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일보>해병대가 장병 안전사고 ‘제로(0)’에 도전하고 있다. 해병대는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안전문화 붐 조성, 안전업무 실무자 양성에 힘 쏟으며 비전투손실을 줄이기 위해 안전사고 예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먼저 해병대는 최근 사령부에 안전·재난대비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안전·재난관리과를 신설하며 안전사고 예방활동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김은석(중령) 안전·재난관리과장은 “해병대는 평시 강도 높은 교육훈련뿐만 아니라 국가 안보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다양한 활동을 하는 만큼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도 크다”며 “안전·재난관리과는 안전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 이를 해결해 장병들의 안전한 군 생활 여건을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병대 특성과 임무 수행에 최적화된 안전규정 제정을 추진하는 등 안전·재난관리 업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도 구축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해병대는 일상 과업 시 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안전성 평가 툴(Tool)’을 마련했다. 사령부는 이 툴을 토대로 매주 각종 과업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다.

해병대는 ‘국방안전은 국민안전’이라는 각오로 해병대 안전 업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안전조정위원회도 가동하며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임성근(준장) 해병대참모장이 이끄는 위원회는 최근 ‘안전 해병대 만들기를 위한 안전진단 표준 점검표’를 만들어 예하 부대에 배포했다. 점검표는 생활관·식당·위험물저장고 등 사고 발생 가능성이 큰 장소와 시설에 대한 점검사항, 관련 규정과 안전관리 노하우 등을 담고 있다. 예하 부대는 이 점검표를 항시 휴대하며 안전진단 시 표준 지침서로 활용하고 있다.

또 해병대는 격월 주기로 『해병대 안전가이드』를 발간해 장병 안전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예하 부대는 ‘안전·재난대비 점검의 날’로 지정된 매월 첫째 주 금요일마다 『해병대 안전가이드』를 활용해 이론과 행동화 실습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해병대는 대대급 부대까지 총 44명이 보직된 안전·재난관리 업무 담당자들이 직무 관련 법정 필수 28개 과정을 이수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안전사고 제로화에 ‘안전관리담당’이 핵심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안승회 기자


  1. 해병대1사단, 환경의 날 대통령 표창

    해병대1사단 이재욱(대령·가운데) 행정부사단장이 3일 열린 제27회 환경의 날 기념식에서 한화진 환경부 장관에게 대통령 표창을 받고 있다. 사진 부대 제공 해병대1사단이 3일 서울 용산구 노들섬에서 한화진 환경부 장관 주관으로 거행된 제27회 환경의 날 기념행사에서 경보존·에너지 절약...
    Date2022.06.03 Views7375
    Read More
  2. 해병대1사단 전차대대, 원거리 이동 실사격 훈련 실시

    해병대1사단 전차대대 K1A2 전차들이 주둔지에서 390여 km 떨어진 경기도 연천군 일대 훈련장에서 실사격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해병대1사단 제공 해병대1사단은 2일 “장거리 임의지역 전개 절차와 일발필중의 사격 능력 숙달을 위한 전차대대 전차포 실사격훈련을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일...
    Date2022.06.03 Views15557
    Read More
  3. 해병대특수수색대대 수상강하 고무보트 침투훈련 실시

    5월 31일 경북 포항시 상륙기습훈련장 일대에서 열린 ‘수상강하 고무보트 침투훈련’에서 해병대특수수색대대원들이 C-130 수송기에서 강하하고 있다. 사진 부대 제공 해병대특수수색대대는 지난달 31일 경북 포항시 칠포해변에 위치한 상륙기습훈련장 일대에서 ‘수상강하 고무보트 침투훈련(H...
    Date2022.06.02 Views17403
    Read More
  4. 해병대9여단, 제주 노령 농가 대민지원

    해병대9여단 장병들이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농가에서 마늘 수확 대민지원을 하고 있다. 사진 김종훈 하사 해병대9여단은 ‘국민의 해병대’로서 소임을 다하기 위한 제주지역 농가 일손돕기 대민지원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해병대9여단은 지난 9일부터 26일까지 70세 이상 고...
    Date2022.05.30 Views13912
    Read More
  5. 해병대 교육훈련단 이현주(27)·정선율 소위 열차에서 응급처치로 승객 구해

