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짜빈동.jpg

해병대사령부는 15일, 국립 서울현충원과 전쟁기념관에서 지난 ’67년 2월 15일, 해병대 1개 중대병력이 월맹군 2개 연대의 기습공격에 맞서 사투를 벌인 끝에 이를 격퇴하고 ‘신화를 남긴 해병’의 전통을 수립한 짜빈동 전투 전승 기념행사를 가졌다.
그동안 짜빈동 전투 전우회원 자체로 실시했던 행사를 확대하여 올해부터 해병대 사령부가 후원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행사에는 짜빈동 전투 현장에 참전한 오윤진(예:소장) 청룡여단 작전참모, 차수정(예:소장) 2대대 부대대장, 정경진(예:중령) 11중대장, 김기홍(예:소장) 화기중대장, 신원배(예:소장) 1소대장 등 참전용사와 유가족 40명, 베트남 전쟁 당시 해병대 사령관 및 해병대사령부 지휘부와 현역 60여 명 등 관계자 1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숙하게 진행됐다.

짜빈동_01.jpg
이날 행사 참석자들은 국립 서울현충원 짜빈동 전투 전사자 묘역에서 사령부 의장대의 조총 발사와 군악대의 조악 연주 속에 참배를 실시
하였으며, 이어서 전쟁기념관으로 이동하여 전승 기념행사를 가졌다.
전승기념행사는 순국 선열 및 호국 영령에 대한 묵념을 시작으로 전황보고와 당시 11중대 선임하사관이었던 故 배장춘 예비역 준위에 대한 공로패 증정이 있었으며, 참전용사들의 회고사가 이어졌다.
당시 11중대장으로 참전하여 태극무공훈장을 받은 정경진 예비역중령은 이날 회고사에서 “당시 ’67년 2월 9일부터 12일까지 72시간동안의 구정 휴전을 했는데 월맹군 정규군은 그 휴전 기간을 틈타 미해병대 트라이 비행장을 파괴하러 가는 길목에서 우리 11중대를 맞닥뜨렸다.”며 “10배 이상의 월맹군에 맞서 필사즉생의 각오로 임한결과 승리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다음으로 해병대 사령부 대표와 주한 미 해병부대 대표 및 공정식,강기천 前 해병대 사령관의 축사가 이어졌으며, 행사 참가자 전원이 ‘청룡은 간다’ 군가 제창을 끝으로 행사를 마쳤다. 이어서 오찬을 함께 하며 전투담을 나눴다.
짜빈동 전투의 승리는 이후 한국과 미국, 남베트남의 베트남전 군사교범으로 채택됐고 두 달 뒤 美 뉴스위크는 “어느 날 비범한 학생
이던 한국군이 선생님 미군보다 앞서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한국해병을 극찬한 바 있다. <해병대지 33호>



  1. notice

    해병대연혁

    1940년대 1949년 4월 15일 해병대 창설 경상남도 진해 덕산비행장 / 병력 - 해군에서 전과한 장병 380명 / 초대 사령관 - 해병대령 신현준 1949년 5월 5일 해병대領 공포 (대통령령 제 88호) 1949년 8월 1일 해병 제 ...
    Date2010.11.03 Views341512
    read more
  2. 신화를 남긴 해병의 시작, 짜빈동전투를 기리다.

    해병대사령부는 15일, 국립 서울현충원과 전쟁기념관에서 지난 ’67년 2월 15일, 해병대 1개 중대병력이 월맹군 2개 연대의 기습공격에 맞서 사투를 벌인 끝에 이를 격퇴하고 ‘신화를 남긴 해병’의 전통을 수립한 짜빈...
    Date2011.03.29 Views10042
    Read More
  3. 해병대사령부, 짜빈동전투 전승기념행사

    해병대사령부, 짜빈동전투 전승기념행사 / 국방일보 2011.02.16 해병대사령부는 15일 서울 동작구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과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신화를 남긴 해병대’ 전통을 수립한 짜빈동전투 전승기념행사를 개최...
    Date2011.02.15 Views5023
    Read More
  4. 신화를 남긴 해병대 '짜빈동 전투'

    고립된 1개 중대가 연대 규모 적 무찌르다 / 국방일보 2011.02.15 짜빈동 전투의 승전을 보도한 당시의 신문기사(1967년 2월).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귀신 잡는 해병대' `신화를 남긴 해병대' 등 해병대와 관련...
    Date2011.02.15 Views19736
    Read More
  5. No Image

    짜빈동전투

    "짜빈동의 청룡 영웅들" 1967년, 청룡부대 책임전술지역은 북위 17도선의 휴전선 남방 280키로지점과 사이공으로 북방 540키로 지점으로 주월 한국군의 최북단에 위치 하고 있었고, 약460평방키로의 광범위한 작전지...
    Date2010.05.18 Views92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