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항공단.jpg

20일 해병대사령부 중회의실에서 열린 전반기 항공단 창설 추진평가회의에서 이승도(왼쪽 넷째) 해병대사령관과 관계관들이 항공단 창설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해병대 제공




해병대는 20일 사령부 중회의실에서 이승도 해병대사령관 주관하에 해병대사령부 지휘부 및 주요 처·실장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내년에 예정된 해병대 항공단 창설의 체계적 준비를 위한 전반기 항공단 창설 추진평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전반기 경과보고를 시작으로 항공단 창설 기본계획 소개, 분야별 추진과제 추진현황 발표, 후반기 항공단 창설 업무 추진중점 보고 및 의견 수렴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또한 전력확보, 교리, 구조·편성, 교육훈련, 무기·장비·물자, 인적자원, 시설 등 7개 분야의 총 37개 세부과제에 대한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방향을 논의했다. 

전력확보 분야에서 관계관들은 항공단 창설의 핵심인 상륙기동헬기 확보 및 상륙공격헬기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상륙기동헬기는 현재 10여 대를 도입해 포항·김포지역에서 정상 운용 중이며 1단계로 2023년까지 매년 4~6대씩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며 이후 2단계로 상륙공격헬기를 도입해 해병대 항공작전의 완전성을 갖추기로 했다. 

교육훈련 분야에서는 육군항공작전사령부와 교류 및 협력을 활성화하고 항공 인력에 대한 양성 보수계획을 내실 있게 수립해 임무수행능력을 강화하는 여건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인적자원 분야는 항공전력 도입과 연계해 안전하고 강한 항공대 건설을 선도할 조종사 50여 명과 정비사 60여 명을 양성해 임무수행 중이라고 진단하고, 항공병과 인력 및 인사관리체계를 정립했다. 

항공기지 건설은 민·관·군 상생협의회를 통해 모두가 공감하는 여건 속에서 내년 완공을 목표로 순항 중으로 평가했다. 

특히 미 해병대 항공부대와의 교류로 해병대 항공역량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전반기 추진평가를 통해 후반기 추진과제를 쉼 없이 진행키로 뜻을 모았다. 

이 해병대사령관은 “명실상부한 한국적 공지기동해병대를 완성하기 위해 항공단을 창설하는 그날까지 중단없이 힘차게 매진하자”고 관계관들을 격려했다. 


  1. 해병대 양가희 · 이다희 대위 어머나운동본부에 머리카락 기증

    해병대 교육훈련단 양가희 대위와 9여단 이다희 대위가 수년간 기른 머리카락을 소아암 환자를 위해 '어머나 운동' 본부에 기증했습니다. 오랜 시간 길렀던 머리카락을 자를 때의 아쉬움보다는 어린 암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기쁨을 먼저 생각하는 아름다운 마음의 주인공들입니다. <해병대...
    Date2022.05.19 Views9432
    Read More
  2. 해병대 제6여단 이서정 상사, 주민어선 엔진정비 봉사 실천

    주민 어선 엔진 정비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이서진 상사 <사진 해병대 제6여단 공보정훈실 제공> 인천시 옹진군 서해 최북단 백령도서군을 수호하는 해병대 제6여단에서 지역 내 어민들을 위해 어선 정비 봉사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부사관의 미담이 알려져 주변에 귀감이 되고 있다. 백령도 ...
    Date2022.05.18 Views8331
    Read More
  3. 해병대항공단, 독도함 헬기 이착함 훈련

    해병대항공단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이 경남 거제도 인근 해상에서 해군과 합동으로 독도함 이·착함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박상문 중사 지난해 48년 만에 항공부대를 재창설한 해병대가 해군과 해상 재난을 가정한 실전적 훈련으로 현장 대응능력을 함양했다. 해병대항공단은 지난 12일 경남 ...
    Date2022.05.15 Views9456
    Read More
  4. 해병대2사단, 복합지원시설 반치문관 개관

    11일 해병대2사단에서 열린 반치문관 개관식에서 참석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 해병대2사단 불의의 사고로 순직한 고(故) 반치문 해병준위가 장병들을 위한 복합지원시설로 부활했다. 해병대2사단은 11일 정수용(소장) 사단장 주관으로 ‘반치문관’ 개관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
    Date2022.05.12 Views15520
    Read More
  5. 해병대2사단 백호여단 김지운 상사 소외계층 어린이 돕기 기부

