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6000대 1의 `쌈짱'…우리는 전장의 프로

 최강전사_06.jpg

최강전사_01.jpg

각개전투 평가를 받고 있는 최강전사 후보가 개인화기를 들고 높은 포복을 하고 있다.
최강전사_02.jpg

해병대1사단 21대대 강근형 상병이 해병대사령부가 주관한 최강전사 선발대회에 출전, 자세숙달사격의 서서쏴 자세를
취하며 표적을 겨누고 있다.

최강전사_03.jpg
탄약재보급 평가를 받는 최강전사 후보가 양 손에 탄통을 들고안간힘을 쓰며 피니시 라인을 향해 전력질주하고 있다.
최강전사_04.jpg
해병대 요원이 응용포복으로 각개전투 평가를 받고 있다.
최강전사_05.jpg
귀신잡는 해병대 명성을 잇는 한 부사관이 최강전사 선발대회에서 민첩성 평가를 받고 있다.

2만6000대1! 이 엄청난 경쟁률을 뚫고 해병대 최강전사 자리에 우뚝 섰다. 해병대1사단 손복주(29·사진) 중사가 바로 그다. 영예의 최강전사에 이름을 올린 손 중사는 총 1000점 만점에 918점을 획득하며 귀신잡는 해병대 ‘쌈짱’에 올랐다. 손 중사는 해병대원들이 단 한 자리를 놓고 경쟁을 펼치는 최강전사 선발대회 평가에서 사격은 327점(자세숙달 99점, 기지거리 143점, 야간 85점·400점 만점)을, 전투체력과 수시체력은 300점 만점에 각각 291점과 298점을 얻어 당당히 1등을 차지했다. 초대 최강전사로 탄생한 손 중사는 “항상 동료 수색대원들이 곁에 함께 있기 때문에 오늘의 영광스러운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며 진한 전우애를 과시했다.

 해병대는 지난 12·13일 이틀 동안 경북 포항 1사단에서 해병대사령부가 주관한 최강전사 선발대회를 열었다. 최강전사 선발대회는 실전적 교육훈련을 통한 강한 전투력을 창출해야 한다는 이홍희 해병대사령관의 지휘방침에 의해 이뤄진 것. 최강전사는 각 부대에서 사전 철저히 검증을 거쳐 선발된 105명(1·2사단 60명, 6여단 15명, 교육훈련단·연평부대·상륙지원단 30명)이 자존심을 건 한판 승부를 펼쳤다. 이번 대회에는 최연소 20세부터 최고령 39세까지, 일병에서 대위까지 참가해 부대 명예를 걸고 펼쳐졌다.

 해병대 최강전사는 사격과 체력 두 가지 분야로 평가했으며, 사격은 자세숙달·기지거리·야간사격을, 체력은 수시체력검정(4㎞달리기·윗몸일으키기·팔굽혀펴기·턱걸이)과 전투체력평가(수류탄투척·민첩성평가·각개전투·사상자 구조 1,2·탄약재보급)로 이뤄졌다. 후보들의 체력이 대부분 특급이기 때문에 최강전사 탄생에 결정적 요인으로 손꼽히는 사격현장으로 들어가 보았다.

 12일 오후 1시 30분 포항 시가지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제2전투사격장은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105명의 해병대 특급전사가 자세숙달사격 평가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사선에 들어서는 전사들은 누구랄 것 없이 호흡부터 크게 해 본다. 서서쏴·무릎쏴·엎드려쏴 등 3자세로 각각 5발·2발·3발씩 모두 10발을 쏘는데 제한시간은 60초다. 6초에 한 발씩 쏘아야 한다. 조준선 정렬이나 격발도 중요하지만, 자세를 바꿔야 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 더욱 부담스러운 것이 있다. 자세를 바꿀 때마다 탄창도 갈아 끼워야 하는데 이마저도 제한시간에 포함돼 있다는 점이다.

 김지웅(해사47기) 사격 통제관은 “해병대는 어떤 악조건도 단숨에 극복할 수 있도록 실제 전투와 유사한 실전적인 훈련을 하기 위해 자세숙달사격에 탄창 교환을 추가해 야전성을 높였다”고 말했다.

 사수들은 표적을 붙이고 다시 사선으로 돌아와 실탄 10발을 3개의 탄창에 나눠 끼웠다. 그리고 소총 옆에 가지런히 탄창을 놓았다. 이제는 그야말로 ‘무념무상’. 이때 통제관의 칼날 같은 목소리가 사격장에 울려 퍼진 것. 순식간에 찬물을 끼얹은 듯 정적이 감돌았고 통제관의 지시는 잇따랐다.

 “사수 탄창 들고 무릎쏴 자세 잡아.”
 “사수 탄창 장전!”
 “사수 탄피망 걸어.”
 “사수 서서쏴 자세 잡아!”
 “사수 자물쇠 풀고 사격 개시!”

