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723.jpg

 

독일 연방군은 1955년 창설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서 변혁을 통해 새로 태어나는 것을 반복해 왔다. 통일 이후에는 대대적인 군사력 정비계획과 함께 국방개혁을 시작해 냉전시기에 유지하던 49만5000명의 군인을 90년 독일 통일이 이루어지면서 94년까지 37만 명으로 축소했고 현재는 약 22만 명을 유지하고 있다.


 연방군 창설 가장 큰 변혁 시도

 독일 연방군은 현재 통일 이후 또 한 번의 큰 변혁을 시도하고 있다. 이번 개혁은 연방군 창설 이래 가장 큰 규모라고 일컬어지는데, 독일은 왜 또 다시 변혁을 시도하는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우선 안보전략 환경이 바뀌었다. 국제테러·국제분쟁·국제범죄·대량살상무기의 확산·사이버 위협 등은 기후변화 및 환경 재앙과 같이 새로운 위협은 국경이 없다. 재래식 전쟁의 위협은 낮아졌고 국제분쟁 및 테러 등의 새로운 위협에 대처하는 것이 주임무가 된 것이다.

 독일 국방장관은 독일 연방군의 내부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며 국방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파병작전에 어떠한 능력이 요구되지만 그 능력을 갖고 있지 못하다. 어떤 물자는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많이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물자와 장비는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보유하고 있는 것이 너무 적다. 그리고 어떤 물자는 이미 오래전에 주문했지만 그중에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것이 있다.”

  “우리는 군인 수와 임무에 비해 너무 많은 부서와 너무 많은 장군이 있다. 이러한 군 구조에서는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고, 일부는 중복된다. 감독자는 많은데 일할 사람은 너무 적다. 그리고 규정이 너무 많은 데 비해 결심하는 것은 너무 적다. 이것은 국방부에도 해당된다.”
 

 공동의 단일지휘체계로의 변모

 독일 연방군은 안보 전략 환경의 변화에 맞춰 본인들의 임무를 다음과 같이 새로이 정의했다. ‘독일연방공화국 및 국민 보호, 독일 외교 능력의 뒷받침, 동맹국 방어, 국제기구 차원에서 안정에 기여하고 동맹 역할의 수행, 국제협력 및 유럽의 통합 증진’. 이를 위해 독일 연방군은 현재 공동의 단일지휘체계를 가진 부대로 탈바꿈하려 하고 있다. 독일은 지난해 시작한 국방개혁을 통해 합참의장에게 실질적인 군 최고지휘관의 권한을 부여했다. 기존에는 합참의장이 최고 계급인 4성 장군임에도 불구하고 국방장관 및 연방총리에 대한 군사자문 역할에 머물렀었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실질적인 지휘계통에 있지 않았던 각군 총장의 직책을 작전사령관으로 바꾸고, 합참의장이 작전사령관을 지휘하는 단일 지휘체계를 마련했다. 독일의 상부 기능은 평시에는 국방장관이 작전통제권을 행사하고 전시에는 연방총리가 행사하도록 헌법에 명시돼 있다. 참고로 독일은 연방내각제 국가로서 실질적인 권한은 연방의회에서 선출되는 연방총리에게 있고 대통령은 국가의 상징적인 존재로서 국가를 대표한다.

 이번 개혁안에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국방부 조직이 수술대에 올랐다는 점이다. 17개의 국 및 본부가 9개 국으로 축소되고, 인원도 3500명에서 2000명으로 대폭 감축된다. 또 업무도 국방부의 사무차관 2명이 정책 및 지원 분야를 담당하고 합참의장은 군사영역을 담당하도록 조정했다.

 연방군 병력은 현재 22만2000명에서(병력 상한선은 25만2000명) 향후에는 최대 18만5000명으로 축소될 예정이다. 직업군인 17만 명과 최대 23개월까지 근무하며 직업군인에 준하는 보수를 받는 자원복무병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감축 규모를 볼 때에도 독일의 국방개혁은 과감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국방부 국방정책실 제공>



  1. 남북한의 해군무기비교 (구축함,잠수함)

    [자료출처 : 방위사업청 남북한의 주료군사무기비교]
    Date2010.08.04 By슈퍼맨 Views6321
    Read More
  2. No Image

    논산 연무대 입영장정 면회가족쉼터

    논산 연무대 입영장정 면회가족쉼터 논산 육군훈련소 입영심사대 바로 옆에 위치한 입영장정 면회가족쉼터
    Date2013.05.05 By운영자 Views6886
    Read More
  3. 농약살포기를 이용한 전시 제독차 대체장비

