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당국자 “양국군 원활한 의사소통에 주안점”

육군17사단과 美2사단의 한미연합과학화훈련 : 29일 장맛비가 쏟아지는 가운데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KCTC)에서 실시된
 한미연합과학화훈련에서 육군17사단 장병과 미2사단 기갑소대 장병들이 모의교전 장비를 착용하고 17사단 대대장 황경호
 중령의 지휘 아래 대항군 진지를 공격하고 있다.                                                                 강원도 홍천=박흥배 기자

 “미 기갑수색소대 1개 팀은 고개를 선점하고 이동작전 간 제반여건을 조성하라.”

 “네, 험비(HMMWV) 차량과 소대원을 파견해 애로지역을 해소하겠습니다.”

 육군17사단 황경호(중령) 대대장의 명령에 따라 미2사단 페이브(소위) 기갑수색소대장이 본대를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해 신속히 목표지점으로 이동했다.

 29일 한국군 대대장의 통제 아래 ‘한미연합과학화전투훈련’이 실시되고 있는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KCTC). 한국군 보병대대에 미 기갑소대를 배속시켜 한국군 지휘관이 처음으로 미군 기갑부대를 지휘하고 있었다.

 유사시 한미 연합작전의 효율성을 높이고 원활한 통신대책 등을 강구하기 위해 실시된 이번 훈련은 27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약 2주간 부대 이동과 방어, 공격 순으로 진행하고 있다. 한국군 900명, 미군 38명 등 총 938명이 참가했다. 장비는 K-1 전차와 K-200·K-242 장갑차, K-1 구난전차 등이 참여했다. 미군은 무인정찰기(UAV)를 비롯해 원거리 표적탐지기(LRAS)와 레이저 표적유도장치(LLDR), 야간 및 열상 감시장비(PVS-14·PAS-13) 등을 동원했다.

 이날 부대의 임무는 새벽 4시부터 10㎞를 행군, 폐교에 집결해 방어전투를 준비하는 것. 미 기갑소대는 부대 특성을 살려 첩보수집과 정찰임무를 수행했다. 미군은 3개 팀으로 나눠 애로지점 선점과 도로정찰대, 첩보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훈련 내내 폭우가 쏟아지는 가운데 미군은 한국군과 동일한 마일즈 장비를 착용하고 대항군과 교전했다. 장병들은 물론 화기 및 장비에 마일즈 장비를 부착한 가운데 지뢰지대 봉착과 적 포탄·화학탄 낙하 등 각종 상황에 대처했다.

 특히 낮 12시 30분쯤 집결지 인근에서 도로정찰대 임무를 부여받은 미 험비 2대와 한국군은 적 포탄 낙하와 대항군의 기급공격을 받는 위기를 맞기도 했다. 

한미 양군 장병들은 험비에 장착된 M2 기관총 등으로 대응사격하는 등 치열한 공방을 벌이며 맡은 임무를 수행했다. 

 한미 연합훈련을 이끈 대대장 황경호 중령은 “KCTC 체계를 적용해 실시한 첫 한미 연합훈련이라는 것 자체에 의미가 있다”며 “미군 소대를 지휘하면서 미군의 감시장비 활용 능력과 양국군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주안점을 뒀다”고 말했다.

 이에 페이브 소대장은 “한국군의 마일즈 장비를 착용한 훈련은 처음”이라며 “훈련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연합작전 수행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훈련부대에 배속된 소대로서 지휘소 내부가 아닌 현장에서 실시한 만큼 실시간 통신대책과 상호 의사소통을 시험해 보는 계기였다”고 말했다.

 이번 훈련은 지난 3월 육군본부와 미8군사령부의 ‘제1차 한미연합훈련 콘퍼런스’에서 논의했던 주요 연습·훈련 중 한미 연합훈련 확대에 따른 것이다. 

특히 훈련에 앞서 사단은 총 3회에 걸친 협조회의와 토의, 작전지역 지형정찰(2회), 대대 전술 훈련에서 통합훈련(1회)을 통해 훈련성과 극대화를 위해 노력했다. 

