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20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적 내륙 기습상륙 큰 전과 올려 / 국방일보 2007.04.16

 

▲국군 해병대의 출동

5-1.jpg 1951년 4월 초 유엔군은 서해상에서 38선 이북 지역의 항만을 봉쇄, 제해권을 계속 확보하고자 했다. 이 무렵 북한의 동서 연안지역에서는 아군 유격대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었으며 또 많은 피란민이 해안에 집결해 월남을 시도하고 있었다.

유엔군은 즉시 교동도·백령도 등 38선 이북에 위치한 주요 연안도서들을 점령할 계획을 검토했고 그 임무를 국군 해병대에 부여했다.

그리하여 해병대는 적에 관한 정보수집 활동을 통해 적의 기뢰부설·해안포대의 활동을 억제하고 내륙의 기습 상륙을 통해 큰 전과를 달성했다. 무엇보다 이 작전에서 가장 큰 전과는 38선 이북지역 서해상의 주요 섬들을 우리의 영토로 편입시킬 수 있었다는 점이다.

▲주요 도서 확보 작전

국군 해병대는 서해지역의 주요 도서를 확보하라는 명령을 하달받고 즉시 준비에 착수했다. 그리하여 1개 중대 규모의 상륙부대를 편성해 1개월 동안 부대 정비와 아울러 특수훈련을 거친 후 서해로 출동시켰다.

당시 아군이 제해권을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서해상의 주요 섬에는 적의 영향력이 크게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상륙부대는 진해에서부터 닷새간의 항해 끝에 마침내 51년 4월 2일 오전 먼저 교동도에 기습 상륙했다. 교동도는 강화도 서측에 인접한 섬으로 아군 유격대가 간간이 활동하고 있었다. 아군의 상륙을 뒤늦게 확인하고 적이 포격을 집중했지만 상륙부대는 큰 손실 없이 교동도를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

해병대는 즉시 섬 주요 고지에 방어진지를 편성하고 아울러 적극적인 대민 선무활동을 전개해 섬을 장악했다. 당시 교동도는 700여 명의 피란민이 집결하고 있었는데, 이들 중 지방 청년 100명을 훈련시켜 유격대를 편성하기도 했다.

국군 해병대는 약 20일 간의 교동도 방어임무를 수행한 후 다시 동년 4월 23일 백령도에 상륙해 이 섬의 군사시설을 방호하기 위해 방어진지를 편성했다. 당시 백령도는 서해안 해상작전과 정보 활동 중심지로 아군 정보대가 침투해 있었으며 피란민도 8000여 명이 집결해 있었다.

해병대는 다시 대동강 하구의 석도에 상륙함으로써 정보 수집을 위한 거점을 확보할 수 있었고 산발적인 유격 활동을 통해 적을 크게 교란시켰다. 석도는 그야말로 평양의 코앞인 대동강 하구에 위치해 적에 심리적으로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곳이었다. 상륙부대는 즉시 지형에 익숙한 지역 청년 100여 명을 선발해 유격대를 편성했다.

해병대는 이후에도 수시로 적의 내륙지역으로 기습상륙을 전개하고 조직적인 유격전을 통해 적에게 큰 타격을 줬다. 이 작전으로 적은 후방에서 많은 병력을 차출해 해안선 방어에 투입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국군 해병대는 동·서해상 도서작전의 효과·비중이 점차 커짐에 따라 다시 독립중대를 새로 편성해 동해안 지역에 투입하게 됐으며, 이 부대들은 다시 대대급으로 개편돼 후일 해병 도서부대 창설의 모체가 됐다.<양영조 군사편찬연구소 전쟁사1팀장>



  1. notice

    해병대연혁

    1940년대 1949년 4월 15일 해병대 창설 경상남도 진해 덕산비행장 / 병력 - 해군에서 전과한 장병 380명 / 초대 사령관 - 해병대령 신현준 1949년 5월 5일 해병대領 공포 (대통령령 제 88호) 1949년 8월 1일 해병 제 ...
    Date2010.11.03 Views697930
    read more
  2. No Image

    서울을 수복한 해병대, 495일간 서울 지켜낸 기념행사 가져

    -“세번이나 수도를 빼앗길 수 없다.”는 이승만 대통령과 국민적 결의에 보답한 전투 - 5천여 명으로 중공군 4만 2천여명을 격퇴한 무적해병의 신화 - 6.25 전쟁 시 해병대 전사자 1,822명 중 776명이 전사한 가장 치...
    Date2011.10.14 Views3916
    Read More
  3. 독도함에서 열린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