    해병대 교육훈련단 정선율(왼쪽) · 이현주(27)소위 해병대 장교들이 열차 안에서 과호흡으로 위기에 놓인 승객을 응급 처치하여 구조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27일 해병대 교육훈련단에 따르면 부대소속 이현주(27)·정선율(25)소위는 지난 21일 오전 11시께 경북 포항에서 대구로 가는 KTX...
    Date2022.05.29 Views9734
    Read More
  6. 해병대2사단, 장병 및 군 가족을 위한 작은 음악회 개최

    지난 27일 해병대2사단 야외무대에서 열린 작은 음악회에서 장병·군무원들이 군악대 연주를 감상하고 있다. 사진 권규원 중사 해병대2사단은 지난 27일 영내 야외무대에서 장병, 군 가족을 위한 작은 음악회를 열었다. 군악대의 해병대 군가 연주로 막이 오른 행사는 비틀즈의 ‘Hey Jude’와 ‘...
    Date2022.05.29 Views9110
    Read More
  7. 해병대1사단 23대대 유격기초훈련 실시

    해병대1사단 전투연병장에서 열린 유격기초훈련에서 장병들이 도하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조종원 기자 [국방일보 2022.05.26]해병대1사단 23대대가 고강도 유격훈련으로 산악작전 임무 수행 역량을 배양했다. 부대는 지난 16일부터 26일까지 전투연병장과 장애물 훈련장 일대에서 ...
    Date2022.05.26 Views11073
    Read More
  8. 해병대교육훈련단, 부사관 395기 임관식 거행

    26일 해병대 교육훈련단에서 열린 395기 부사관 임관식에서 정종범(왼쪽) 교육훈련단장이 해병대사령관상을 수상한 박주형 하사를 축하하고 있다. 사진 김민수 일병 호국충성 해병대의 핵심이 될 부사관 108명이 임무 완수를 위한 첫발을 힘차게 내디뎠다. 해병대 교육훈련단은 26일 부대 강...
    Date2022.05.26 Views9540
    Read More
  9. 해병대1사단 여단급 합동상륙훈련 현장에 가다

    해병대1사단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가 24일 경북 포항시 송라면 독석리 해안 일대에서 펼쳐진 여단급 합동상륙훈련 ‘결정적 행동’에서 접안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해병대 수색대대의 해안 장애물 개척을 위한 수중폭파가 이뤄지고 있다. 공군 C-130 수송기에 탑승한 해병대 공정대대원이 강...
    Date2022.05.24 Views9254
    Read More
  10. 해병대1사단, 여단급 합동상륙훈련 ‘결정적 행동’

    24일 경북 포항시 송라면 독석리 해안 일대에서 열린 해병대1사단 여단급 합동상륙훈련 ‘결정적 행동’에서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가 연막차장을 펼치며 진격하고 있다. 조종원 기자 [국방일보 2022.05.24] 해병대가 육·해·공군과 함께 해상·공중에서 동시에 펼친 실전적인 상륙작전으로 고유...
    Date2022.05.24 Views8813
    Read More
  11. 해병대 군수단 상륙지원대대 지뢰제거작전

    해병대 군수단 상륙지원대대 지뢰제거작전 TF 장병들이 대청도 삼각산 일대에서 지뢰를 탐지하고 있다. 사진 해병대군수단 김정훈 상사 해병대 군수단 상륙지원대대는 지난 20일 “여름철 행락객이 많이 몰리는 서북도서 대청도 선진포구 해안과 삼각산 일대에서 지난 16일부터 지뢰를 제거하...
    Date2022.05.22 Views6501
    Read More
  12. 해병대1사단 포항지역 농가 농번기 대민지원 전개

    해병대1사단 장병들이 경북 포항시 북구 신광면 과수농가에서 대민지원을 하고 있다. 사진 해병대1사단 해병대1사단은 지난 20일 “경북 포항시 15개 지역 농가에서 오는 27일까지 대민지원을 전개한다”며 “하루 평균 600여 명의 장병이 농민과 함께 구슬땀 흘리고 있다”고 밝혔다. 1사단은 지...
    Date2022.05.22 Views57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 255 Next
/ 25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