 한편 이날 존 존슨 미8군사령관과 권태오 육군수도군단장 등 양국군 주요 지휘관과 참모들이 훈련을 참관했다. 존슨 사령관은 대형스크린을 통해 훈련상황을 참관하면서 아군 간의 교전 방지대책과 인근 부대 간의 통신체계, 한미 양국군의 임무 분담 등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다.

 존슨 사령관은 “양국군이 야전에서 몸을 던져 실전적 훈련을 실시한 것 자체가 굉장한 도전”이라며 “이번 훈련을 통해 많은 교훈과 경험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일보 이형복기자>



  1. 해군 특수전여단 냉해 및 고기파극복훈련

    바다의 사나이들이 한겨울 동해바다에 모였습니다.! 바로 해군 특수전 여단(UDT/SEAL) 장병들의 혹한기 훈련이 동해에서 지난 1일부터 실시되었기 때문이죠. 해군 특수전 요원 100여명이 참가한 이번 훈련은 차가운 ...
    Date2010.05.18 Views10258
    Read More
  2. 특수부대 운전병도 특수임무수행자 前 MIU요원 승소

    【서울=뉴시스】박성규 기자 = 수송특기자로 차출돼 운전업무를 했어도 특수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교육을 받았다면 특수임무수행자로 인정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 12부(부장판사 장상균)는 7...
    Date2010.05.17 Views4770
    Read More
  3. KCTC 과학화훈련장을 가다 (2) - 신동아

    실전(實戰)의 무대 ‘육군 과학화 전투훈련장’을 가다 특전사·해병대 깨고 ‘27전 전승’ … ‘대항군’은 눈빛이 달랐다 전투는 밤에 시작된다 경상으로 분류돼 가슴에 붕대를 감는 훈련군 병사. 경상자는 응급조치를 하면...
    Date2010.05.16 Views5746
    Read More
  4. KCTC 과학화훈련장을 가다 (1) 신동아

    적은 지형을 손금 보듯 꿰뚫고 있었다. 반복된 전투에 단련된 병사들은 ‘프로’였다. 야음을 틈탄 포 사격에 많은 병사를 잃은 지휘관은, 적의 취약지에 주공(主攻)을 집중하는 지략으로 판세를 뒤집을 마지막 기회를 ...
    Date2010.05.16 Views5066
    Read More
  5. 배는 브레이크없이 어떻게 멈출까?

    해군 함정 뿐 만 아니라 모든 선박들은 항해 시에 많은 장애물을 만나게 됩니다. 육지 지형에 의해 피해가야 할 경우도 있고, 상선을 피해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때로는 섬이나 암초를 만나기도 하고, 해로 상에 난...
    Date2010.05.16 Views3527
    Read More
  6. 부두 없이 정박하는 군함 LST (상륙함)

    해군에는 부두없이 접안할 수 있는 군함이 있습니다. 바로~ LST 라는 함정인데요. LST는 Landing Ship Tank의 약자로 우리나라에서는 상륙함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습니다. 해병대의 상륙작전에 없어서는 안되는 함정...
    Date2010.05.16 Views5102
    Read More
  7. 국방개혁 2020 다시 길을 묻다 - 동아일보

    軍 첨단화 외치다 안방서 당해… 한반도 안보대계 딜레마 北 현존 위협 재평가를 “장비만 집중…北대응엔 소홀 도발 막을 능력 스스로 줄여” 땜질식 처방 안돼 “주변국 억제전력 확보 필요 北-미래 위협 동시 대비를” ...
    Date2010.05.15 Views4358
    Read More
  8. 독도함의 일몰

    사진 국방부
    Date2010.05.12 Views3611
    Read More
  9. 하늘에 떠있는 꼬끼리 - 기구강하

    하늘에 떠있는 코끼리를 보셨나요? 하늘에 어떻게 코끼리가 떠있냐? 고 반문을 하시는 분들이 있으시겠죠? 제가 말한 코끼리는 올림픽이나 월드컵 등의 큰 행사시에 촬영 등의 목적으로 하늘에 띄우는 하얀색 기구를 ...
    Date2010.05.12 Views511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4 165 166 167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