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창설 64주년 기념식·전승 결의대회 개최 / 국방일보 2013.4.16

 

BBS_201304150539368900.jpg

15일 해병대사령부에서 열린 해병대 창설 64주년 기념 전승 결의대회에서 전투복을 착용한 군악대 장병들이 진군 모둠북 공연을 펼치고 있다. 정의훈 기자


  창설 64주년을 맞은 해병대가 싸우면 반드시 이긴다는 전승 결의대회로 장병들의 전투의지를 최고도로 끌어올렸다.

 해병대사령부는 15일 부대 연병장에서 이호연(중장) 사령관 주관으로 ‘해병대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기념식에는 공정식 전(前) 해병대사령관을 포함한 역대 사령관, 6·25전쟁 및 베트남전쟁 참전용사, 해병대전우회, 현역 장병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순국선열·호국 영령에 대한 묵념, 해병대 발전에 이바지한 명예 해병 임명·표창 수여, 해병대사령관 기념사 순으로 진행했다.

 장병들은 단독무장을 착용하고 참석해 무적 해병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본받아 전투준비태세를 확립, 유사시 국가안보 최선봉에 서겠다는 강한 의지를 결집했다.

군악대 역시 전투복을 입고 진군 모둠북 공연을 연출해 출정에 임하는 장병들의 마음가짐과 전의를 고양했다.

 행사는 해병대 각 부대(서)장 추천을 받아 중앙공적심사위원회를 거쳐 명예 해병으로 선발된 7명에 대한 임명·표창 수여식을 병행해 의미를 더했다.

이들에게는 해병대에서 발행하는 간행물을 우선 배포하며, 복지시설을 정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특혜를 부여한다.

 이 사령관은 기념사에서 “해병대는 적이 도발하면 언제든지 나가 싸울 수 있는 준비태세를 완벽히 갖췄다”며 “조국의 안보가 우리 손에 달렸다는 사명감으로 임전필승(臨戰必勝) 하자”고 강조했다.

 1·2사단을 비롯한 해병대 각급 부대도 이날 결의대회를 열어 전의를 다졌으며, 6여단·연평부대 등 서북도서 부대는 적 도발 대비 전투배치 및 절차훈련을 강도 높게 시행했다.

 특히 2사단은 장병 정신무장 확립을 위한 ‘수제선 급속 기동훈련’을 15·16일 이틀 동안 전개해 녹음기 경계작전 성공의지를 다졌다.

 강화도 외포리 선착장~후포항까지 내달리는 행사에는 장병 800명이 참가했다. 수제선 급속 기동훈련은 15일 15·20㎞ 중거리 구간, 사단 창설 32주년인 16일에는 32㎞와 41.6㎞ 장거리 구간으로 나뉘어 시행했다.

 해병대기와 태극기를 손에 든 장병들은 각자 신청한 구간을 질주, 단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완주함으로써 탁월한 전투 체력을 입증했다.


해병대 역사·발전 -1949년 4월 15일 380명의 소수 병력으로 태동  6·25 당시 수많은 전투서 ‘귀신 잡는 해병’ 신화

 

 해병대는 1948년 여수·순천 사건을 계기로 수륙양면작전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49년 4월 15일 380명의 소수 병력과 장비로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태동했다.

 1년 후 6·25전쟁이 발발하자 풍전등화의 조국을 구원하는 구국의 선봉군으로 참전해 진동리지구 전투, 통영상륙작전, 인천상륙작전 및 수도 서울 탈환작전, 도솔산 전투 등 수많은 전투에서 ‘귀신 잡는 해병’ ‘무적 해병’이라는 업적을 남겼다.

 휴전 이후 54년 2월 해병전투단이 여단으로 증편됐고, 이듬해 1월 15일 제1상륙사단을 창설했다. 이어 55년 3월 26일 해병대사령부가 부산 용두산공원에서 서울 용산구 후암동으로, 59년 3월 제1상륙사단이 파주 금촌에서 포항으로 이전을 완료해 수도권 방위 및 국가전략기동부대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게 됐다.

 65년 9월 20일 제2여단 청룡부대를 창설해 전투부대 최초 해외 원정군으로 베트남전쟁에 참여했다. 뚜이호아·추라이·짜빈동 전투 등 6년 4개월 동안 용맹성을 발휘해 ‘신화를 남긴 해병’이라는 찬란한 전통을 수립했다.

