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밀리터리 인사이드> 지난 19일, 경북 포항 독석리 해변. 시내에서 북쪽으로 20여㎞ 떨어진 한적한 해안마을이 이른 아침부터 북적거리기 시작했다.  

해군과 해병대가 합동으로 실시하는 대규모 상륙훈련이 이곳 해변에서 펼쳐질 예정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훈련은 지난해 11월 북한의 서해 연평도 포격 이후 최초로 실시되는 훈련이란 점에서 많은 관심이 집중된 상황. 많은 취재진을 비롯해 군 관계자와 구경나온 지역 주민들까지 몰려있었다.

본격적인 훈련이 시작되기 전, 뭍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바다에는 해군 초계함이 닻을 내린 채 정박해 있었다. 초계함은 반짝이는 아침 햇살과 어울려 잠시 그림 같은 풍경을 연출하기도 했으나, 만약 실전상황이었다면 상륙에 방해가 되는 적들을 향해 쉴 새 없이 포탄을 쏘아대고 있었을 것이다.

이윽고 수평선 근처에 또 다른 실루엣이 모습을 드러냈다. 해병대 장비와 병력을 가득 실은 해군의 전차상륙함(LST)들이었다.

빠른 속도로 해안을 향해 다가오던 상륙함들은 해안선과 일정한 거리에 도달하자 일제히 방향을 돌려 다시 먼 바다로 멀어지기 시작했다.

해병대 관계자는 상륙함들이 해병대의 ‘KAAV-7’ 상륙돌격장갑차를 바다에 내려놓고 다시 멀어지는 것이라 설명했다. KAAV-7은 상륙함의 함미에 장착된 출입램프를 통해 바다로 ‘뛰어들게’ 된다. 관계자는 이를 ‘장갑차가 진수됐다’고 표현했다.

상륙함이 지나간 자리에는 거북이 등껍질 같은 수많은 물체가 남아 있었다. 이번 상륙의 선봉을 맡은 KAAV-7 장갑차였다. 이들은 잠시 대열을 짜는 듯 싶더니 이내 하얀 물보라를 일으키며 백사장을 향해 전속으로 질주하기 시작했다.

이 때 백사장에선 소속을 알 수 없는 한 무리의 군인들이 완전무장한 채 상륙작전을 지켜보고 있었다.

해병대 관계자는 이날 상륙작전을 위해 특수부대가 전날 이곳에 침투해 있었다고 귀띔했다. 아군을 정확한 상륙지점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날은 훈련인 관계로 상륙지원단 병사들이 그 임무를 함께 수행하고 있었다.

사실 상륙을 위해선 수많은 준비과정이 선행돼야 한다. 병력을 후방에 집결시켜 상륙함에 태워야 하고, 적진 후방까지 이를 호위해 와야 한다. 실제로 해군과 해병대는 지난 16일 훈련이 시작된 이후 사흘에 걸쳐 병력탑승과 목표해안으로의 항해 등 일련의 과정을 진행했으며, 이날 하이라이트인 본대 상륙이 실시된 것이었다.


◆ 긴 준비, 순식간에 진행된 상륙

많은 시간이 걸린 준비단계와 달리 상륙 자체는 매우 신속하게 진행됐다.

해병대 측은 9대의 KAAV-7 장갑차를 시작으로 모두 10차례에 걸쳐 병력이 상륙하게 된다고 밝혔지만, 1~3파까지는 수 분의 차이를 두고 백사장에 도착하는 등 언뜻 보기에는 어디까지가 1파고 어디부터가 2파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KAAV-7이 연막을 뿌리며 뭍에 닿았다 싶으면 반대쪽에선 해군의 솔개II 공기부양정(LSF-II)이 해병대의 ‘K-1’ 전차를 싣고 땅 위에 올라오고 있었다. LSF-II는 50t이 넘는 K-1 전차를 싣고서도 KAAV-7의 10배에 가까운 속도로 항해할 수 있고 땅 위까지 곧바로 올라올 수 있어 신속한 상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전차를 싣고 온 LSF-II는 해군의 대형상륙함 ‘독도함’(LPH-6111)에서 출격한 것으로, 독도함은 수평선 너머에 있어 백사장에선 보이지 않았다.

같은 시간, 하늘에선 해군의 UH-60 헬기가 무리를 지어 날아다니며 병력을 실어날랐다. 이 헬기들도 독도함에서 날아온 것이었다.

장갑차와 전차는 도착하자마자 잠시 대열을 갖추는가 싶더니 순식간에 해변을 빠져나갔다.

