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국방정책관실 미국정책과 발행 - 한미동맹과 주한미군

 

1. 피로 맺어진우방 - 불의의 패배, 스미스 특수임무부대

 

해병일천기2.jpg

 ▲ 1950년 7월 2일 대전역에 도착하는 美스미스 특수임무부대

 

   전세가 극히 악화되고 있던 7월 1일, 일본의 북큐슈에서는 빗속에서 출동을 서두르고 있는 부대가 있었다. ‘Smith 특수임무부대’. 맥아더 장군이 약속한 주일 미 지상군의 선발 제1진이었다. 이들 병력은 미 제2 4사단에서 선발한 장병 4 0 6명으로 사단장 딘 소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비행기로 한국을 향해 출발했다. 미 지상군이 본격적으로 참전하게 된것이다.
S m i t h대대는 박격포, 무반동총 말고도 1 0 5밀리포 6문의 포병 1개 대대를 배속받고 있는 등, 대대급 규모로는 상당한 화력을 갖추고 있었으나, 대전차화기는 2 . 3 6인치 바주카포 6문만 보유하고 있었다.
그런데 2 . 3 6인치 바주카포로는 북한군 T- 3 4형 전차를 파괴할 수가 없어, 일본 요코하마에 있는 군사령부에 3 . 5인치 로켓포를 급송토록 긴급 요청하였다. 이 3 . 5인치 로켓포는 미 육군이 제2차 세계대전 후에 개발한 신형이며, 당시 본격생산에 착수한 지가 얼마되지 않아 해외주둔부대에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았다. 이마저 급거 공수되어 온 것은 그로부터 1 2일 뒤 인 7월 1 5일로써, Smith대대의 초전에는 투입되지 못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최초의 접전에서 북한군의 전차를 막아내지 못하게된다.
북한군이 수원까지 내려와 있었던 7월 4일, Smith대대는 대전에서 9 0여킬로 북쪽의 오산 죽미령에 포진하였다. 당시의 급박한 상황 속에서 죽미령은 미군부대가 포진할 수 있는 가장 북쪽이었다.
7월 5일, 최초의 일전에서 S m i t h대대는 무참하게 패배하고 말았다. 이 패배는 여러 가지 의미를 던져주었다. 당시 미군하면 세계 최강의 화력과 장비를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던 터에 공산군과의첫 전투에서패했다는것은 미군은물론우리 정부와군에대단한 충격을 주었다.
이때의 패배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그 가운데서도 대대장 스미스중령 이하 장병 모두가 듣지도 보지도 못한 북한군을 3류군대 쯤으로 얕보고 있었다는 점, 더구나 5년 동안이나 일본을 점령하면서 긴장이 풀어졌고 장병 대부분이 실전 경험이 거의 없는 전후(戰後) 보충된 신병이었다는점 등이 결정적 패인이었다.
이 최초 전투에서의 패배는 도쿄 미 극동군사령부는 물론 워싱턴의 미 합참까지 경악하게 하였다. 도쿄의 미극동군사령부는 미 본국에지원병력의 긴급증파를 요청하였다.
워싱턴 당국은영국, 프랑스와 공동으로유엔안보리의 소집을제안했다. 이에 따라소집된 안보리는 7월 7일“미합중국으로 하여금 유엔군 통합사령부를 설치케 하고, 사령관 임명권을 부여하며 유엔기 사용을 허용한다”라는 내용의 결의를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맥아더 장군을 사상최초의유엔군 최고사령관으로 임명했다.
유엔안보리가 결의한 유엔군 통합사령부 설치안을 유엔총회 역시 5 2대 7로 가결했다. 당시 유엔 가입국 5 9개국 중 5 2개국이 찬성하고 반대는 공산권 7개국 뿐이었다. 북한의 불법남침에 대해 세계 자유진영이 단호하게 결속하여 대응하게된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을 비롯한 16개 국가가 전투부대를, 스웨덴 등 5개국이 의료단을 파견하게 되었다.


