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002 댓글 0
매일 식별표 바꾸며 경계… K-9 자주포 항시 발사대기
해병들 눈엔 핏발 선 毒氣 "전우 죽음에 더 굳건해져"
 
서해 파도는 거셌다. 29일 정오쯤 인천을 떠난 배는 거친 파도 앞에 춤추듯 출렁거렸다. 5시간 만에 멀리 서해 최북단의 백령도가 보였다.

배에서 내리자 해병대 헌병이 팔에 찬 피아(彼我) 식별 띠가 먼저 눈에 띄었다. 띠에는 '멸공·통일'이라고 쓰여 있었다. 섬 전체에 긴장감이 팽팽했다. 연평도 포격 사태 이후 진돗개 하나였던 경계 대비 태세가 23일부터 진돗개 둘로 유지되고 있다. 백령도 앞바다에서 침몰한 천안함 사태 때도 없었던 일이다. 도로를 지나는 군 차량마다 보닛 위에 빨간 천이 붙어 있었다. 항공기에 아군임을 나타내는 표지였다. 매일 매일 색깔이 바뀐다고 한다. 3월 천안함 폭침 때는 백령도 군 차량에 이런 표지가 없었다. 휴가 금지는 연평도 사태 한 달여 만인 27일 풀렸지만 기상 악화로 휴가 장병은 이날 아침에야 섬을 빠져나갔다.

155㎜ K-9 자주포는 해안선이 아닌 섬 한가운데 있었다. 해병대 관계자는 "사정거리가 40㎞여서 포 위치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했다. 오후 8시쯤 포격 부대 뒤편 산기슭을 5분여 올라가자 어둠 속에 하늘로 솟은 K-9의 거대한 포신이 위용을 드러냈다. 직격탄을 피하기 위해 콘크리트 진지 속에서 포신만 내놓고 있었다. 모든 포탄에는 언제든 쏠 수 있도록 신관(기폭장치)이 장착돼 있었다.

2010123100047_1.jpg
30일 서해 백령도 한 포진지의 K-9 자주포 앞에서 해병대원이 입술을 굳게 다문 채 날카로운 눈으로 북쪽을 감시하고 있다. /조인원 기자 join1@chosun.com

되풀이되는 훈련과 한 달이 넘는 비상 대기로 해병들의 눈에는 핏발이 서려 있었다. 북한군의 제1 타격 목표이자 백령도에서 북을 공격할 수 있는 유일한 부대인 만큼 이곳 해병들의 자긍심은 대단했다. 박현우(22) 병장은 "전우와 민간인들을 지키기 위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며 "걱정하실 부모님께는 군사 기밀상 정확한 임무를 말씀드리지 않았다"고 했다. 심장부정맥과 공기가슴 수술을 하고 자원입대한 한보현(20) 이병은 "훈련소에서 연평도 뉴스를 듣고 동기들끼리 두려워하지 말자고 서로를 격려했다"며 "지난 18일 입도(入島)하자마자 식당 밥이 아닌 전투식량을 먹으며 임무를 익히고 있다"고 했다. 이환욱(29) 중대장은 "연평도 해병들이 죽거나 다치는 걸 체감하면서 대원들 정신 상태가 더 굳건해졌다"며 "오히려 북을 응징하려고 적이 도발했으면 하고 바라는 해병들이 있을 정도"라고 했다.

"손들어! 움직이면 쏜다!" 굵은 눈발을 헤치고 인근 105mm 견인포 부대 앞에 다다르자 바짝 군기 든 해병이 소리쳤다. 지난 8월 입대한 이종화(20) 이병은 지난달 연평도에서 북의 포격에 전사한 고(故) 문광욱 일병의 훈련소 동기다. 이 이병은 "'전역하고 군산에 가면 연락하자'고 마지막 인사를 나눴다"며 "아직도 광욱이가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고 했다. 이 이병은 "그전엔 피곤하고 나태하기만 했던 새벽 근무였는데 광욱이를 보내고 나선 부대를 지키는 게 가족과 나라를 지키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경계를 서고 있다"고 말했다.

2010123100047_2.jpg
 
눈보라 몰아쳐도… 백령도는 잠들지 않는다… 30일 서해 최북단 백령도의 포 진지 입구에서 해병대원이 눈보라를 맞으며 경계근무를 하고 있다. 연평도 포격이 있었던 지난달 23일 이후 백령도 흑룡부대는 한 달 넘게 비상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조인원 기자 join1@chosun.com

북방한계선(NLL)으로부터 8㎞, 북한 장산곶에서 17㎞ 떨어진 섬 북쪽 사항 포구의 해안 초소에는 경비병들이 직경 1m의 대형 서치라이트로 해안선 곳곳을 비추며 물샐 틈 없는 감시를 하고 있었다. 해병들은 모두 실탄을 갖고 있었다. 지난 6월 북한에서 철선(鐵船)을 탄 귀순자가 내려오기도 해서 한시도 방심할 수 없는 곳이 백령도다. 이재규(22) 병장은 "깜깜한 바다를 보고 경계를 서다 보면 어느 누가 접근할지 몰라 바짝 긴장된다. 가족·친구들 생각할 겨를이 없다"며 전방을 꼿꼿이 주시했다.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등 잇따른 북의 도발은 20대 초반 청년들을 진정한 군인으로 만들어 놓았다. 이달 초 백령도 해병 6여단에서 열린 문예대회에서 박태호 일병은 이렇게 썼다.

