는 반드시 완수한다” “불가능은 없다” 등등이 늘 나와 함께했던 정신이었다....
    Date2015.11.12 Views107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 28 Next
/ 2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