    독도함에서 열린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을 기념하고 참전용사의 명예를 선양하며 그 희생에 대한 감사를 표하는 행사로 국방부가 주최하고 해군본부가 주관하여 추진된 9월15일 인천 월미도해상 ...
    Date2011.09.19 Views5025
    Read More
  4. 제 61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

    해군․해병대는 61년 전 6․25전쟁에서 서울수복과 반격작전의 결정적 계기가 된 인천상륙작전을 기념하고, 작전에 참여한 참전용사에 대한 명예를 선양하기 위한「제61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를 9월 15일(목) 인...
    Date2011.09.13 Views4592
    Read More
  5. 제3회 서울수복기념 해병대마라톤대회

    해병대사령부와 스포츠서울이 주최하는 제3회 서울수복 해병대마라톤대회 대회요강입니다.
    Date2011.09.01 Views4250
    Read More
  6. 제주도 해병대의 날과 해병대 상징탑 제막식

    (서울=연합뉴스) 해병대가 1950년 9월 1일 역사적인 인천상륙작전 출정을 제주도에서 시작한 역사를 기념하기 위해‘제11회 제주 해병대의 날’행사를 제주 탑동해변공원 일대에서 개최했다. 사진은 해병대 상징탑 제막...
    Date2011.09.01 Views2324
    Read More
  7. 고귀한 승리! 귀신잡는 해병대의 집

    전국 해병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던 해병대 통영상륙작전기념관이 17일 죽림지구 전적비 아래서 개최된 통영상륙작전 전승행사와 함께 성대히 개관식을 가졌다. 60여 년 전 6·25전쟁 발발 이후 공산군에 전 국토가 유린...
    Date2011.08.19 Views5528
    Read More
  8. 통영상륙작전 기념관 개관

    `귀신잡는 해병&#039; 신화 탄생 … 해병대의 자랑 / 국방일보 2011.08.19 통영상륙작전을 기리는 기념관이 17일 6·25전쟁 당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통영시 무전동 원문공원에 개관했다. ‘귀신잡는 해병’이라는 신화를 ...
    Date2011.08.18 Views15766
    Read More
  9. No Image

    해병대 창원 진동리 지구 전승기념행사 거행

    (아시아뉴스통신=최근내 기자) 해병대사령부에서는 6일 오후 2시 경남 창원시 진동면 해병대 진동리 지구 전적비에서 6.25 전승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곳은 6.25전쟁 당시 파죽지세로 진격해오는 북한군 정찰대대를 ...
    Date2011.08.08 Views3363
    Read More
  10. 대한민국해병대가 무적해병으로 불리워진 까닭은?

    대한민국해병대가 무적해병으로 불리워진 까닭은? 포스팅원문은 아래 링크된 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http://demaclub.tistory.com/452 지난달 6월 양구에서 열린 도솔산전적문화제를 취재하여 국방홍보원 블로...
    Date2011.07.28 Views5314
    Read More
  11. 8월의 6.25 전쟁영웅 안창관 해병대 대령

    국가보훈처는 진동리 전투에서 적 정찰대를 기습 섬멸한 안창관 해병대 대령을 8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했다. 2011.7.29 &lt;국가보훈처 &gt; ◈ 진동리전투의 영웅! 부대원 전원 1계급 특진의 영예 ◈ 국가보훈처(처장 ...
    Date2011.07.29 Views16639
    Read More
  12. 통영서 '해병대 통영상륙작전' 기념관 개관

    【통영=뉴시스】최운용 기자 =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 해병대의 최초 단독작전으로 &#039;귀신잡는 해병&#039;의 유래가 된 통영상륙작전을 기리는 기념관이 다음달 17일 경남 통영에서 문을 연다. 통영시는 이날 무전동 원문...
    Date2011.07.24 Views16939
    Read More
  13. 해병대 최초의 전투현장에서 해병대가 제일 먼저 달려간 곳은?

    해병대 최초의 전투현장에서 해병대가 제일 먼저 달려간 곳은? 세부기사는 국방홍보원 블로그 http://demaclub.tistory.com/473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1년 7월 15일과 16일 양일간 열린 해병대최초전투 군산장항이...
    Date2011.07.21 Views44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