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하지 않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다’란 금언은 인간 관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뜨거운 나라사랑의 마음을 갖고 있다 한들 표현하지 않는 이상 그 사람은 자신의 안위에만 골몰하는 소시민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나라사랑은 어떻게 표현할까. 거창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국경일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것이 그 첫걸음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작은 표현에도 인색한 이들이 많다.

 교육개발원이 지난 2008년 실시한 시민의식 조사에 따르면 ‘국경일에 국기를 반드시 게양한다’는 비율이 21.1%에 불과했다.

통계는 현실에서도 잘 나타난다. 국경일마다 대단지 아파트에서 태극기를 게양한 집이 열 손가락으로 꼽을 수 있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는 6일은 바람 앞의 등불 같은 처지에 놓인 조국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버렸던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이들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위훈을 기리는 ‘현충일’이다.

지난해 발생한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도발로 안보와 호국정신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진 요즘, 태극기 게양으로 이러한 관심을 행동으로 표현해 보자.

 현충일은 태극기 게양에 조금 더 신경 써야 하는 국경일이다. 애도의 뜻을 표하는 조기(弔旗)를 게양하기 때문이다.

 조기는 깃봉에서 깃면 너비만큼 내려 반기(半旗)로 게양하면 된다. 태극기와 함께 부대나 기관·단체기를 게양한다면 다른 기 역시 내려서 달아야 한다.

다가오는 제65회 현충일, 조기 게양으로 나라사랑을 표현해 보자. 이날 오전 10시 중앙추념식 묵념과 동시에 1분간 울리는 사이렌 신호에 따라 묵념하며 하루를 경건하게 보낸다면 금상첨화.
말과 행동으로 표현하는 나라사랑만이 진정한 애국임을 기억하자. <국방일보 김가영기자>


TAG •

  1. 낙동강 전선 사수하다 한 달도 안돼 산화한 두 명의 호국영웅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 단장 이근원)은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6·25전쟁 당시 낙동강 전선을 사수하다가 입대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전사한 두 명의 호국영웅을 73년 만에 가족의 ...
    Date2023.10.16 Views4889
    Read More
  2. No Image

    낙동강 지구전투 전승행사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다. 반드시 사수하라!” - 24~26일 사흘간 참전용사․시민 2만여 명 초청,「낙동강지구전투 전승행사」개최 - 전쟁의 흐름을 결정적으로 바꾼 최대의 격전 낙동강지구전투 참전용사들의 희생 되...
    Date2014.09.23 Views565
    Read More
  3. No Image

    낙하산 타는 신부님

    낙하산 타는 신부님 - 공사 이건승 신부, 공군 군종장교 최초로 낙하산 기본훈련 이수 - “고된 훈련 같이 해야 생도들과 소통할 수 있어” “사관생도들은 3학년 하계훈련 때 받는 공수 훈련을 가장 힘든 훈련이라고 말...
    Date2013.05.11 Views1456
    Read More
  4. 남북 한강하구 공동 수로조사 완료

    경기도 파주시 만우리에서 인천시 강화군 말도에 이르는 한강하구 수역이 ‘평화와 협력의 길’로 변모한다. 남북은 9일 지금까지 교류와 접촉이 없었던 한강하구의 물길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손을 맞잡았다. 국방부는 ...
    Date2018.12.09 Views489
    Read More
  5. 남북, 시범철수 GP 병력·화기 철수 완료

    국방부는 11일 “지난 10일부로 남북은 시범철수하기로 합의한 비무장지대 내 GP의 모든 화기와 장비, 병력 등을 철수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시범철수 GP 장병들이 철수를 위해 철문을 닫고 있는 모습. 국방부 제공 ...
    Date2018.11.11 Views201
    Read More
  6. 남자보다 강한 그녀들이 온다!

