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기획 한국군 무기 49] 해병대와 함께 간다! 고준봉급 상륙함


한 때 해군의 구호는 ‘바다로, 세계로, 미래로’였다.

하지만 해군 소속의 어떤 군함은 여기에 한마디를 더 붙여 외치곤 했다.

‘바다로, 세계로, 미래로, 해병대 데리고’

해군에서 전해지는 우스갯 소리긴 하지만 여기에는 이 군함이 존재하는 이유가 그대로 드러난다. 이 군함은 전시에 적진의 후방에 해병대를 투입하기 위한 고준봉급 전차상륙함(LST)이기 때문이다.

고준봉급 상륙함이 상륙훈련을 할 때는 해병대와 함께 바다 위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배 안에서 병사들 사이에 묘한 경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해군과 해병대의 인연(?)때문이다.

해병대는 창설당시엔 육·해·공군 같이 독립된 군 조직이었지만 1973년에 해군에 편입되면서 해병대 사령부가 해체됐었다. 1987년에 해병대 사령부가 다시 창설되긴 했으나 편제상 여전히 해군 소속으로 남아있어 미묘한 감정의 차이가 존재한다.


◆ 최초의 국산 상륙함, 고준봉급 LST

고준봉급 상륙함은 우리나라가 최초로 건조한 대형 상륙함이다. 이전에는 미 해군이 사용하다 넘겨준 ‘운봉’(LST-671)급 상륙함이 주력으로 쓰였다.

운봉급 상륙함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쓰기 위해 1944년에 대량으로 건조했던 상륙함으로 우리나라는 모두 8척을 도입해 이 중 4척을 2000년대 중반까지 사용했다.

해군은 코리아 타코마(現 한진중공업)를 통해 1993년 6월 1번함인 ‘고준봉함’(LST-681)을 취역시키는 것을 시작으로 ‘비로봉함’(LST-682), ‘향로봉함’(LST-683), ‘성인봉함’(LST-685) 등 모두 4척을 건조했다. 코리아 타코마는 베네수엘라,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 비슷한 상륙함을 수출하기도 했다.

고준봉급 상륙함은 이전의 운봉급 상륙함과 달리 중형 헬기 1대가 뜨고 내릴 수 있는 비행갑판을 갖추고 있어 입체적인 작전 지원이 가능하며, 함수 램프 외에 함미에도 상륙돌격장갑차가 발진할 수 있는 램프가 있어 신속하게 병력을 투입할 수 있다.

또 소형 상륙단정(LCVP)도 4척이나 탑재하고 있어 직접 해안에 접안하지 않더라도 병력을 투입할 수도 있다.

수송능력은 약 1개 중대규모인 240여 명의 병력과 12대의 K-1 전차 혹은 14대의 KAAV-7A1 상륙돌격장갑차를 실어나를 수 있으며 함수에 장착된 노봉 40㎜쌍열포로 화력지원까지 할 수 있다.


◆ 해안까지 직접 실어나르는 LST

LST는 ‘Landing Ship Tank’의 약자로 전차상륙함 정도로 해석된다.

LST가 전차를 해안까지 실어나르는 방법은 간단하다.

병력과 장비를 실은 LST가 해안의 모래사장을 타고 올라간다. 이윽고 배가 멈추고 함수의 램프가 열리면 안에서 전투준비를 마치고 대기 중인 병사들과 전차가 쏟아져 나오게 된다.

LST의 장점은 많은 병력과 장비를 한꺼번에 실어나를 수 있다는 점이다.

해변에 직접 물자를 내려놓기 때문에 접안시설 같은 항만이 필요 없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 이런 이유로 평시에는 대규모 접안시설이 없는 작은 섬이나 항구를 다니면서 물자와 인원 수송을 하게 된다.

실제로 고준봉급 상륙함은 항만시설이 없는 동티모르에 평화유지군을 파병할 때도 동원돼 능력을 인정받기도 했다.

하지만 전시에는 단점이 극대화된다.

LST는 내부에 많은 물자를 탑재하기 위해 선체의 형태가 전투함처럼 뾰족하지 않고 상선같이 움푹 파인 형태다. 속도와 기동성이 전투함에 비해 떨어진다는 뜻이다. 또 길이가 100m가 넘을 만큼 크기 때문에 방어하는 쪽에서 LST는 좋은 표적이 된다.

특히 해안포가 전부였던 2차 세계대전 때와 달리 지금은 정확하게 유도되는 대함 미사일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면 해안까지 접근해야 병력을 상륙시킬 수 있는 LST는 생존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이런 이유로 미 해군은 더 이상 LST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상륙함은 먼바다에 있고 헬기나 상륙돌격장갑차, 공기부양식 고속상륙정(LCAC)을 이용해 병력과 물자를 실어나르는 ‘초수평선 상륙작전’(Over The Horizon Amphibious Assault) 개념을 발전시켜왔다.

◆ 해군의 차기 상륙함

우리나라 해군 역시 현대전에서 LST의 생존성을 보장할 수 없음을 깨닫고 ‘차기상륙함’(LPX) 계획에 따라 2005년 ‘독도함’(LPH-6111)을 건조했다.

애초 독도함은 2척 이상 건조될 계획이었으나 예산상의 이유로 취소되고 그 대신 ‘차기 전차상륙함’(LST-II)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계획에 따르면 해군은 2014~17년 사이에 4척의 4500t급 상륙함을 건조하게 된다. 사업의 명칭은 LST지만 공개된 자료상의 차기 전차상륙함은 ‘웰도크’(Well Dock)를 갖춘 ‘LPD’(Landing Platform Dock)의 형태를 띠고 있다.

