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국방장관은 4일 이 같은 내용의 군 상부지휘구조 개편 2단계 로드맵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홍규덕 국방개혁실장은 "그동안 준비한 추진상황을 (김관진)국방장관이 대통령에게 보고했으며, 대통령도 전반적으로 공감했다."고 전했다. 홍 실장은 이어 "2012년까지 각군 총장들이 작전 지휘라인에 위치할 예정이며 2014년 말까지 전작권 전환 추진 일정에 따라 체제를 구성하게 될 것"이라면서 "(2015년 말) 전환시기에 맞춰 지휘구조 개편을 완료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국군조직법 등 국방개혁 관련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면 2012년부터 합참의장이 각군 참모총장을 작전지휘선상에 포함시켜 직접 지휘하게 된다. 또 작전부대에 대한 진급·보직추천권과 징계권 등 군정권을 행사하게 돼 권한이 대폭 강화된다.
육군은 각군 본부와 1·3군사령부를 통합해 작전지휘본부와 작전지원본부로 구성하고 현재 2작전사령부는 그대로 유지키로 했다. 또 각군에 두기로 한 각각 2명의 참모차장은 1차장이 작전지휘본부장을, 2차장이 작전지원본부장을 맡게 된다. 해·공군은 육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휘구조가 단순해 2015년에 맞춰 해작사와 공작사를 본부와 합치게 된다.
국방부는 또 2015년 전작권 전환 이후에는 한국군이 주도하고 미군이 지원하는 새 한·미 연합체제를 갖추게 되면서 전시에도 육군과 해군은 한국군 참모총장이 지휘할 예정이다. 하지만 공군은 전시에 미 공군의 지휘를 받게 되기 때문에 한·미 연합공군사령관인 미 7공군사령관의 밑에 한국 측 연합공군 부사령관으로 공군 참모차장을 두기로 했다. 공군 참모총장은 전시 작전지휘계선에서 빠지고 작전지도와 작전지원의 역할만 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국방부는 다음 달 초 상부지휘구조개편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하고 관련 법률을 6월 국회에 상정해 통과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편 김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담당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현재 우리 육·해·공군 구조는 상부에 병력이 너무 집중돼 있다."면서 "머리가 크고 배가 나온 상태에서 팔·다리는 허약한 선수가 권투하고 축구하면 이길 수 있겠느냐."고 군 상부지휘구조의 기형적인 모습을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군이 제모습을 갖춰야 한다."면서 "참모본부의 병력을 축소해 군단이하 참모 조직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서울신문>
홍성규·오이석기자 hot@seoul.co.kr
Articles
-
박근혜 대통령 군부대 순시 이모저모 - 군복차림… 최전방 경계 장병 ‘포옹’
-
주한미군 장병들, 따뜻한 온기를 담아 연탄배달
-
방사청, 신형 화학탐지경보장비 2017년까지 개발
-
아라우부대 상륙함단대 출항
-
아라우부대 상륙함단대, 필리핀 재해복구 장비·물자 수송
- 육군, 「전쟁의 종결자 : 일명 FINAL BATTLE」네티즌 참여형 광고 영상 공개
-
아우라부대 김관진 국방부 장관 주관 환송식… 육·해·공군·해병대 합동지원단 첫 해외파병
-
황기철 해군참모총장, 서북해역 군사대비태세 집중 점검 연평부대·전진기지 등 현장지도
-
육군특수전교육단, 국내 최대 규모 첨단 스쿠버 전문 훈련장 개장
-
박신애 육군소령 여군 최초 대통령상 수상
- 해군 제주방어사령부(제방사), 창설 63주년 기념식
-
이지스함 3척 2020년대 중반까지 추가 확보
- 육해사 생도 T-103 체험비행
-
필리핀 재건지원 아라우부대 창설
-
해군 순항훈련전단 14개국 순방 마치고 오늘 귀국6·25전쟁 참전국서 보은행사·실전적 ...
-
참전용사의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 6·25 국군 전사자 666명 합동봉안
-
130㎜ 유도로켓 LIG넥스원이 개발한다
- 한국-영국 해군 군사협력 증진 논의(해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