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v.jpg

 

이러고도 '사단급 훈련' 이라고? (조선일보, 2006.11.8)

‘병력 8000여 명 참가, 함정 10여 척, 헬기 등 항공기 40여 대, 수륙양용장갑차 70여 대 투입. 한국군 최초의 단독 사단급 상륙훈련.’

지난달 27일 합동참모본부와 해병대가 미군의 지원 없이 처음으로 한국군 단독 사단급 상륙훈련을 실시한다며 내세운 명세서다. 1개 사단에 육박하는 병력이 우리 해병대가 보유한 상륙함정과 수륙양용 장갑차, 헬기 등을 타고 해안에 상륙하는 훈련을 한 것처럼 돼 있다. 종전엔 대대~연대급 수준의 상륙훈련만 이뤄졌기 때문에 괄목할 만한 발전을 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실제 훈련 내용은 군에서 발표한 것보다 초라하기 짝이 없었다. 이날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 등을 타고 해상으로 상륙한 병력은 1개 대대(500여 명) 규모. 헬기와 수송기를 타고 공중으로 침투한 병력은 총 2개 중대(240여 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병력은 대부분 육지로 미리 이동해 있었다. 8000여 명 중 10%가량만이 실감 나는 상륙훈련을 한 셈이다.

이는 헬기와 상륙함정, 수륙양용 장갑차 등 상륙 전력(戰力)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해병대가 독자적인 항공부대를 갖고 있지 않은 데 따른 항공전력 문제는 심각하다는 평가다. 27일 훈련에 투입된 40여 대의 헬기도 대부분 육군 소속으로 지원을 받은 것이다.

이번 훈련엔 아시아 최대의 상륙함으로 지난해 진수된 1만4000?급 대형 상륙함 독도함도 모습을 나타냈다. 그러나 독도함에도 정작 중요한 공격수단인 헬기가 없어 아직도 날개를 달지 못하고 있다. 과거 상륙작전은 해상으로만 이뤄졌으나 현대전에선 헬기 등을 통해 공중으로도 침투하는 입체적인 상륙작전이 중요해졌다.

그러면 군 당국은 왜 능력도 없으면서 사단급 상륙훈련을 강행한 것일까? 군 주변에선 전시 작전통제권(전작권) 단독행사 추진에 대해 “한국군에 과연 그럴 능력이 있는가?”라는 의문이 계속 제기되자 이를 불식시키기 위한 성격이 강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합참은 훈련이 끝난 뒤 홈페이지에 ‘한국군이 단독, 그것도 사단급으로 합동 상륙훈련을 시행한 것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합의가 이뤄진 가운데 앞으로 우리 군이 독자적 역량을 가다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는 글을 올려 전작권 문제와 이번 훈련이 무관치 않음을 밝히고 있다. 군의 한 소식통도 “이번 훈련실시는 전작권 문제에 대한 군 수뇌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전했다.

2만7000여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 해병대는 규모상 세계 4위다. 미국(17만5000명), 대만(3만명), 베트남(3만명)의 뒤를 이어 세계 최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전쟁이 났을 때 적에게 의미 있는 타격을 주고 목표지역을 탈취하기 위해선 상륙부대가 2개 연대~사단급 이상이 돼야 한다. 현재 우리 해병대는 최대 1개 연대(2000여 명) 정도의 상륙작전 능력밖에 없다. 더구나 군내에서 상대적으로 발언권이 약한 해병대의 전력은 최신 장비보다는 정신력에 크게 의존해왔다는 평가다.