이에 대해 해병대 관계자는 “그동안 훈련에선 병사들이 백사장에서 뛰어내리는 모습이 많이 보였으나, 이는 실제 전술과는 맞지 않는 행동”이라면서 “이번 훈련은 최대한 실전에 가깝게 진행하기 위해 내륙에 마련된 집결지에서 병력이 하차하게 된다.”고 밝혔다.

백사장을 최대한 빨리 비워줘야 후속 병력들이 그곳으로 상륙할 수 있다는 뜻이었다.

실제로 상륙개시예정시간은 오전 8시였으나, 해군의 ‘성인봉함’(LST-685)이 해안에 도착해 병사들을 내려놓은 시간은 8시 30분이었다. 성인봉함에 앞서 수십 대의 KAAV-7 장갑차와 K-1 전차, UH-60이 해안에 도착한 것을 생각하면 불과 30분 만에 수백여 명의 해병대원과 전투장비들이 상륙한 셈이었다.

MNM_20110520103400_V.jpg

◆ 미군 없이 실시한 대규모 상륙훈련

이번 훈련은 연평도 포격 이후 최초라는 점에서 시선을 끌기도 했으나, 이례적으로 미군없이 한국군 독자적으로 실시된 훈련이라는 점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이를 위해 해군은 독도함과 전차상륙함 3척 등 보유한 거의 모든 상륙전력을 투입했으며 이들을 호위하기 위해 한국형 구축함과 호위함, 초계함 등 대규모 전력을 동원했다. 훈련 내내 하늘에선 공군 전투기가 날아다녔으며 독도함에서 이륙한 헬기들이 쉴 새 없이 왕복하며 병력을 실어날랐다.

미군과 함께 진행했던 과거의 훈련과 비교해 규모나 장비 면에서 아쉬운 점은 있었으나, 독자적으로도 어느 정도 모양새가 갖춰진 것은 큰 발전이라고 평가된다.

이번 훈련에서 상륙군 사령관을 맡은 김승호 대령은 “이번 합동상륙훈련을 통해 지·해·공 합동작전 수행능력을 한 단계 향상시켰다.”면서 이번 훈련이 합동작전 수행의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MNM_20110520103332_V.jpg





영상 / 경북 포항 = 서울신문 나우뉴스TV 손진호기자 nasturu@seoul.co.kr

글·사진 / 경북 포항 = 최영진 군사전문기자 zerojin2@seoul.co.kr


  1. 예비군 휴일훈련 올해부터 대폭 확대

    올해 예비군훈련이 4일부터 본격 시작됐다. 육군56사단 예비군훈련에 참가한 예비군들이 연대 교현교장에서 서바이벌 장비를 활용한 시가지 전투훈련을 하고 있다. 박흥배 기자 2013년 첫 예비군훈련이 4일 전국 각지...
    Date2013.03.04 Views2351
    Read More
  2. No Image

    예비군 훈련소 첨단시설 갖춘다

    208개 훈련장 47개로 통폐합 /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1.06.13 컴퓨터 시뮬레이션 훈련장 등 첨단 시설이 갖춰진 예비군 대형 훈련소가 내년부터 설치된다. 이에 따라 예비군이 더욱 정예화되고 전력도 한층 강화될 ...
    Date2011.06.13 Views2140
    Read More
  3. No Image

    예비군 저격수 3만명 양성한다

    국방부가 3만여 명의 예비군 저격수를 양성하기로 하는 등 전투형 예비군 육성을 위한 2011년 예비군 훈련 제도 개편사항을 24일 공개했다. 국방부는 “수년 전부터 일부 예비군부대에서 예비군 저격수 양성 훈련을 해...
    Date2011.02.26 Views3730
    Read More
  4. No Image

    예비군 내년부터 복무부대서 동원훈련

    국방부, 수도권ㆍ경기ㆍ강원 지역에 우선 적용 / 국방일보 2011.11.24 서울·인천 등 수도권과 경기ㆍ강원 지역 부대에서 현역 복무를 하고 지금 이들 지역에 거주하는 동원예비군들은 내년 1월부터 원 소속부대에서 ...
    Date2011.11.23 Views2433
    Read More
  5. No Image

    예비군 교육훈련 소집통지서「모바일 송달 서비스」개시

    국방부는 2022년도 예비군 개인별 소집훈련 일정에 맞추어, 예비군이 훈련 소집통지서를 언제 어디서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스마트폰 등으로 받아 볼 수 있도록 5월 11일(수)부터 “모바일 송달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
    Date2022.05.10 Views7724
    Read More
  6. 예비군 교육 훈련소집통지서 모바일 확인 국방부 카드뉴스

