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06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소령, 소위, 준위, 하사, 병장 ! 군생활 속에서 매일같이 접하는 호칭들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군인들이 단지 자신에게 주어진 계급이기 때문에 부르고, 불려질 뿐 이 호칭들 속에 어떤 의미가 담겨져 있는지 생각해 본 적은 없을 것이다. 이 호칭들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참으로 뜻 깊고 의미 있는 계급들임을 깨닫고 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될 것이다.

군 계급의 하나인 소위는 무한한 가능성과 군생활의 첫발을 내딛는다는 의미로 작다는 뜻의 소(小)가 아닌, 젊다는 의미의 소(少)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마찬가지로 준사관의 준(准)은 인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부사관 최고 계급인 원사에서 한 단계 상위계급에 진급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관으로 인정되는 만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모든 역량을 발휘해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한다는 의미다.

또 부사관의 부는 단순히 돕는다는 의미의 부(扶)가 아니라 부(副), 즉 버금간다는 의미다. 사관에 버금가는 능력을 인정받는 만큼 군 조직의 중간관리자로서 주어진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렇듯 뜻을 하나씩 풀어보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호칭들 속에 숨겨져 있던 본래 의미들을 깨닫게 된다.

하지만 우리는 호칭에 아무런 의미도 부여하지 않은 채 무관심하게 사용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호칭의 의미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동료·부하·상관을 부른다면, 상대방에 대한 존엄성을 깨달아 더욱 예를 갖출 것이며, 불리는 사람도 자신의 계급에 담긴 의미를 바탕으로 책임감을 갖고 임무완수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을까?

그런데도 일부 사람들은 그 의미는 생각조차 않은 채 막연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게다가 ‘쏘가리(소위)’ ‘말똥(영관장교)’ ‘뱀(병장)’ 등 계급에 주어진 의미를 비하하고 퇴색시키는 비속어들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제부터라도 우리는 관심을 갖고 호칭의 의미들을 되새겨 봐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한다면 주어진 고귀한 계급, 그 계급을 인식시켜 주는 호칭을 소중하게 여기고 생활하며, 자부심을 갖고 자신의 임무에 책임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소위(少尉)를 소위(小尉)라 표기하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오류는 더 이상 없을 것이다.

<박상배 소령·공군전투발전단>


TAG •

  1. 155MM 견익곡사포(KH-179)

    Date2010.10.12 By운영자 Views9114
    Read More
  2. 지뢰지대 통로개척장비 미클릭(MICLIC)

    2010 지상군페스티발에 전시된 지뢰지대 통로개척장비 미클릭(MICLIC)
    Date2010.10.12 By운영자 Views9063
    Read More
  3. 단거리 지대공유도무기 "천마"

    2010 지상군페스티발에 전시된 단거리 지대공유도무기 &quot;천마&quot;
    Date2010.10.12 By운영자 Views6112
    Read More
  4. No Image

    자주국방의 초석. 군사력 강화 - 국군방송 국방포커스

    국군방송 국방포커스 국군의날특집방송입니다.
    Date2010.10.11 By슈퍼맨 Views4010
    Read More
  5. 쌀건빵과 맛스타

    Date2010.10.05 By운영자 Views6057
    Read More
  6. 불가능을 성공시킨 世紀의 작전 인천상륙작전

    유엔군 사령관 맥아더 원수가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지휘함인 마운트 매킨리 함에서 미 10군단장 알몬드 소장 으로부터 인천시가에 대한 포격 상황을 보고받고 있다. ①최규봉 씨(켈로부대 출신) 기념식장서 ...
    Date2010.09.25 By운영자 Views6035
    Read More
  7. No Image

    군인봉급 및 일반수당 세부현황

    □ 봉급/일반수당 세부내용 구 분 지 급 내 역 비 고 봉 급 ․계급별 호봉별 정액 ․공무원보수규정에 명시 ․공무원보수규정 정근수당 ․봉급액의 0~50%, 연2회 지급(1,7월) ․공무원수당규정 근무년수 지급율(%) 근무년...
    Date2010.09.23 By운영자 Views4263
    Read More
  8. No Image

    군인등의 특수근무수당 및 위험근무수당에 관한 규칙

    [별표 1] &lt;개정 2008.3.28&gt; 위험근무수당의 지급대상 및 지급액(제3조제1항 관련) (단위 : 원) 구분 지급대상 지급액(월액) 갑종 1. 반기에 6회 이상 65미터 이상 수심에서 심해 해난구조 및 특수잠수 작업을 한 자와...
    Date2010.09.23 By운영자 Views8440
    Read More
  9. 칠준약진도

    22일 국방부 청사 본관 2층 대회의실 좌측 벽면에 걸린 ‘칠준약진도(七駿躍進圖)’. 국방부·합참·육군·해군·공군·해병대·예비군을 상징하는 일곱 마리 준마가 아침 햇살을 받으며 도약하고 있다. 일곱 마리 말 뒤로 무...
    Date2010.09.09 By슈퍼맨 Views4280
    Read More
  10. No Image

    해병사단령(1990년)

    해병사단령 [시행 1990.10. 1] [대통령령 제13129호, 1990. 9.29, 전부개정] (기획조정관 조직관리과), 02-748-6560 제1조 (설치와 임무) ①해군에 해병사단을 둔다. ②해병사단은 상륙작전·지상작전 및 관할구역안에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5775
    Read More
  11. No Image

    해병대사령부령

    해병대사령부령 - 대통령령 제19746호(&#039;06.12.7) ※&#039;10년 해병대사령부 조직개편에 따라 직제 개정 추진 中 - 제1조(임무) 해병대사령부는 해병대의 정책·편성·교육훈련·인사·군수·작전 그 밖에 해병대의 운영에 관한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5156
    Read More
  12. No Image

    해병대사령부 직제

    해병대사령부 직제 [시행 2006.12. 7] [대통령령 제19746호, 2006.12. 7, 전부개정] 국방부(기획조정관 조직관리담당관), 02-748-6560 제1조 (임무) 해병대사령부는 해병대의 정책·편성·교육훈련·인사·군수·작전 그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5293
    Read More
  13. No Image

    국국조직법

    국군조직법 [시행 2010. 3.17] [법률 제10102호, 2010. 3.17, 일부개정] 국방부(기획조정관 조직관리과), 02-748-6560 제1장 총칙 &lt;개정 2010.3.17&gt; 제1조(목적) 이 법은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기 위한 국군의 조직과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4811
    Read More
  14. No Image

    군인복무규율

    군인복무규율 [시행 2009. 9.29] [대통령령 제21750호, 2009. 9.29, 일부개정] 국방부(인사기획관실 병영정책과), 02-748-5145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영은 「군인사법」 제47조의2에 따라 군인의 복무 기타 병...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10069
    Read More
  15. [피복은 전투력이다] 특전사 피복·장구류 (상)

    특전사의 피복ㆍ장구류는 특별하다. 특수한 임무에 맞는 기능을 갖춘 이들의 특별한 피복은 특수부대라는 자긍심과 사기를 높여주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국방일보 김철환 기자 droid001@dema.kr] 군대의 패션을 선도...
    Date2010.08.31 By운영자 Views163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