TAG •

  1. 155MM 견익곡사포(KH-179)

    Date2010.10.12 By운영자 Views9114
    Read More
  2. 지뢰지대 통로개척장비 미클릭(MICLIC)

    2010 지상군페스티발에 전시된 지뢰지대 통로개척장비 미클릭(MICLIC)
    Date2010.10.12 By운영자 Views9063
    Read More
  3. 단거리 지대공유도무기 "천마"

    2010 지상군페스티발에 전시된 단거리 지대공유도무기 "천마"
    Date2010.10.12 By운영자 Views6112
    Read More
  4. No Image

    자주국방의 초석. 군사력 강화 - 국군방송 국방포커스

    국군방송 국방포커스 국군의날특집방송입니다.
    Date2010.10.11 By슈퍼맨 Views4010
    Read More
  5. 쌀건빵과 맛스타

    Date2010.10.05 By운영자 Views6057
    Read More
  6. 불가능을 성공시킨 世紀의 작전 인천상륙작전

    유엔군 사령관 맥아더 원수가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지휘함인 마운트 매킨리 함에서 미 10군단장 알몬드 소장 으로부터 인천시가에 대한 포격 상황을 보고받고 있다. ①최규봉 씨(켈로부대 출신) 기념식장서 ...
    Date2010.09.25 By운영자 Views6035
    Read More
  7. No Image

    군인봉급 및 일반수당 세부현황

    □ 봉급/일반수당 세부내용 구 분 지 급 내 역 비 고 봉 급 ․계급별 호봉별 정액 ․공무원보수규정에 명시 ․공무원보수규정 정근수당 ․봉급액의 0~50%, 연2회 지급(1,7월) ․공무원수당규정 근무년수 지급율(%) 근무년...
    Date2010.09.23 By운영자 Views4263
    Read More
  8. No Image

    군인등의 특수근무수당 및 위험근무수당에 관한 규칙

    [별표 1] <개정 2008.3.28> 위험근무수당의 지급대상 및 지급액(제3조제1항 관련) (단위 : 원) 구분 지급대상 지급액(월액) 갑종 1. 반기에 6회 이상 65미터 이상 수심에서 심해 해난구조 및 특수잠수 작업을 한 자와...
    Date2010.09.23 By운영자 Views8440
    Read More
  9. 칠준약진도

    22일 국방부 청사 본관 2층 대회의실 좌측 벽면에 걸린 ‘칠준약진도(七駿躍進圖)’. 국방부·합참·육군·해군·공군·해병대·예비군을 상징하는 일곱 마리 준마가 아침 햇살을 받으며 도약하고 있다. 일곱 마리 말 뒤로 무...
    Date2010.09.09 By슈퍼맨 Views4280
    Read More
  10. No Image

    해병사단령(1990년)

    해병사단령 [시행 1990.10. 1] [대통령령 제13129호, 1990. 9.29, 전부개정] (기획조정관 조직관리과), 02-748-6560 제1조 (설치와 임무) ①해군에 해병사단을 둔다. ②해병사단은 상륙작전·지상작전 및 관할구역안에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5775
    Read More
  11. No Image

    해병대사령부령

    해병대사령부령 - 대통령령 제19746호('06.12.7) ※'10년 해병대사령부 조직개편에 따라 직제 개정 추진 中 - 제1조(임무) 해병대사령부는 해병대의 정책·편성·교육훈련·인사·군수·작전 그 밖에 해병대의 운영에 관한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5156
    Read More
  12. No Image

    해병대사령부 직제

    해병대사령부 직제 [시행 2006.12. 7] [대통령령 제19746호, 2006.12. 7, 전부개정] 국방부(기획조정관 조직관리담당관), 02-748-6560 제1조 (임무) 해병대사령부는 해병대의 정책·편성·교육훈련·인사·군수·작전 그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5293
    Read More
  13. No Image

    국국조직법

    국군조직법 [시행 2010. 3.17] [법률 제10102호, 2010. 3.17, 일부개정] 국방부(기획조정관 조직관리과), 02-748-6560 제1장 총칙 <개정 2010.3.17> 제1조(목적) 이 법은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기 위한 국군의 조직과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4811
    Read More
  14. No Image

    군인복무규율

    군인복무규율 [시행 2009. 9.29] [대통령령 제21750호, 2009. 9.29, 일부개정] 국방부(인사기획관실 병영정책과), 02-748-5145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영은 「군인사법」 제47조의2에 따라 군인의 복무 기타 병...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10069
    Read More
  15. [피복은 전투력이다] 특전사 피복·장구류 (상)

    특전사의 피복ㆍ장구류는 특별하다. 특수한 임무에 맞는 기능을 갖춘 이들의 특별한 피복은 특수부대라는 자긍심과 사기를 높여주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국방일보 김철환 기자 droid001@dema.kr] 군대의 패션을 선도...
    Date2010.08.31 By운영자 Views163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