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스토리-주요 연습과 훈련 / 국방일보 2012.08.17

 

키 리졸브 연습의 뜻 ‘중요한 결의’ 독수리훈련과 KR/FE 연습으로 불려 태극연습, 순수 한국 합참 주도 진행 호국훈련, 육·해·공 대부대 합동훈련

45398.jpg

2010년 KR/FE 연습에 참가한 육군 장병들이 부교를 건너 기동하고 있다. 이헌구 기자

 

 일반인들에게 8월이라면 휴가철이지만 군은 사정이 다르다.

위기관리연습과 을지프리덤가디언(UFG:Ulchi-Freedom Guardian) 1·2부 연습 등으로 한 달 중 절반 이상이 연습으로 채워지는 달이기 때문이다.

 ※UFG 연습

 UFG 연습의 뿌리는 유엔군사령부 주관으로 1954년부터 실시해 온 군사연습인 포커스렌즈(FL:Focus Lens) 연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FL 연습은 한국 방위를 위한 일종의 지휘소 연습이었다.

 1968년 1월 북한 특수부대가 청와대를 기습 공격하려다 실패한 사건이 벌어지면서 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인 전쟁연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래서 1968년 7월에 처음 실시한 정부 차원 전쟁연습이 을지(Ulchi)연습이다. 을지는 고구려의 명장으로 수 양제의 침략군을 물리친 것으로 유명한 을지문덕(乙支文德) 장군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당시만 해도 FL 연습과 을지연습을 별도로 시행했지만 정부 차원의 연습과 군사연습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와 1976년 을지/포커스렌즈(UFL) 연습으로 통합했다.

2008년부터는 전작권 전환 대비를 강조하는 의미에서 을지/포커스렌즈 연습이 아닌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이란 새로운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KR/FE 연습

 UFG 연습 외에 비교적 규모가 큰 연습으로는 해마다 3~4월 사이에 실시하는 키 리졸브 연습(KR:Key Resolve)이 있다. 원래 미국은 한국과 함께 70년대부터 1993년까지 실시한 팀 스피리트(Team Spirit) 연합훈련을 통해 해외 미군의 한국 전개와 전방 투입 과정을 훈련했다. 하지만 팀 스피리트 훈련이 중단되면서 미군 전개 과정에 대한 훈련 공백을 메우기 위해 팀 스피리트보다 훈련 규모와 범위를 축소한 한미 연합전시증원(RSOI) 연습을 1994년부터 2007년까지 대신 실시했다. KR 연습은 바로 RSOI 연습의 후신으로 ‘중요한 결의’라는 뜻을 갖고 있다.

 2002년 이후 보통 KR 연습과 같은 시기에 독수리훈련(FE:Foal Eagle)도 열린다. 이 때문에 KR/FE 연습이라고 붙여서 부르는 경우가 많다. 1961년 최초 시행 당시에는 후방지역 방어훈련 위주였지만 1980년대부터 연합특수작전훈련이 추가되는 등 좀 더 포괄적인 훈련으로 시행한다. 독수리연습의 FE라는 명칭은 한국 1특전여단의 독수리(Eagle) 마크와 동북아 지역을 담당하는 미 7특전여단의 조랑말(Foal) 마크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극연습

 한미연합 연습으로 진행되는 UFG·KR/FE 연습과 달리 태극연습은 순수하게 한국 합참의 주도로 진행하는 연습이다. 합참의 독자적인 방위기획과 전쟁수행 능력, 작전지휘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연습의 주목적이다. 워게임 방식을 적용해 지휘소 연습 위주로 진행하며 매년 5월께 열린다. 태극연습은 1994년 평시작전통제권 환수 이후 1995년 처음 시작했다. 원래 압록강연습으로 불렀으며, 태극연습이란 명칭을 사용한 것은 2004년부터다.


 ※호국훈련

 대규모 훈련이라면 합참 주도하에 합동작전 차원의 대부대 작전수행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호국훈련도 빼놓을 수 없다. 원래 육군의 상무훈련, 해군의 통해훈련, 공군의 필승훈련으로 분리 시행하던 것을 1988년부터 통일훈련이란 이름으로 통합하면서 합동훈련으로 훈련 폭과 범위가 격상됐다. 1996년 이후엔 육군 군단급 실병기동훈련을 호국훈련에 포함시켜 실시하면서 그 어느 훈련보다 역동적인 상황이 연출된다.
 

 ※연습과 훈련 

훈련(Training)에 비해 연습(Exercise)이란 단어는 다소 낯선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연습이란 모의로 전시작전 시행 절차를 숙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작계에 근거해서 실시하고 교리를 적용해 최대한 실제와 유사하게 실시한다. 또한 합참이나 연합사 등 전구급 지휘부의 지휘소 연습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비해 훈련은 개인과 부대가 임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식과 행동방법을 숙련할 수 있도록 숙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 부대가 공격·방어 과정이나 전술적 운용을 숙달하고, 개인 차원의 전기 절차를 숙달하는 것도 훈련이다.