웰도크는 물이 차오르는 갑판으로, 이곳에서 소형 상륙정을 발진시킬 수 있다. 상륙정을 발진시킬 땐 배를 살짝 가라앉혀 배 안에 물을 채우는 원리다.

상륙방식도 해안에 직접 접안하는 방식에서 탑재된 전차상륙단정(LCM)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변경된다.


그러나 큰 비용을 들여서 개발한 공기부양식 고속상륙정인 솔개II(LSF-2)를 탑재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많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LCM의 최고 속도는 20노트(약 37㎞/h) 안팎으로 50노트 이상으로 알려진 솔개II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생존성과 수송능력이 크게 뒤쳐지기 때문이다.


◆ 고준봉급 전차상륙함 제원

만재배수량 : 약 4300t
길이 : 112.5m
폭 : 15.3m
레이더 : 항법레이더(SPS-64) 등
전자전 장비 : 다게 채프/플레어 발사기, ESM
무장 : 40㎜ 노봉 기관포 1문, 20㎜ 씨-발칸 2문
엔진 : 디젤엔진 2기(CODAD)
수송능력 : 병력 240 여명, 전차 12대 혹은 상륙돌격장갑차 14대
속도 : 최대 16노트
항속거리 : 약 8300㎞
승조원 : 약 100여 명

서울신문 M&M 최영진 군사전문기자 zerojin2@seoul.co.kr


  1. 전역 앞둔 육군 병장, 봉급 전액 기부

    【원주=뉴시스】신형근 기자 = 강원 인제군 을지부대 헌병대 주세종 병장(22)이 전역을 앞두고 자신이 모은 봉급을 지역주민에게 전액 기부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화제가 되고 있다. 9월7일 전역을 앞둔 주 병장은 ...
    Date2010.08.21 Views5756
    Read More
  2. No Image

    해군제주방어사령관·제주한라병원장 진료 협약

    해군제주방어사령관·제주한라병원장 진료 협약 황우현(해병 준장) 해군제주방어사령관과 김성수 제주한라병원장은 지난 6일 해군 해병대 장병을 비롯한 군인가족들에게 보다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진료...
    Date2010.08.19 Views3744
    Read More
  3. No Image

    흑표 전차, 변속기에 복합적 결함

    국내 기술로 개발된 우리 군의 차세대 주력 전차인 K-2 흑표가 지난해 엔진 결함에 이어 이번엔 변속장치에도 심각한 고장이 생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YTN이 입수한 방위사업청 자료를 보면 흑표 전차는 올해 초부...
    Date2010.08.18 Views3387
    Read More
  4. 한민구 합참의장 해병대6여단 방문

    "뼈를 깎는 심정으로 군대를 육성하겠다"는 각오와 함께 의장에 취임한 한민구 합참의장이 주요 부대를 연이어 방문, 현장에서 대비태세를 확인하고 있다. 특히 한 의장은 지난달 29일 백령도를 비롯한 서북도서와 북...
    Date2010.08.17 Views4756
    Read More
  5. 국가안보총괄회의, '능동적 억제' 개념 보고방침

    "北 공격 징후때 선제타격 작계에 반영 추진" 육.해.공군 총사령관, 각 군 작전사 지휘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북한의 핵과 미사일 발사 및 전쟁 징후가 포착되면 사전에 軍 기지를 비롯한 전쟁지휘부 시설을...
    Date2010.08.15 Views2326
    Read More
  6. 군복무 18개월로 단축반대 이상우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 의장

    이상우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 의장이 병 복무기간을 18개월로 단축하는 문제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 의장은 13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18개월 병 복무로는 군대가 필요로 하는 적정한 병력을 확보하지...
    Date2010.08.15 Views2913
    Read More
  7.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 결론내용

    이상우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 의장 겸 국방선진화추진위원장이 군 장성을 100명가량 감축하는 방안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13일 밝혔다. 천안함 사건에 따라 지난 5월 민간인 5명과 예비역 장성 10명으로 ...
    Date2010.08.14 Views2305
    Read More
  8. No Image

    해군첩보부대 UDU전우회 봉사를 위한 임무를 수행하라!

    Date2010.08.13 Views6161
    Read More
  9. 해군 주요지휘관회의

    Date2010.08.13 Views4012
    Read More
  10. 헌여름 찜통무더위를 시원한 수돗물로

    2010년 8월2일자 국방일보 <사진 국방일보 박흥배기자>
    Date2010.08.10 Views5527
    Read More
  11. 육군 항작사소속 유니콘대대 CH-47의 야간저고도 수상침투비행

    Date2010.08.09 Views3547
    Read More
  12. 사랑해요 부모님

    훈련병들에게 가장 보고싶고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면 바로 부모님! 공군교육사령부 훈련병1,500명이 설을 맞아 연병장에 열을 맞춰 사랑해요 부모님이라고 쓴후 세배를 하고 있다. <자료출처 : 2007년 국방화보>
    Date2010.08.09 Views3311
    Read More
  13. 전술기동중인 공군공정통제사(CCT)대원들

    Date2010.08.09 Views5267
    Read More
  14. 육군 전진부대 K1전차의 도하와 주포사격

    <자료출처 : 국방화보>
    Date2010.08.09 Views4212
    Read More
  15. 육군15사단 비무장지대내 광심리계곡

    사진출처: 2005 국방화보
    Date2010.08.09 Views69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