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국방장관은 4일 이 같은 내용의 군 상부지휘구조 개편 2단계 로드맵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홍규덕 국방개혁실장은 "그동안 준비한 추진상황을 (김관진)국방장관이 대통령에게 보고했으며, 대통령도 전반적으로 공감했다."고 전했다. 홍 실장은 이어 "2012년까지 각군 총장들이 작전 지휘라인에 위치할 예정이며 2014년 말까지 전작권 전환 추진 일정에 따라 체제를 구성하게 될 것"이라면서 "(2015년 말) 전환시기에 맞춰 지휘구조 개편을 완료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국군조직법 등 국방개혁 관련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면 2012년부터 합참의장이 각군 참모총장을 작전지휘선상에 포함시켜 직접 지휘하게 된다. 또 작전부대에 대한 진급·보직추천권과 징계권 등 군정권을 행사하게 돼 권한이 대폭 강화된다.
육군은 각군 본부와 1·3군사령부를 통합해 작전지휘본부와 작전지원본부로 구성하고 현재 2작전사령부는 그대로 유지키로 했다. 또 각군에 두기로 한 각각 2명의 참모차장은 1차장이 작전지휘본부장을, 2차장이 작전지원본부장을 맡게 된다. 해·공군은 육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휘구조가 단순해 2015년에 맞춰 해작사와 공작사를 본부와 합치게 된다.
국방부는 또 2015년 전작권 전환 이후에는 한국군이 주도하고 미군이 지원하는 새 한·미 연합체제를 갖추게 되면서 전시에도 육군과 해군은 한국군 참모총장이 지휘할 예정이다. 하지만 공군은 전시에 미 공군의 지휘를 받게 되기 때문에 한·미 연합공군사령관인 미 7공군사령관의 밑에 한국 측 연합공군 부사령관으로 공군 참모차장을 두기로 했다. 공군 참모총장은 전시 작전지휘계선에서 빠지고 작전지도와 작전지원의 역할만 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국방부는 다음 달 초 상부지휘구조개편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하고 관련 법률을 6월 국회에 상정해 통과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편 김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담당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현재 우리 육·해·공군 구조는 상부에 병력이 너무 집중돼 있다."면서 "머리가 크고 배가 나온 상태에서 팔·다리는 허약한 선수가 권투하고 축구하면 이길 수 있겠느냐."고 군 상부지휘구조의 기형적인 모습을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군이 제모습을 갖춰야 한다."면서 "참모본부의 병력을 축소해 군단이하 참모 조직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서울신문>
홍성규·오이석기자 hot@seoul.co.kr
Articles
- 2024년 후반기 장성급 장교 인사 단행
-
국정원ㆍ합수단, ‘경찰앱 위장 보이스피싱 악성앱’ 주의 촉구 새글
-
국방부, 군 초급간부 기본급 인상 하사 기준 월 200만원 추진
-
軍, 지대지미사일 실사격 훈련 실시
-
더본코리아 백종원 대표 군부대 특식 제공
-
김명수 합참의장, 해병대 제2사단 군사대비태세 현장점검
-
학군사관후보생(ROTC) 모집 최종 마감, 9년 만에 지원율 상승
-
한미, 대규모 연합 공중훈련 실시
-
제12회 백선엽 한미동맹상 시상식 개최 - 故 딘 헤스 대령 수상 -
- 국방부, 백령도 각급 부대를 찾아가는 “최전방수호장병 취업역량 강화교육” 진행
- 국방일보 10월 병영차트 ’병영생활전문상담관에 가장 어울리는 스타는?‘ 유재석의 유쾌...
- 유엔 PKO 기여공약 일환, 여군 PKO 역량강화 교육 시행
-
국정원, 북한 특수부대 러-우크라 전쟁 참전 확인
-
2024 호국훈련 시행 10월 20일(일)부터 11월 8일(금)까지
- 주한미군 포천 영평훈련장 사격훈련, 6년 만에 완전 정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