 통제관의 구령에 따라 사선에 선 특급전사들은 정밀기계처럼 한 치 어긋남 없이 움직였다. 이들의 눈은 사냥감을 포착한 야수로 돌변했다. 동물적인 감각이다. 동공이 확대되면서 얼굴엔 자신감이 넘쳤다. 불과 수초 만에 누구의 것인지 총성이 울리자 순식간에 총성이 귀를 찢기 시작했다. 거의 비슷하게 서서쏴가 끝나고 무릎쏴·엎드려쏴가 차례로 진행됐다.

 타이머가 제한시간 1분을 가리키자 통제관의 “사격 끝!”이라는 목소리가 사선 너머로 메아리쳤다. 순식간에 고요한 정적이 감돌았고 후속 구령이 꼬리를 물었다.

 “사격 끝났으면 자물쇠 안전!”
 “사수 약실검사!”
 “사수 무릎쏴 자세, 빈총 들어 전방에 사격 3회 실시!”

 모두의 가슴이 설렌다. 기다리는 순서. “사수 표적 확인!” 지시가 떨어지자 25m 거리의 표적을 향해 용수철처럼 튕겨져 나갔다. 손 중사는 표적을 확인하며 “아~” 하고 아쉬움을 토했다. 100점 만점에 99점을 쐈다. 표적지 한가운데 지름 10㎝ 반경에 탄착군이 형성됐고 단 한 발만 9점을 찍었다. 멀지 않은 곳에서 누군가 득의의 몸짓이 보인다. 강근형(22) 상병이다. 그는 만점이다.

 특급전사들은 이제 기지거리 사격에 들어간다. 방어 쏴와 공격 쏴 등 두 가지로 총 20발을 쏜다. 먼저 방어 쏴는 입사호 사격으로 표적이 3곳(100m 4발, 200m 4발, 250m 2발)에 분산돼 있어 자세숙달사격과 다른 사격술이 필요하다. 특히 방독면을 쓰고 거리별로 각 1발씩 총 3발을 쏴야 하기 때문에 난코스로 손꼽힌다. 공격 쏴는 서서쏴(35m 4발), 무릎쏴(100m 4발), 엎드려쏴(200m 2발)를 한다.

 이날 저녁 추위와 강풍에 더해 비까지 쏟아지는 최악의 순간에도 해병대 최강전사 선발은 멈추지 않았다. 6시 30분부터 7시 30분까지 1시간 동안 23명씩 5개 조로 야간사격이 진행됐다. 제한시간 1분30초 내 10발을 쏘는 것. 앞뒤 사람을 분간하기조차 힘든 캄캄한 밤 총성이 울렸다.

 사격 평가는 이제 종료됐다. 그 결과와 최강전사는 나중에 발표될 것이고, 지금 특급전사들의 발걸음과 몸짓은 각양각색이다. 자신감에 넘치는 함성보다 평소 실력을 마음껏 발휘하지 못한 전우들을 위로하는 모습이 더 진하게 두 눈에 들어온다. 경쟁으로 시작해 전우로서 서로를 격려하는 전우애가 느껴진다. 해병대 최강전사 선발대회는 그런 한마당이었다.


[인터뷰]장하정 중령 해병대사령부 훈련과장-유사시 전장에서 필요한 생존 기술 익히는게 목적

정하정.jpg

“눈앞의 적을 단숨에 제압하는 사격술과 어떤 극한 상황도 극복할 수 있는 강인한 체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술전기를 갖춰야 합니다.”

 장하정(중령·해사41기·사진) 해병대사령부 훈련과장은 지난 12일 포항 해병대1사단 제2전투사격장에서 ‘최강전사’ 조건을 이같이 설명했다.

 장 과장은 KCTC(육군과학화전투훈련장)에서 훈련한 결과를 분석해 보면 기본 체력 및 사격 능력을 갖추지 못한 병사들은 전장에서 살아남을 확률이 낮다는 것이 증명됐기 때문이란다. 특히 사격 방법 개선을 통해 전시 생존 능력을 높였다. 기지거리 사격과 야간사격만 하던 것에서 과감히 탈피했다.

 장 과장은 “과거 전사를 되돌아보면 원거리의 적 제압도 중요하지만 근거리 적이 더 위협적이고 근거리 전투사례가 많다”면서 “근거리 적을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해 자세숙달사격을 도입했으며, 실질적으로 전투에 필요한 탄창 교환도 추가했다”고 말했다.

 해병대는 타군의 특급전사와 달리 별도 기준을 마련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전투체력 평가는 미 해병대 기준을 일부 도입, 우리 실정에 맞게 벤치마킹했다. 수류탄 투척·민첩성 평가·각개훈련 등 훈련을 위한 훈련이 아니라 실전에서 싸우면 반드시 이기는 전투프로를 양성하기 위해 창조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1. notice

    1980년대 해병대 유격교육대 훈련과정

    1980년대 해병대 유격교육대 훈련과정 ※ 오류로 인해 일부 사진이 노출되고 있지 않습니다. 수정 작업중이니 참고바랍니다. 연병장에서 바라본 벽암지 유격교육대 암벽오르기 교장 전경 (2000년 9월 사진 임영식기자)...
    Date2010.05.11 Category산악유격 By운영자 Views708126
    read more
  2. 완전무장행군중인 해병대원 - 평화수호걷기