    해병대2사단 백호여단 김지운 상사가 지속적인 선행을 다짐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 고예진 하사 해병대 부사관이 소외 어린이를 위한 지속적인 기부를 실천해 훈훈함을 전하고 있다. 해병대2사단 백호여단 김지운 상사가 그 주인공이다. 김지운 상사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
    Date2022.05.10 Views15865
    Read More
  6. 해병대1사단, 해병문화 혁신 강연

    해병대1사단 본부대대 김명수 병장이 10일 부대 도솔관에서 상병들을 대상으로 해병문화 혁신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 부대 제공 해병대에 복무 중인 배우 겸 그룹 인피니트 멤버 김명수(엘) 병장이 후배들에게 해병문화 혁신을 위한 당부를 전했다. 해병대1사단 본부대대에서 근무하는 김 병...
    Date2022.05.10 Views14971
    Read More
  7. 해병대9여단, 한라산 고지정복훈련 전개 및 환경정화 활동 실시

    해병대9여단 장병들이 제주도 한라산 고지정복훈련 중 등산로 일대 생활 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화 활동을 하고 있다. 사진=김종훈 하사 해병대9여단은 제주도 한라산(1950m)에서 고지정복훈련을 전개해 어떠한 전장환경에서도 임무를 완수하는 능력을 구비했다. 지난 6일 시행한 훈련에는 ...
    Date2022.05.08 Views12718
    Read More
  8. 해병대1사단 22대대, 상륙기습기초훈련

    해병대1사단 22대대 장병들이 상륙기습기초훈련에서 소형 고무보트(IBS)를 진수하고 있다. 사진 해병대1사단 해병대1사단 22대대는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6일까지 부대 해상훈련장 일대에서 소형 고무보트(IBS)를 활용한 상륙기습기초훈련을 실시하고 해병대원으로서 갖춰야 할 전투체력과 불...
    Date2022.05.08 Views13326
    Read More
  9. 해병대1사단, 상륙기습 기초훈련 전개

    [국방뉴스] 2022.05.03 [2022 강한 안보] 거친 파도를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간다 해병대 1사단이 지난달 25일부터 오는 6일까지 주둔지와 도구 해안에서 상륙기습 기초훈련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해병대 핵심 임무인 상륙 기습 능력을 강화하고 있는건데요. 이규혁 기자의 보돕니다. 포항에 ...
    Date2022.05.05 Views14760
    Read More
  10. 해병대6여단 합동 도서 수색작전 전개

    3일 민·관·군·경 합동 도서 수색작전에 참가한 해병대6여단 장병들이 고속단정에 탑승해 대청도 일대 해안을 정밀 탐색하고 있다. 사진 노푸름 중사 해병대6여단은 3일 백령도와 대·소청도에서 지역 군부대 장병, 경찰, 예비군 등 300여 명이 투입된 합동 도서 수색작전을 전개했다. 이번 작...
    Date2022.05.03 Views13927
    Read More
  11. 해병대1사단, 장병 문화예술공연 뮤지컬 갈라쇼 ‘어바웃 드림 콘서트’ 개최

    해병대1사단 장병들이 3일 부대 도솔관에서 열린 뮤지컬 갈라쇼 ‘어바웃 드림 콘서트’에서 출연자들과 함께 공연을 즐기고 있다. 사진 조정민 상사 해병대1사단은 3일 “국방부 ‘M공감 사업’ 지원으로 4일까지 부대 도솔관에서 뮤지컬 갈라쇼 ‘어바웃 드림 콘서트’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사단...
    Date2022.05.03 Views10952
    Read More
  12. 해병대 산악전 전문반 교육 ② 진정한 산악 전투 프로로 거듭나다

    해병대 산악전 전문반 교육 ② 진정한 산악 전투 프로로 거듭나다 [국방뉴스] 2022.04.28 [해병대 산악전 전문반 교육 ②] “진정한 산악 전투 프로로 거듭나다” 국방뉴스는 해병대 교육훈련단 산악전 전문반 교육생들의 소식을 연속 보도하고 있습니다. 5주간의 교육을 거쳐 최정예 산악전 전문...
    Date2022.05.01 Views1420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 251 Next
/ 25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