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공중조기경보통제기 도착

by 배나온슈퍼맨 posted Aug 01,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28253.jpg

한국형 공중조기경보통제기 1호기가 지난달 30일 미국에서 출발, 1일 공군 김해기지에 도착하고 있다. 360도 전방위 감시
가 가능한 MESA 레이더를 갖춘 이 항공기는 북한 지역의 공중과 해상에 떠 있는 모든 물체를 완벽하게 탐지할 수 있다.
연합뉴스

 

`하늘의 지휘소' 한반도 전역 공중·해상 감시 운용시범비행·검사 거쳐 9월 초 공군에 인도 / 2011.08.02 국방일보 김병륜기자

 

하늘의 지휘소로 불리는 한국형 공중조기경보통제기(AEW&C : Airborne Early Warning & Control) E-737 1호기가 1일 공군 김해기지에 도착, 전력화에 한발짝 더 다가섰다.

 방위사업청은 이날 “보잉사 시애틀 공장에서 제작한 1호기가 공군 시험평가팀의 현지 시험검사를 완료하고 지난 달 30일 출발해 1일 오후 공군 김해 기지에 도착했다”며 “앞으로 한 달여 동안 운용시범비행과 최종 수락 검사들을 거쳐 9월 초 공군에 인도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리 군은 자주적 조기경보 통제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 2006년 11월 E-737 도입을 결정, 오는 2012년까지 4대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 왔다. E-737 2호기부터 4호기까지는 현재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최신형 다기능 전자식 위상배열 레이더를 장착하는 등 체계조립 중에 있으며 오는 2012년에 공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조기경보통제기는 필요할 경우 북한 전역을 감시할 수 있다”며 “실시간 감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상 방공관제 기능을 보완해 공중 작전 능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관계관은 “산악지대로 침투하는 AN-2 등 북한의 저고도 비행기도 모두 잡아낼 수 있어 전방위 영공감시 체제 확보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형 E-737은 120인승 보잉 737 여객기를 개조해 동체 위에 다목적 전자주사식 레이더(MESA), 내부에는 각종 레이더 조작 콘솔을 설치한 항공기로 공중과 해상표적에 대한 실시간 탐지ㆍ분석ㆍ식별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형 E-737이 전력화되면 지속적으로 작전 지역을 탐색하면서 아군 전투기·함정 등에 적에 대한 중요 정보를 제공하고 지휘통제를 지원하게 된다.

 한국형 E-737은 과거의 기계식 레이더를 탐색한 조기경보통제기와 달리 전자주사식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어 전형적인 360도 전방위 감시뿐만 아니라 특정 방향 집중 탐색이 가능해 전력화되면 한반도 전역의 공중과 해상 표적을 감시할 수 있는 우리 군의 능력이 획기적으로 높아진다. 이 같은 능력을 기반으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이후 우리 군의 독자적인 정보감시 능력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는 핵심 무기체계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 6월 30일 1호기의 초도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친 한국형 E-737의 항속거리는 약 7000㎞로 최대 8~9시간 초계비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탑재된 MESA 레이더는 최대 1000여 개 비행체에 대해 동시 탐지가 가능하고 공군 방공관제부대의 전술데이터링크 체계와 연동할 수 있는 기능도 갖고 있다.

 한편 공군이 국민 공모로 정한 한국형 E-737의 별칭인 피스아이(Peace Eye)는 ‘한반도의 평화를 수호하는 감시자’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피스아이는 마지막 분단국인 한반도에서 공중조기경보통제기가 수행하는 평화의 임무를 대내외에 강조하는 의미도 갖고 있다. 



Articles

137 138 139 140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