    2022년도 예비군 교육훈련 소집통지서 모방일로도 확인할 수 있어요! 예비군 교육 훈련소집통지서 모바일 확인 국방부 카드뉴스
    Date2022.05.15 Views6377
    Read More
  7. 예방책 있으나마나… 軍 자살 10만명당 12.6명

    해병대 병사들의 자살이 잇따르는 가운데 군내 자살자들이 2005년 이후 줄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부에 따르면 2005년 64명이던 군내 자살자는 2006년 77명, 2007년 80명, 2008년 75명, 2009년 81명에 이...
    Date2011.07.11 Views3154
    Read More
  8. No Image

    영화 명량 군부대 무료 순회 상영

    국방부-㈜CJ E&M과 손잡고 영화 <명량> 군부대 순회 무료 상영! - 9월 22일부터 육‧해‧공군 / 해병대 등 전국 100여개 군부대 순회 상영 ❍ 국방부와 CJ E&M는 9월 22일부터 10월 31일까지 40일동안 영화 <명량>으로 ...
    Date2014.09.23 Views458
    Read More
  9. 영해 수호 해군 최정예 UDT/SEAL 대원 73명 탄생

    해군특수전전단 특수전 초급과정 교육생들이 기초 체력단련을 위한 뜀걸음을 하고 있다. 해군 부사관 전역 후 해군 학사사관으로 다시 입대해 교육생 평균 연령보다 10살 이상 많은 38세로 극한의 훈련을 수료한 강현...
    Date2022.01.02 Views1662
    Read More
  10. 영하의 계곡 은밀 침투

    최전방은 이미 영하권 날씨로 뚝 떨어졌다. 전방 특유의 찬바람마저 불어 몸으로 느끼는 온도가 더욱 차갑기만 한 10일 육 군3군단 특공연대 장병들이 강원도 인제군 미시령 일대 한 계곡에서 적지종심작전 수행능력 ...
    Date2012.11.11 Views1801
    Read More
  11. No Image

    열린병영문화 정착을 위한 장군단 워크숍 개최

    “열린병영문화 정착을 위한 장군단 워크숍” 개최 ❍ 국방부는 11월 24(월)부터 12월 9(화)까지 전체 장군단을 대상으로 경기도 파주 출판도시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인 지지향(紙之鄕)에서 “열린병영문화 정착을 위한 ...
    Date2014.11.25 Views346
    Read More
  12. 연합사, 연합·합동작전 스마트북 펴내 주요 교리·용어 핵심만 알기 쉽게 정리

    한미연합사령부가 지난 10일 연합·합동작전 교리와 용어를 알기 쉽게 작은 책자로 펴낸 ‘연합·합동작전 스마트북’ . ‘한미 연합·합동작전도 이젠 스마트해진다.’ 한미연합사령부 기획참모부는 지난 10일 연합·합동작...
    Date2011.06.15 Views3460
    Read More
  13. No Image

    연합사 키 리졸브 및 폴 이글 연습 개시

    한미연합군사령부가 연례적으로 실시하는 키 리졸브 및 폴 이글 연습이 3월 7일 시작됐다. 3월 7일부터 18일까지 실시되는 키 리졸브는 대한민국과 미국 사이에 오래되고 굳건한 파트너십과 우정 및 대한민국과 역내 ...
    Date2016.03.12 Views207
    Read More
  14. 연합사 군참부 KR/FE 대비 현지 전술토의·지형정찰

    장기윤(육군준장·오른쪽 둘째) 한미연합사령부 군수참모부장이 전시증원(RSOI) 현지 지형정찰을 하면서 부산 사직운동장 인근에서 주한 미19지원사령부 스미스(왼쪽 둘째) 소령과 얘기를 하고 있다. 한미군이 다음달 ...
    Date2011.02.11 Views5399
    Read More
  15. 연평해전, 전사한 때부터 6명 모두 ‘전사자’로 구분

    무공훈장 수여하고 1계급 진급 추서 해군장으로 장례식 등 최대한 예우 6명 이름 해군 함정 함명으로 부여도 제2연평해전 13주년과 영화 ‘연평해전’의 흥행을 계기로 최근 제2연평해전 전사자들에 대한 예우 문제가 ...
    Date2015.07.06 Views60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