    지난 서울수복마라톤대회중 평화수호걷기대회에 완전무장으로 참가하여 행군중인 해병대원들의 모습입니다. 휴일이라 미해병대원들은 자유복장으로 편하게 참가하는데 우리 해병대원들 고생이 많습니다.
    Date2010.10.05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7020
    Read More
  3. 제주도 수해복구 (2007년)

    2007년 제주도 수해복구작업중인 해병대원들 <국방일보 사진자료>
    Date2010.09.06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5394
    Read More
  4. 참호격투중인 해병대2사단장병들

    홍팀과 청팀으로 나누어 참호격투훈련중인 해병대2사단장병들 - 2008년 3월31일
    Date2010.09.05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5397
    Read More
  5. 2009년 해병대 최강전사선발대회

    2만6000대 1의 `쌈짱'…우리는 전장의 프로 각개전투 평가를 받고 있는 최강전사 후보가 개인화기를 들고 높은 포복을 하고 있다. 해병대1사단 21대대 강근형 상병이 해병대사령부가 주관한 최강전사 선발대회에 출전,...
    Date2010.09.02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4731
    Read More
  6. 국민들이 있는 곳에는 항상 우리들이 함께 한다!

    우리는 대한민국 해병대다. 이 땅의 평화와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믿음직한 해병대. 싸움에는 천하무적! 귀신 잡는 해병대! 하지만 그 누구보다도 뜨거운 심장을 갖고 있는 것 또한 해병대다. 오늘은 우리 해병대가...
    Date2010.08.26 Category기타 By슈퍼맨 Views3178
    Read More
  7. 해병대1사단 31대대 KCTC<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분투기

    ‘삐-이익!’이런 신호음은 항상 귀에 거슬린다. 그 소리와 함께 모든 것이 끝났다. 비에 젖은 산야를 미친 듯이 내달리던 그들은 그대로 그 자리에 주저앉았다. 총성이 거짓말 처럼 멈춘 숲속은 마치 전혀 다른 공간 ...
    Date2010.08.11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9523
    Read More
  8. 각개전투,개인침투교장

    각개전투(個戰鬪)란 말그대로 각각의 전투원 개인의 전투력을 가지고 임하는 전투로서 어느 군대에서나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교육과목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군대의 교육훈련은 모두 힘이 들겠지만 아마 이 각...
    Date2010.08.03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6450
    Read More
  9. 행군 - 일반인은 모르는 행군이야기

    해병대블로그 날아라마린보이 식쿤의 마린룩
    Date2010.07.29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2329
    Read More
  10. 생존수영교관교육

    해병들의 해상에서의 생존 능력을 함양하라! 해병들에게 훈련소뿐만 아니라 실무에서도 지속적으로 실시하게 될 전투수영을 가르치며, 그들의 안전을 보장할 인명구조요원의 임무를 책임질 전투 / 생존수영 교관 교육...
    Date2010.07.10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5608
    Read More
  11. 73대대 11중대 1소대 한라산정상 (1990년)

    원본글 : 612기 박재희님 여기는 정상! 쌕쌕거리며 올라간 한라산 정상. 감개무량(?)했습니다. 머리털나고 처음으로 세상 가장 높은 곳에 섰으니 ㅋㅋㅋ 90년 4월이었는데, 한라산 정상에 눈꽃이 맺혀 있었습니다. 쪼...
    Date2010.07.01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5054
    Read More
  12. 해병대저격수

    겨울의 해병대저격수 - 디팬스타임즈 2010년 3월호
    Date2010.06.19 Category기타 By슈퍼맨 Views2035
    Read More
  13. 공용화기사격 - 식쿤의 마린룩

    Date2010.06.19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1939
    Read More
  14. 사격

    Date2010.06.01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2819
    Read More
  15. 해병대 통역장병교육

    한ㆍ미 연합작전 수행능력 향상에 기여 통역장병 교육은 어학자원 양성을 통해 한측 주도의 한·미 연합작전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자 ’07년도부터 ’08년 5월까지는 총 5회에 걸쳐 교육을 실시하였고 계속적으로 실시...
    Date2010.05.27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2549
    Read More
  16. 해·강안 침투 / 국지도발 대비 훈련 (2006)

    옛말에“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어떤 문제가 닥쳤을 때 바로 해결하지 않으면 나중에는 처음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많은 노력을 들여야 됨을 일컫는 말이다. 지난 ’96년 강릉지...
    Date2010.05.27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2708
    Read More
  17. 장애물교장

    Date2010.05.25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1756
    Read More
  18. 기동사격훈련

    Date2010.05.24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2446
    Read More
  19. 경계근무

    Date2010.05.18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3588
    Read More
  20. 응급조치훈련

    Date2010.05.18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1504
    Read More
  21. 화생방실습

    Date2010.05.18 Category기타 By운영자 Views691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메뉴닫기

전체 게시판

닫기

마이페이지

로그인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