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밀리터리 인사이드> 지난 19일, 경북 포항 독석리 해변. 시내에서 북쪽으로 20여㎞ 떨어진 한적한 해안마을이 이른 아침부터 북적거리기 시작했다.  

해군과 해병대가 합동으로 실시하는 대규모 상륙훈련이 이곳 해변에서 펼쳐질 예정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훈련은 지난해 11월 북한의 서해 연평도 포격 이후 최초로 실시되는 훈련이란 점에서 많은 관심이 집중된 상황. 많은 취재진을 비롯해 군 관계자와 구경나온 지역 주민들까지 몰려있었다.

본격적인 훈련이 시작되기 전, 뭍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바다에는 해군 초계함이 닻을 내린 채 정박해 있었다. 초계함은 반짝이는 아침 햇살과 어울려 잠시 그림 같은 풍경을 연출하기도 했으나, 만약 실전상황이었다면 상륙에 방해가 되는 적들을 향해 쉴 새 없이 포탄을 쏘아대고 있었을 것이다.

이윽고 수평선 근처에 또 다른 실루엣이 모습을 드러냈다. 해병대 장비와 병력을 가득 실은 해군의 전차상륙함(LST)들이었다.

빠른 속도로 해안을 향해 다가오던 상륙함들은 해안선과 일정한 거리에 도달하자 일제히 방향을 돌려 다시 먼 바다로 멀어지기 시작했다.

해병대 관계자는 상륙함들이 해병대의 ‘KAAV-7’ 상륙돌격장갑차를 바다에 내려놓고 다시 멀어지는 것이라 설명했다. KAAV-7은 상륙함의 함미에 장착된 출입램프를 통해 바다로 ‘뛰어들게’ 된다. 관계자는 이를 ‘장갑차가 진수됐다’고 표현했다.

상륙함이 지나간 자리에는 거북이 등껍질 같은 수많은 물체가 남아 있었다. 이번 상륙의 선봉을 맡은 KAAV-7 장갑차였다. 이들은 잠시 대열을 짜는 듯 싶더니 이내 하얀 물보라를 일으키며 백사장을 향해 전속으로 질주하기 시작했다.

이 때 백사장에선 소속을 알 수 없는 한 무리의 군인들이 완전무장한 채 상륙작전을 지켜보고 있었다.

해병대 관계자는 이날 상륙작전을 위해 특수부대가 전날 이곳에 침투해 있었다고 귀띔했다. 아군을 정확한 상륙지점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날은 훈련인 관계로 상륙지원단 병사들이 그 임무를 함께 수행하고 있었다.

사실 상륙을 위해선 수많은 준비과정이 선행돼야 한다. 병력을 후방에 집결시켜 상륙함에 태워야 하고, 적진 후방까지 이를 호위해 와야 한다. 실제로 해군과 해병대는 지난 16일 훈련이 시작된 이후 사흘에 걸쳐 병력탑승과 목표해안으로의 항해 등 일련의 과정을 진행했으며, 이날 하이라이트인 본대 상륙이 실시된 것이었다.


◆ 긴 준비, 순식간에 진행된 상륙

많은 시간이 걸린 준비단계와 달리 상륙 자체는 매우 신속하게 진행됐다.

해병대 측은 9대의 KAAV-7 장갑차를 시작으로 모두 10차례에 걸쳐 병력이 상륙하게 된다고 밝혔지만, 1~3파까지는 수 분의 차이를 두고 백사장에 도착하는 등 언뜻 보기에는 어디까지가 1파고 어디부터가 2파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KAAV-7이 연막을 뿌리며 뭍에 닿았다 싶으면 반대쪽에선 해군의 솔개II 공기부양정(LSF-II)이 해병대의 ‘K-1’ 전차를 싣고 땅 위에 올라오고 있었다. LSF-II는 50t이 넘는 K-1 전차를 싣고서도 KAAV-7의 10배에 가까운 속도로 항해할 수 있고 땅 위까지 곧바로 올라올 수 있어 신속한 상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전차를 싣고 온 LSF-II는 해군의 대형상륙함 ‘독도함’(LPH-6111)에서 출격한 것으로, 독도함은 수평선 너머에 있어 백사장에선 보이지 않았다.

같은 시간, 하늘에선 해군의 UH-60 헬기가 무리를 지어 날아다니며 병력을 실어날랐다. 이 헬기들도 독도함에서 날아온 것이었다.