 해병대는 73년 10월 10일 군 경제적 운용 등의 이유로 사령부가 해체하는 시련을 맞았다. 그러나 부대 증·개편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74년 3월 11일 연평부대를 신편했고, 77년 1월 1일에는 도서방어부대인 6여단과 해병대 교육을 전담하는 제2훈련단을 창설했다. 81년 4월 16일에는 서부전선 방어 임무를 수행하는 제2해병사단이 출범했다.

 더불어 현역·예비역이 합심해 노력을 기울인 결과 해체한 지 14년 만인 87년 11월 1일 해병대사령부를 재창설했으며, 90년 8월 31일 국군조직법(법률 제4249호)에 해병대 설치 근거를 명시함으로써 각 군 본부와 같은 직제부대로서의 법적 지위를 보장받았다. 또 92년 12월 1일 연합해병부대사령부를 창설해 한미 연합작전 수행체계를 구축했다.

 94년 4월 6일 해병대사령부를 서울에서 경기 화성시 발안 지역으로 이전해 제2의 덕산시대를 활짝 열었다. 이어 제2훈련단을 ‘해병대 교육훈련단’으로 개칭한 후 해병대 사관후보생 양성과정을 해군사관학교로부터 인수, 병·부사관·장교를 독자 양성하는 교육체제로 발전시켰다.

 해병대는 대한민국 국력에 걸맞은 세계평화유지활동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아이티 파병 임무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코브라 골드훈련·림팩훈련 등 연합훈련에도 참가 범위를 확대해 국격 향상에 기여했다.

 2008년 2월 20일 연합해병구성군사령부를 창설해 지원사령부에서 작전사령부로 위상을 대폭 높였다. 특히 2010년 6월 15일 서북도서방위사령부를 창설, 전·평시 서북도서 방어를 주도하는 합동작전사령부로서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15일부로 해병대 지휘관리 개선 법률이 시행돼 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로 상실했던 지휘권한을 되찾아 독자적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해병대는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이후 연합작전 주도를 위한 작전수행능력 구축에 전력투구하고 있으며, 해병대 항공단 창설을 통한 공지 기동해병대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병대 관계관은 “해병대는 앞으로도 국가안보 수호 최선봉에 설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국민에게는 무한한 사랑과 신뢰를 받고, 적에게는 전율과 공포를 안기는 국민의 군대를 확립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윤병노기자>



  1. No Image

    해병대6여단 강현우 상병, 113만 원 든 지갑 주인 찾아줘

    서해 최북단 백령도를 수호하는 해병대 장병의 선행이 뒤늦게 알려지며 주변을 훈훈하게 만들고 있다. 해병대6여단 최강대대 화학병 강현우 상병은 외박 기간 중이던 지난 2월 1일 돈을 인출하기 위해 백령면 진촌리의 은행 현금자동입출금센터를 찾았다. 이곳에서 강 상병은 현금입출금기 앞...
    Date2019.03.04 Views1835
    Read More
  2. 해병대6여단, 사랑의 헌혈운동 전개

    지난 22일 해병대6여단 ‘사랑의 헌혈운동’에 참여한 장병들이 여단 필승관에서 헌혈 안내문을 읽으며 헌혈하고 있다. 서해 최북단을 수호하는 해병대6여단이 지난 18일부터 22일까지 ‘사랑의 헌혈운동’을 전개하며 백령도의 추운 날씨를 사랑의 온기로 녹였다. 여단의 이번 헌혈운동은 혈액 ...
    Date2019.02.26 Views1949
    Read More
  3. 전투배치훈련중인 해병대2사단 장병들

    누구보다 빠르게 20일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의 끝단인 인천시 강화군 교동도에서 해병대2사단 해안소초 장병들이 전투배치훈련을 하고 있다. &lt;사진 강화=국방일보 조용학 기자&gt;
    Date2019.02.24 Views1790
    Read More
  4. 전정화 해병대소령, 서북도서 최초 영관급 여성 지휘관으로 부임

    최전방 서북도서 첫 영관급 여성 지휘관 전정화(소령) 해병대6여단 공병중대장이 부대 내 공병 장비 앞에서 완벽한 임무 수행을 다짐하고 있다. 부대 제공 우리 군 최초로 최전방 서북도서를 수호하는 영관급 여성 지휘관이 탄생했다. 1951년 4월 해병대가 연평도와 백령도에 주둔한 지 68년 ...
    Date2019.02.24 Views3191
    Read More
  5. 해병대2사단 장병들, 물샐틈없는 ‘매의 눈 경계’