만일 정부와 군 당국이 부풀려진 이벤트를 통해 전작권 단독행사 추진에 따른 국민들의 안보 불안을 없앨 수 있다고 본다면 오산(誤算)이다. 이미 인터넷을 통해 이번 훈련의 실상이 널리 알려지면서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은 실정이다. 국민에게 우리 군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알리고 국민들의 지원을 받을 부분은 받는 것이 정도(正道)다. / 유용원 · 군사전문기자 bemil@chosun.com



  1. notice

    1980년대 해병대 유격교육대 훈련과정

    1980년대 해병대 유격교육대 훈련과정 ※ 오류로 인해 일부 사진이 노출되고 있지 않습니다. 수정 작업중이니 참고바랍니다. 연병장에서 바라본 벽암지 유격교육대 암벽오르기 교장 전경 (2000년 9월 사진 임영식기자)...
    Date2010.05.11 Category산악유격 By운영자 Views708214
    read more
  2. 출전신고

    출전신고 사진 몇장올립니다. 국가전략기동부대인 해병제1사단의 출전신고는 대부분 BLT 나 RLT급 상륙훈련을 위한 출전신고를 하는데 사단연병장이나 항공단의 일부지역에서 하는게 대부분입니다. 사진에서 보는것처...
    Date2010.05.13 Category상륙훈련 By운영자 Views2759
    Read More
  3. 상륙훈련중인 해병대원들의 모습

    Date2010.05.13 Category상륙훈련 By운영자 Views2534
    Read More
  4. 상륙작전과 탑재

    탑재란 말그대로 뭔가를 실는다는 뜻입니다. 고로 해병대에서 말하는 탑재란 상륙작전을위해 함정이나 항공기에 병력이나 장비를 실거나 무기등을 실는 것을 말합니다. 해병대와 탑재는 우선적으로 상륙작전에 있어서...
    Date2010.05.13 Category상륙훈련 By운영자 Views2422
    Read More
  5. 독도함 취역.......상륙작전은 진화 중

    독도함 취역 2년···상륙작전은 ‘진화 중’ 해군 상륙전대 지휘훈련 현장속으로 해군5전단 53전대(전대장 김상돈 대령)가 지난 15일부터 20일까지 경북 포항 인근 해상에서 실시한 상륙전대 지휘훈련과 상륙전 숙달훈련...
    Date2010.05.13 Category상륙훈련 By운영자 Views2438
    Read More
  6. 호국상륙훈련

    자료출처 : 해병대지
    Date2010.05.13 Category상륙훈련 By운영자 Views1871
    Read More
  7. 독석리 상륙해안

    Date2010.05.13 Category상륙훈련 By운영자 Views2190
    Read More
  8. 만리포 한미연합상륙훈련

    Date2010.05.13 Category상륙훈련 By운영자 Views2483
    Read More
  9. 한국적 상륙작전 개념도

    대전환기적인 안보상황의 변화 속에서 대한민국 해병대는 그 유용성이 한층 더 중요해질 것이며,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신속한 투사전력으로서 미래 한반도 위협에 대비한 중요한 전쟁 억제전력으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Date2010.05.13 Category상륙훈련 By운영자 Views4022
    Read More
  10. 하선망훈련

    상륙작전시 상륙함의 상륙군들이 상륙돌격을 위해 LCVP(상륙주정)에 옮겨타기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하선망을 이용하여 상륙주정으로 옮겨타기때문에 이를 하선망훈련이라 한다. 상륙주정을 대신한 LVT의 발전과 보급...
    Date2010.05.13 Category상륙훈련 By운영자 Views2788
    Read More
  11. 이러고도 '사단급 훈련' 이라고?

    이러고도 '사단급 훈련' 이라고? (조선일보, 2006.11.8) ‘병력 8000여 명 참가, 함정 10여 척, 헬기 등 항공기 40여 대, 수륙양용장갑차 70여 대 투입. 한국군 최초의 단독 사단급 상륙훈련.’ 지난달 27일 합동참모본...
    Date2010.05.13 Category상륙훈련 By운영자 Views2224
    Read More
  12. 한국해병대 단독 첫 사단규모 상륙훈련실시

    “단독 작전 가능성 점검” [2006년 10월 24일 조선일보 안준호기자] 해병대가 미군의 지원 없이 한국군 단독으로 처음으로 사단 규모의 합동 상륙훈련을 실시한다. 그동안 해병대는 상륙함 등 미군의 지원을 받아 대대...
    Date2010.05.13 Category상륙훈련 By임영식 Views30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메뉴닫기

전체 게시판

닫기

마이페이지

로그인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