'해병 전사자 뉴스를 보며 가슴이 뛰고 주먹이 불끈 쥐어졌다. 한 핏줄 같은 전우를 잃은 슬픔이 너무나 크다. 얼마나 분할까. 얼마나 아팠을까. 6여단 해병은 서해 5도를 지킨다는 자부심으로 우리를 믿는 국민을 위해 배수진을 치자. 이순신 장군 말씀처럼 죽기를 각오하며 하나로 뭉쳐 조국의 선봉에 서는 흑룡 전사가 되자!' <조선닷컴 박국희 기자 freshman@chosun.com>



  1. 정승조 합참의장, 백령도 해병대6여단 순시

    적 도발시 계획·준비한 대로 신속·정확·충분히 응징할 것 / 국방일보 2012.2.10 정승조(왼쪽) 합참의장이 9일 백령도 해병대6여단을 방문해 K-9 자주포대대의 사격준비태세를 점검하고 있다. 합참제공 정승조 합참의장은 9일 백령도 해병대6여단을 방문, 서북도서 지역 작전준비태세를 점검하...
    Date2012.02.09 Views7542
    Read More
  2. 또 다른 섬, 백령도 해병장교의 하루

    여기 또 하나의 섬이 있다. 연평도를 바라보는 이 섬의 사람들의 심정은 복잡하다. 작년 11월 23일 북한의 포격도발은 연평도를 향했지만, 그 대상은 연평도가 아닌 백령도가 될 수도 있었다. 백령도의 군인들도 마찬가지이다. 언제 날아올지 모를 북한의 비수. 두 눈을 부릅뜬 채 그 비수를 ...
    Date2011.03.29 Views8727
    Read More
  3. 서해 최전선 백령도 해병대를 가다 <세계일보>

    “北장산곶에 적기 떴다” 실제상황에…벌컨포 장병들 1분 만에 전투태세 23일 오후 2시59분 서해 최북단 백령도 해병대 6여단에 대공경계강화태세인 ‘대공 2’가 발령됐다. 북한 장산곶 인근에서 적기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장산곶과 불과 17㎞ 마주한 백령도 사항 포구 야산 해안초소를 지키던 ...
    Date2011.03.25 Views6819
    Read More
  4. 백령도의 일출

    <사진출처 : KDN 플리커 > 이 사진은 Canon EOS 20D을(를) 사용해 2008년 8월 28일에 촬영되었습니다.
    Date2011.02.15 Views4425
    Read More
  5. 백령도 해병병사들의 설맞이

    문화일보 | 김동하기자 | 입력 2011.01.31 14:51 | 수정 2011.01.31 15:51 "해병대는 춥지 않습니다. 연평도 포격 도발 때처럼 북한이 언제 공격해 올지 모르기 때문에 설 연휴에도 긴장을 늦출 수 없습니다."지난 20일, 연일 영하 20도를 넘나드는 추위가 계속된 인천 옹진군 백령도. 이곳 ...
    Date2011.02.01 Views5914
    Read More
  6. 조국수호 선봉 백령도의 세밑

    매일 식별표 바꾸며 경계… K-9 자주포 항시 발사대기 해병들 눈엔 핏발 선 毒氣 "전우 죽음에 더 굳건해져" 서해 파도는 거셌다. 29일 정오쯤 인천을 떠난 배는 거친 파도 앞에 춤추듯 출렁거렸다. 5시간 만에 멀리 서해 최북단의 백령도가 보였다. 배에서 내리자 해병대 헌병이 팔에 찬 피아...
    Date2011.01.04 Views4002
    Read More
  7. 백령도는 해병대가 지킨다!

    서해상에서 한미연합해상훈련이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30일 오전 해병대 소속 한국형상륙돌격장갑차(KAAV)가 삼엄한 경계를 펼치며 인천 옹진군 백령도 도로를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Date2010.11.30 Views4779
    Read More
  8. 북한의 포사격 도발? 군사 퍼레이드? 백령도는 두렵지 않다!

    해병대공식블로그 날아라마린보이에 포스팅된 기사입니다. 백령도...대한민국 본토로부터는 약 173km 떨어져 있지만 북한 장산곳과는 불과 17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서북도서 최접적 지역입니다. 북한은 천안함 사건뿐만 아니라 지난 1월과 8월 서북도서에 대한 포사격 도발을 감행하였고, ...
    Date2010.10.13 Views4067
    Read More
  9. No Image

    해병대6여단의 추석맞이 경계현장

    민족의 명절 추석이지만, 고향을 떠나 그리움을 참아내야 하는 사람들, 바로 우리 장병들일텐데요, 서북 최전방 백령도의 해병대 장병들도 추석을 맞아 경계근무에 여념이 없습니다. 박성춘 중윕니다. (박성춘) 추석이 다가왔음을 알려오는 시원한 바람. 하지만, 서해 최북단 백령도의 긴장감...
    Date2010.09.23 Views5303
    Read More
  10. 경계근무중인 백령도의 해병대원 뒷모습

    A South Korean Marine looks at the North Korean side on June 15 as he stands guard on Baengnyeong Island, South Korea, near the border with North Korea. <자료출처 : http://www.militarytimes.com>
    Date2010.08.20 Views7115
    Read More
  11. 늠름한 해병대와 함께하는 섬 백령도

    심청이가 효(孝)를 상징하는 인물이라는 사실은, 일부 몰지각한 젊은이들만 빼면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심청이의 고향이 백령도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일반인들에게 백령도는 일기예보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서해 5도’ 중 한 섬 정도로 알려진 것이 고작이...
    Date2010.07.08 Views4736
    Read More
  12. 백령.연평부대, 대북감시.타격능력 향상

    ▲ 북한의 서해상 해안포 발사 위협으로 인해 남북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29일 오후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해병대원들이 북한의 해안포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발칸포 전투배치 훈련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軍, 대포병레이더 고정배치..K-9자주포 증강군당국이 백령도와 연평도에 ...
    Date2010.06.28 Views35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