    ● 흔들림 없는 대비태세 유지하는 한강 하구를 가다 20일 오후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의 하단인 인천시 강화군 교동도 해안초소에서 해병대2사단 장병들이 한강 이북을 바라보며 경계를 서고 있다. &lt;사진=국방일보 조용학 기자&gt; 한반도의 평화를 상징하는 ‘평화의 물길’인 한강하구 공동이용...
    Date2019.02.21 Views1870
    Read More
  6. No Image

    해병대6여단, 백령면 어르신 장수 기원 사진 촬영

    서해 최북단 백령도를 수호하는 해병대6여단(6여단)이 백령면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장수 기원 사진을 촬영해 큰 호응을 얻었다. 6여단은 지난 14일 시민 단체 ‘백령도를 사랑하는 모임’ 및 백령면사무소 맞춤형복지팀과 함께 ‘장수 기원 사진 촬영’을 진행했다. 백령도는 인천에서 뱃길로 약 ...
    Date2019.02.21 Views1304
    Read More
  7. No Image

    해병대9여단, 구제역 예방 방역 활동

    해병대9여단(9여단)이 제주시 한림읍 축산밀집지역 일대에서 구제역 방역 지원을 펼치며 지역사회의 든든한 동반자 역할을 다하고 있다. 지난 3일부터 시작된 구제역 방역 지원은 최근 경기도 안성과 충북 충주 일부 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지역사회 축산농가와 지역주민들의 불안...
    Date2019.02.21 Views1755
    Read More
  8. 해병대 2019 코브라골드 태국 핫야오 해안서 한·미·태국 연합상륙작전 전개

    태국에서 열리고 있는 2019년 코브라골드 연합훈련에 참가 중인 우리 해병대 장병들이 연합상륙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해병대 제공 우리 해병대가 미국·태국 해병대와 함께 연합상륙작전 능력을 한층 끌어올리고 있다. 해병대 수색소대급 장병 20여 명은 16일 태국 핫야오 해안에서 열린 201...
    Date2019.02.17 Views2008
    Read More
  9. 미 3해병기동군사령관 및 지휘부, 해병대사령부 방문

    12일 해병대사령관 본청 앞에서 전진구(뒷줄 왼쪽) 해병대사령관과 스미스(뒷줄 오른쪽) 미 3해병기동군사령관이 의장사열을 하고 있다. 해병대사령부 제공 에릭 M. 스미스(중장) 3해병기동군사령관을 비롯한 미 3해병기동군(Ⅲ-MEF) 지휘부와 참모단 40여 명이 12일 경기도 화성 해병대사령부...
    Date2019.02.12 Views1834
    Read More
  10. 해병대 2019 코브라골드 훈련 참가

    코브라골드 연합훈련에 참가한 대한민국 해병대 장병들이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에서 내린 뒤 태국 핫야오 해안을 내달리고 있다. 사진은 지난 2016년 훈련 모습.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 해병대가 9일 시작돼 오는 22일까지 태국에서 열리고 있는 ‘2019년 코브라골드 연합훈련’에 참가한...
    Date2019.02.10 Views1972
    Read More
  11. 해병대2사단 수색대대 김민기 병장, 설한지 훈련 위해 전역 연기

    전역을 연기하고 동계 설한지 훈련에 참가한 해병대2사단 수색대대 김민기 병장. 부대 제공 해병대2사단 수색대대 김민기 병장이 자발적으로 전역을 연기하고 ‘동계 설한지 훈련 및 402㎞ 장거리 전술 무장행군’에 참가해 화제가 되고 있다. 오는 2월 4일 전역할 예정이었던 김 병장은 전역을...
    Date2019.02.10 Views1961
    Read More
  12. 해병대 교육훈련단, 창설 66주년 맞아

    해병대 훈련병들이 기초군사훈련 간 목봉체조 훈련을 하고 있다. 이경원 기자 오른쪽 가슴에 빨간 명찰을 달고 있는 모든 대한민국 해병대 장병이 거치는 곳이 있다. 바로 해병대교육훈련단(교훈단)이다. 해병대 장교·부사관·병사 등 모든 계층은 교훈단에서 시행하는 해병대만의 강도 높은 ...
    Date2019.02.10 Views24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 255 Next
/ 25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