    2007년 12월 31일자 국방일보
    Date2010.08.10 By슈퍼맨 Views9005
    Read More
  4. 단거리 지대공유도무기 "천마"

    2010 지상군페스티발에 전시된 단거리 지대공유도무기 "천마"
    Date2010.10.12 By운영자 Views6021
    Read More
  5. 대한민국 정예강군! 파이팅! - 이준기 육군상병

    대한민국 정예강군! 파이팅! - 이준기 육군상병 국방홍보원 발행 국방저널 10월호에서 (사진을 클릭하시면 큰이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Date2011.10.04 By배나온슈퍼맨 Views7691
    Read More
  6.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JCS)의 창설과 변천

    대한민국 군령(軍令)을 관장하는 최고군사기관은 합동참모본부(JCS, 이하 합참)다. 합참은 국방부 예하의 합동부대를 비롯해 육·해·공군 및 해병대 등 각군의 작전부대를 통합 지휘하는 대한민국 최고 군령기관으로서...
    Date2018.03.22 By운영자 Views1277
    Read More
  7. 대형기동헬기 (CH-47D)

    2010 지상군페스티발에 전시된
    Date2010.10.12 By운영자 Views4820
    Read More
  8. 독일군의 국방개혁(상)

    독일 연방군은 1955년 창설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서 변혁을 통해 새로 태어나는 것을 반복해 왔다. 통일 이후에는 대대적인 군사력 정비계획과 함께 국방개혁을 시작해 냉전시기에 유지하던 49만5000명의 군인을 90...
    Date2011.06.08 By운영자 Views3249
    Read More
  9. 두산 인프라코어 바라쿠다 장갑차

    두산 인프라코어 바라쿠다 장갑차
    Date2012.11.12 By배나온슈퍼맨 Views9060
    Read More
  10. No Image

    맥아더 장군과 한국군 병사의 대화

    맥아더 장군과 한국군 병사의 대화 맥아더 장군 : 자네는 언제까지 그 호(壕)속에 있을 것인가? 한국군 병사 : 옛! 각하께서도 군인이시고 저 또한 군인입니다. 군인이란 명령을 따를 뿐입니다. 저의 직속상관으로부...
    Date2010.05.20 By운영자 Views4209
    Read More
  11. 무선송전기술 - 미리보는 미래무기

    무선송전기술의 개념도. 이 기술은 올해 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선정한 10대 미래유망기술에 포함됐다. 얼마 전 아이와 광화문에 위치한 녹색성장체험관에 들른 적이 있다. 힘차게 펌프를 움직이면 오선지 상...
    Date2011.05.31 By운영자 Views5221
    Read More
  12. 무한궤도를 품은 강력한 화력! 15사단 K55A1 초도사격

    육군 15사단 충무포병대대는 지난 9월 17일(화) 자주포부대(K-55A1) 개편 이후 기동부대와 연계한 초도사격을 실시했다. 무한궤도를 품은 강력한 화력! 15사단 K55A1 초도사격 취재기 / 임영식기자 https://blog.nave...
    Date2019.10.06 By운영자 Views364
    Read More
  13. 밀리터리 스토리-군 의전 서열

    계급·진급일자 같을 때는 군번순서로 정해 / 국방일보 2012.03.30 국방부장관-합참의장-연합사령관 順 해병대사령관은 3성 장군 중 최고로 예비역 장성들은 예편 당시의 계급 전군 주요지휘관회의는 국방부장관을 비...
    Date2012.03.31 By배나온슈퍼맨 Views8391
    Read More
  14. 밀리터리 스토리-미사일 원리와 종류

    단거리 미사일 150㎞ 이하·ICBM<대륙간 탄도미사일> 5500㎞ 이상 날아 / 국방일보 2012.04.06 북한이 발표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다음주로 다가옴에 따라 국내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유엔안보리 결의를 ...
    Date2012.04.07 By배나온슈퍼맨 Views5595
    Read More
  15. 밀리터리 스토리-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

    한반도 지리적 특성 고려 하층방어 위주 체계 / 국방일보 2012.11.02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 : Korea Air and Missile Defense)의 미 MD체제 편입에 대한 논란이 일부에서 거론되고 있다. 미사일 방어 조기경보...
    Date2012.11.02 By운영자 Views437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0 Next
/ 2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