장갑차와 전차는 도착하자마자 잠시 대열을 갖추는가 싶더니 순식간에 해변을 빠져나갔다.

이에 대해 해병대 관계자는 “그동안 훈련에선 병사들이 백사장에서 뛰어내리는 모습이 많이 보였으나, 이는 실제 전술과는 맞지 않는 행동”이라면서 “이번 훈련은 최대한 실전에 가깝게 진행하기 위해 내륙에 마련된 집결지에서 병력이 하차하게 된다.”고 밝혔다.

백사장을 최대한 빨리 비워줘야 후속 병력들이 그곳으로 상륙할 수 있다는 뜻이었다.

실제로 상륙개시예정시간은 오전 8시였으나, 해군의 ‘성인봉함’(LST-685)이 해안에 도착해 병사들을 내려놓은 시간은 8시 30분이었다. 성인봉함에 앞서 수십 대의 KAAV-7 장갑차와 K-1 전차, UH-60이 해안에 도착한 것을 생각하면 불과 30분 만에 수백여 명의 해병대원과 전투장비들이 상륙한 셈이었다.

MNM_20110520103400_V.jpg

◆ 미군 없이 실시한 대규모 상륙훈련

이번 훈련은 연평도 포격 이후 최초라는 점에서 시선을 끌기도 했으나, 이례적으로 미군없이 한국군 독자적으로 실시된 훈련이라는 점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이를 위해 해군은 독도함과 전차상륙함 3척 등 보유한 거의 모든 상륙전력을 투입했으며 이들을 호위하기 위해 한국형 구축함과 호위함, 초계함 등 대규모 전력을 동원했다. 훈련 내내 하늘에선 공군 전투기가 날아다녔으며 독도함에서 이륙한 헬기들이 쉴 새 없이 왕복하며 병력을 실어날랐다.

미군과 함께 진행했던 과거의 훈련과 비교해 규모나 장비 면에서 아쉬운 점은 있었으나, 독자적으로도 어느 정도 모양새가 갖춰진 것은 큰 발전이라고 평가된다.

이번 훈련에서 상륙군 사령관을 맡은 김승호 대령은 “이번 합동상륙훈련을 통해 지·해·공 합동작전 수행능력을 한 단계 향상시켰다.”면서 이번 훈련이 합동작전 수행의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MNM_20110520103332_V.jpg





영상 / 경북 포항 = 서울신문 나우뉴스TV 손진호기자 nasturu@seoul.co.kr

글·사진 / 경북 포항 = 최영진 군사전문기자 zerojin2@seoul.co.kr


  1. 軍 '사이버 군기강' 위반행위 엄정 처벌

    "얼차려ㆍ군사시설 촬영, 군수품 경매 등" / 연합뉴스 | 김귀근 | 입력 2011.06.05 10:02 1~3월 1천29건 위반적발..300여건 징계처리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최근 모 부대 A 병장은 훈련 중 후임들을 괴롭히...
    Date2011.06.05 Views2140
    Read More
  2. 중공군 3개 사단 섬멸 ‘용문산전투’를 아시나요

    6·25 최대 전승… 어제 60돌 전투 참가 노병들 한자리에 31일 경기 가평군 용문산전투 가평지구 전적비 앞에서 열린 제60회 전승 기념행사에서 당시 전투에 참여했던 노병들이 분향하고 있다. 육군6사단 제공 <동아일...
    Date2011.06.03 Views3357
    Read More
  3. 적진 한가운데 고립된 조종사의 '나이팅 게일' - SART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임무수행중인 공군 전투기가 적의 지대공미사일에 맞아 추락했다. 공군본부엔 당장 비상이 걸렸다. 5시간후 희소식이 날아들었다. 비상탈출한 조종사로부터 암호통신을 받은 것. 전투기는 적...
    Date2011.06.03 Views4482
    Read More
  4. No Image

    헌병단장이 사병 빵값 빼돌려 제 주머니로…

    국방부 검찰단은 2일 전 수도방위사령부 헌병단장인 이모(예비역 준장) 씨의 횡령 의혹을 조사한 결과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총 4700여만원을 횡령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군 검찰에 따르면 이 씨는 헌병단장...
    Date2011.06.03 Views2874
    Read More
  5. No Image