    숙명여대 학군단, 학군교 입영훈련서 통합 1위 차지 / 국방일보 2012.09.06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지난달 펼쳐진 하계입영훈련 중 숙명여대 후보생을 비롯한 여성후보생들이 힘차게 돌격하고 있다. 이헌구 기자 숙명...
    Date2012.09.06 Views3695
    Read More
  7. 낭만과 역사, 그리고 ‘忠’이 숨쉰다 - 육군사관학교 ‘화랑대 8경’

    제2경 제1경 캠퍼스의 낭만이 활짝 피는 계절이 찾아왔다. ‘짝사랑이 이뤄지는 나무’나 ‘A 학점을 받게 해주는 벤치’처럼 학생들만 알고 있는 로맨틱한 명소들은 캠퍼스라면 어디에든 하나씩 있기 마련이다. 우리 군...
    Date2015.04.12 Views2013
    Read More
  8. 내가 기억하는 고 한주호 준위<오영달 UDT/SEAL전우회 자문위원>

    “세계 최강 UDT/SEAL<해군특수전전단>전설은 영원하다” / 국방일보 2012.3.29 내일(30일)은 천안함 46용사를 구조하기 위해 차디찬 백령도 바닷속으로 몸을 던졌던 고(故) 한주호 준위의 순국 2주기를 맞는 날. 고 한...
    Date2012.03.28 Views8622
    Read More
  9. No Image

    내년 국방예산 31조 4031억원

    지난 8일 국회 본회의를 통해 2011년 국방예산은 올해보다 6.2% 증가한 31조 4031억 원으로 확정됐다. 국방예산이 30조 원을 넘은 것도 처음이지만 4∼5%대에 머물던 국방예산이 6%대로 급증한 것은 이번 국방예산의 ...
    Date2010.12.21 Views2951
    Read More
  10. 내년 국방예산 35조4736억 원 요구

    국방부, 올해보다 7.6% 증액 … 봉급 상병기준 26% ↑ 방위력 개선 11조 원·병영문화 선진화 4808억 원 반영 / 국방일보 2012.07.03 2013년도 국방예산 요구안은 선진 병영문화 조성을 위한 4808억 원을 포함, 총 35조4...
    Date2012.07.02 Views2705
    Read More
  11. 내년 국방예산 7% 늘어난 43조1581억

    2018년도 국방예산이 전년 대비 7% 증가한 43조1581억 원으로 확정됐다. 이는 2009년 이후 최고 수준의 증가율이다. 국회는 6일 북 핵·미사일 위협이 고조되는 엄중한 안보 현실을 반영해 내년도 국방예산을 정부안인...
    Date2017.12.06 Views331
    Read More
  12. 내년 국방예산 7.4% 증가…50조 원 첫 돌파

    국방예산 50조 원 시대가 열렸다. 국방부는 29일 “정부는 2020년도 국방예산을 전년보다 7.4% 증가한 50조1527억 원으로 편성, 다음 달 3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회에서 예산안이 삭감 없이 심의를 ...
    Date2019.08.29 Views253
    Read More
  13. No Image

    내년 국방예산 7146억 증액

    2011년도 국방예산안이 30일 당초 정부가 제출한 안보다 7146억 원이 증가한 31조9941억 원으로 책정됐다. 국회 국방위원회는 이날 오전 전체회의를 열어 정부가 제출한 내년도 국방예산안 31조2795억 원에서 7146억 ...
    Date2010.11.30 Views2765
    Read More
  14. 내년 국방예산 8.2% 증액 ‘46조7000억’

    내년도 국방예산이 11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편성된다. 정부는 28일 “2019년 국방예산을 대폭 확대, 8.2% 증액한 46조7000억 원을 정부 안으로 편성, 31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8.2% 증액은 2008년 이...
    Date2018.08.28 Views334
    Read More
  15. 내년 국방예산안 33조1552억원

    전년대비 5.6%↑… 전력운영비 23조 202억 원 편성 전투형 군대 육성·복지환경 개선 … 30일 국회 제출 / 국방일보 2011.09.28 정부는 내년도 국방예산안을 올해보다 5.6% 증가한 33조1552억 원으로 편성해 30일 국회에 ...
    Date2011.09.27 Views199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