 2개 국가 이상이 참가하면 연합연습 혹은 훈련이 되고, 육·해·공군 중 2개 군 이상이 참가하면 합동이란 말이 붙는다. 한국과 미군이 함께 실시하는 연습·훈련은 그 어느 것이든 방어적 성격이 강할 뿐 북침 연습이란 북한의 주장은 근거가 전혀 없다.<국방일보 김병륜기자>  



  1. No Image

    병무청, 규제 개혁을 통한 국민 불편 해소 (병역법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 산업기능요원 전직 제한 기간 1년 → 6개월로 완화 - 사회복무요원 고충 심사 청구사항 30일 이내 심사 □ 병무청(청장 박창명)은 병역의무이행 과정에서 불합리하거나 시대에 맞지 않는 규제를 정비하는 내용을 주요...
    Date2014.10.30 By운영자 Views1013
    Read More
  2. No Image

    2014 국방부 업무보고 보도자료(국방부)

    ‘굳건한 국방태세로 평화통일 기반 구축’ 2014년 국방부 업무보고 - 국지도발 및 전면전 동시 대비로 적의 도발에 즉각 대응 - 핵‧WMD 대응능력 강화, 조건에 기초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추진 - 민‧군기술협력 활성...
    Date2014.02.06 By운영자 Views2796
    Read More
  3. 굴절형화기

    굴절형화기
    Date2014.02.02 By운영자 Views2452
    Read More
  4. No Image

    [국방부] 대한민국 수호자 3 (의장대, The Honor Guard of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국방부] 대한민국 수호자 3 (의장대, The Honor Guard of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2013년 여름, 국방부에서 제작한 대한민국 수호자 우리국군의 홍보영상입니다. 국방부와 각 군 의장대의 절도 있는 모습을...
    Date2014.02.02 By운영자 Views2747
    Read More
  5. 북한의 ‘남북관계 개선’ 주장의 저의

    제3주차 시사안보 - 북한의 ‘남북관계 개선’ 주장의 저의 ■ 매년 반복되는 북한의 화전양면 전술 북한 김정은은 지난 1월 1일 신년사를 통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분위기 조성”을 언급하며, 남북간 대결 해소 및 대...
    Date2014.01.12 By운영자 Views2694
    Read More
  6. 2014년, 靑馬의 해 맞아 힘차게 전진하자!

    2014년, 청마(靑馬)처럼 전투의지가 충만한 전사로 거듭나자. ■ 靑馬, 힘찬 기상과 용맹스러움의 상징 2014년 갑오년(甲午年) 새해가 시작됐다. 육십갑자에서 천간(天干)의 ‘갑(甲)’은 청색을, 지지(地支)의 ‘오(午)’...
    Date2014.01.06 By해순이 Views2643
    Read More
  7. 김관진 국방부 장관 2014년 신년사 (장관서신 제19호)

    친애하는 국군장병과 국방가족 여러분! 희망찬 갑오년(甲午年) 새해를 맞아 여러분의 부대와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또한 지금 이 시각 전·후방 각지와 해외에서 국가안보와 세계평화를 위해 헌...
    Date2014.01.01 By운영자 Views2234
    Read More
  8. No Image

    군복 및 군용장구의 단속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국방부)

    ⌜군복 및 군용장구의 단속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 - 제조업 허가 시설기준 중 도금시설 등 일부 삭제 - 행정정보 공동이용으로 확인할 수 없는 신원증명은 공동이용 대상에서 삭제 ◦정부(국방부)는 지난 1973...
    Date2013.12.26 By운영자 Views2139
    Read More
  9. 새로운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대한민국 정부는 2013년 12월 8일 방공식별구역 관련 법령을 근거로, 군 항공작전의 특수성, 항공법에 따른 비행정보구역의 범위, 국제관례 등을 고려하여 한국방공식별구역의 범위를 조정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새...
    Date2013.12.09 By운영자 Views2248
    Read More
  10. K11 소총 본격 전력화, 방사청 “품질문제 해결…육군에 납품”

    K11 복합형 소총(사진)의 전력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방위사업청은 28일 “2011년 10월 폭발사고로 생산을 중단했던 K11 복합형 소총의 품질 문제를 해결했다”며 “내일(29일)부터 육군에 납품해 연차적으로 각군에...
    Date2013.12.01 By운영자 Views2978
    Read More
  11. No Image

    논산 연무대 입영장정 면회가족쉼터

    논산 연무대 입영장정 면회가족쉼터 논산 육군훈련소 입영심사대 바로 옆에 위치한 입영장정 면회가족쉼터
    Date2013.05.05 By운영자 Views6969
    Read More
  12. 제18주차 기본정훈-제7과 자유를 지켜낸 6·25전쟁

    제18주차 기본정훈-제7과 자유를 지켜낸 6·25전쟁 / 국방일보 18주차 기본정훈 ‘자유를 지켜낸 6·25전쟁’은 공주대 안보과학대학원 정명복 교수가 강의했습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김일성은 한반도를 공산화하...
    Date2013.05.01 By운영자 Views4379
    Read More
  13. No Image

    참전명예수당·무공영예수당 등 인상

    [2013 보훈처 업무보고] 국가유공자 보상 강화 국가보훈처의 2013년 업무보고의 첫번째 과제는 참전명예수당 인상 등 국가유공자 보상 강화이다. ◇ 6·25전쟁 참전유공자 등의 수당 상향 조정 및 복지확대 보훈처는 참...
    Date2013.04.29 By운영자 Views5804
    Read More
  14. 아파치 헬기는 북한 압도하는 비대칭전력, 국방부 ‘방위사업추진위’ 의결 내용

    아파치 헬기는 북한 압도하는 비대칭전력, 국방부 ‘방위사업추진위’ 의결 내용 / 국방일보 2013. 04. 17 19:03 입력 막강 롱보우 레이더 장착…기갑전력·국지도발 저지 중고도정찰용 무인기·화생방정찰차량은 국산화 ...
    Date2013.04.17 By운영자 Views5265
    Read More
  15. 원격사격통제체계 사업 공고

    방위사업청(청장 노대래)은 3월 5일 최전방 GP 및 GOP에서 주?야간 북한군 GP 및 DMZ를 감시하고 적 도발 시 즉각적인 대응사격이 가능한 원격사격통제체계 사업을 공고한다. 원격사격통제체계는 감시·타격·통제시스...
    Date2013.03.06 By운영자 Views424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