    다가오는 `현충일' 조기<弔旗>를 달자

    ‘표현하지 않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다’란 금언은 인간 관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뜨거운 나라사랑의 마음을 갖고 있다 한들 표현하지 않는 이상 그 사람은 자신의 안위에만 골몰하는 소시민 그 이상도, 이하도 ...
    Date2011.06.02 Views1872
    Read More
  6. 육군6군단 쌍용훈련, 대규모 병력·장비 투입 `실전방불'

    육군6군단은 1일부터 3일까지 ‘2011년 쌍용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2일 73사단 장병과 예비군들이 마일즈 장비를 착용한 가운데 쌍방기동훈련(위)과 105㎜ 포사격 훈련(아래)을 하며 현역과 예비군의 통합전투수행능...
    Date2011.06.02 Views7154
    Read More
  7. 육군28사단 `야지방목형' 신병교육

    육군28사단 11-10기 훈련병들이 실제 전장상황을 그대로 체험하는 ‘야지방목형’ 교육 중 소대별로 숙영지를 편성해 2인 1조로 잠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야지방목형 교육을 받고 있는 훈련병들이 텐트도 치지 않은 채 ...
    Date2011.06.02 Views7439
    Read More
  8. 육군수도군단 특공연대 야외집중전술훈련

    육군수도군단 특공연대 장병들이 1일 실시된 야외집중 전술훈련에서 작전지역으로 은밀히 침투하고 있다. 육군수도군단 특공연대 장병들은 지난달 9일부터 이달 3일까지 작전지역 일대에서 강도 높은 야외집중전술훈...
    Date2011.06.02 Views6714
    Read More
  9. No Image

    부사관 양성 강도 세진다

    국방부, 교육체계 개선 육군에 시달 /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1.06.03 대대급 전투형 부대의 핵심 계층인 우수한 분대장(부사관) 양성을 위한 교육이 더욱 강화된다. 특히 이를 위해 분대장 양성 교육기간의 연장과 ...
    Date2011.06.02 Views2600
    Read More
  10. 두번째 이지스 구축함 율곡이이함 영해수호 나섰다

    한국의 두 번째 이지스 구축함 1일 작전 배치 / 국방일보 윤병노기자 2011.06.02 이지스 구축함 율곡이이함 갑판요원들이 전력화 훈련에서 링스(Lynx) 헬기 이착함 및 격납훈련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 해군의 두 번째...
    Date2011.06.01 Views3246
    Read More
  11. 공군6탐색구조비행전대 - 국방일보 부대열전

    HH-60 구조 헬기가 만뢰산 정상에 도착하자 특수구조사들이 부상당한 조종사를 헬기에 탑승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전날부터 내리던 봄비가 잦아들던 지난달 27일 오전 8시 충북 진천군 백곡저수지 인근 만뢰산 어...
    Date2011.06.01 Views5103
    Read More
  12. 태극연습 성공리에 마무리

    한민구(맨 왼쪽) 합참의장이 상부 지휘구조 개편안이 처음 적용된 2011년 태극연습에서 김상기 육군참모총장·김성찬 해군 참모총장·박종헌 공군참모총장과 화상지휘시스템을 통해 작전을 논의하고 있다. 각군 참모총...
    Date2011.06.01 Views2380
    Read More
  13. No Image

    2011년 전반기 합참 주요 지휘관회의 개최

    - 공작사에서 전술토의와 연계한 실전적 야전중심 회의로 진행 - ◦ 합동참모본부는 한민구 합참의장 주관으로 5월 25일(수) 공군작전사령부에서 합참 및 연합사, 육·해·공군, 해병대 등 주요 지휘관이 참석한 가운데 ...
    Date2011.06.01 Views1995
    Read More
  14. 강릉 통일공원에 연평도 도발 北 포탄 전시

    지난해 11월 23일 북한의 연평도 도발 현장에서 수거된 북한군 122㎜ 방사포의 포탄 잔해가 생생한 현장 사진과 함께 강릉 통일공원에 전시, 새로운 볼거리가 될 전망이다. <연합뉴스 / 국방일보>
    Date2011.05.31 Views2721
    Read More
  15. 공기부양정 공격엔 500MD보다 코브라 공격헬기가 적합

    국방부가 공기부양정을 이용한 북한군의 백령도 등 서북도서 기습침투를 저지하기 위해 500MD(사진 아래) 경 (輕)공격헬기 배치를 추진하고 있지만, 작전환경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코브라(AH-1Sㆍ사진 위) 공격헬기로...
    Date2011.05.31 Views34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