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도발은 곧 죽음’ …도발땐 현장에서 작전 종결 대비태세 보완 철저히 응징할 수 있는 역량 강화   / 국방일보 2012.03.26

 

38715.jpg

해군2함대 헌병대대 장병들이 적이 도발하면 백 배, 천 배로 응징하겠다는 결의문을 낭독하며 전투의지를 다지고 있다.
정의훈 기자

 

 해군 함수(뱃머리)의 방향이 달라졌다. 함정이 기지로 돌아와 계류할 때, 종전에는 함수가 육상으로 향했지만 현재는 부두 입구를 향하고 있다. 해군은 이를 ‘돌격계류’라고 부른다. 유사시 긴급출항에 대비한 방식이다. 후진 및 선회가 필요 없기 때문에 홋줄만 걷으면 곧바로 출항, 작전 반응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함정을 돌리는 단 몇 분 몇 초까지 줄여 전장으로 내달리려는 자세와 노력, 이것만으로도 천안함 피격사건 이후 오늘 해군의 항재전장, 전투의지를 단적으로 엿볼 수 있다.

▶‘돌격계류’… 즉각 전장으로 

 해군은 2012년 부대훈련 목표를 ‘지금 당장 싸워서 승리할 수 있는 전쟁수행체계 확립의 해’로 선정, 적이 도발하면 현장에서 작전을 종결하는 즉각대응태세 확립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변화·혁신을 강도 높게 추진,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도발을 통해 드러난 대비태세의 미비점을 집중 보완·발전시켰다.

 해군은 올해 ‘불시(不時) 해상기동훈련’과 ‘불시 대잠수함전훈련’을 신설, 북한의 기습도발에 대비하고 유사시 철저히 응징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불시 해상기동훈련은 기존의 전대급 해상기동훈련에 전대급 세력을 추가해 전단급 기동훈련을 전개하는 것이다. 적의 위협 및 활동 양상 등을 고려한 훈련은 해군작전사령관과 각 함대사령관이 집행하며, 적 도발상황에 부합한 대비태세를 점검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훈련이 발령되면 전투전대는 즉각 출동해 북방한계선(NLL) 국지도발 대응훈련·사격훈련·전술기동 등 종합 해상훈련을 실시, 상시 전투준비태세를 유지토록 했다.

 대잠훈련은 더 강하고, 더 실전적으로 펼쳐진다. 아군 잠수함이 적 잠수함으로 묘사된 불시 대잠수함전 훈련은 해상에서 경비작전을 수행하는 함정을 대상으로 경고·시나리오 없는 대잠전을 하달, 위기대응 능력을 끌어올리는 데 역점을 뒀다.

 미 해군과의 연합 대잠전 훈련을 정례화하고 대잠훈련 참가 전력을 연안경비정(YUB)·고속단정(RIB)까지 확대한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더불어 해상 및 대잠 자유공방전 훈련을 주·야간 구분 없는 연속 훈련으로 실시하며, 작계시행 분야는 필수 종목으로 채택해 반드시 진행토록 했다.

 이와 함께 해상기동훈련에 육·공군 및 해양경찰 전력이 참가하는 대규모 합동훈련을 확대해 합동성을 배양하고 있으며, 연합전력과의 특수작전훈련·상륙훈련 등 국지도발 및 전면전 대응훈련을 강화했다.

 장비 분야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전 전투함정의 음탐기 탐지센서 노후부품 교체를 완료, 정격 성능을 유지하고 있다.

또 호위함(FF)·초계함(PCC)에 어뢰음향대항체계(TACM)를 장착해 어뢰 회피 능력과 생존성을 크게 향상시겼다.

 전투 승리를 위한 야전 조직도 정비했다. 함정 등 전투부대의 충원율을 100% 유지 중이며, 함대별 계획참모실을 신설하고 작전참모실 편성을 보강했다.

▶‘싸우면 박살낸다’…대응태세 완벽

조국의 동·서·남해를 수호하는 각 함대는 실전적 훈련으로 전투형 군대를 완성해 나가고 있다.

1함대는 ‘필승의 신념으로, 일전을 승리로’라는 기치 아래 ‘전투 24시’를 도입했다. 이 훈련은 출동 함정과 각급 제대를 대상으로 대잠·대함·대공 및 복합전 등의 상황을 쉴 틈 없이 부여해 전투수행 절차를 반복·숙달하는 신개념의 교육훈련체계다. 훈련은 식사·취침 등 별도의 휴식시간 없이 24시간 동안 진행하며 50여 명의 관찰관이 동승, 함정 전투 능력과 위기상황 대처 능력을 철저히 검증한다. 장병들은 훈련을 통해 극한의 전투상황을 극복하고 팀워크를 발전시키고 있다.

 1함대는 또 위기발생 시 지휘관·참모들이 신속히 모여 상황을 조치하는 ‘CR5’(Crisis Reaction5) 훈련도 시행 중이다. 지휘통신훈련의 일종인 CR5는 5시간 동안 지속되며, 실제 발생 가능한 사례를 부여한 뒤 불시 대응태세를 점검하는 훈련이다.

 2함대는 재도발은 곧 죽음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전투의지를 다져 왔다. 함대 전 장병은 악수나 경례 때 “싸우면 박살 내겠습니다”라는 구호를 외치고, “우리의 바다를 넘보는 자 그 누구도 용서치 않는다” “적이 도발하면 백 배, 천 배로 처절하게 응징한다”는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

 함대는 정신대비태세뿐만 아니라 ‘적은 반드시 도발한다’는 전제 아래 최고도의 전투태세 완비에도 정성을 쏟고 있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 적 함정을 자주 접하는 특성상 적 함정 식별대회를 개최하고, 전투기량 경연대회를 수시로 열어 전투 능력을 제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적 도발 시 유도탄은 1분 내, 함포는 15초 내에 발사할 수 있는 즉각 대응태세를 완벽히 갖췄다.

 3함대 역시 전비태세 완비를 위해 전 장병이 똘똘 뭉쳤다. 함대는 지난해부터 시험 가동 중인 종합전투훈련(ICT : Integrated Combat Training)을 보완·발전시켰다. 이 훈련은 함정에 요구되는 훈련·평가·검열들을 종합, 중복된 행정소요를 간소화 또는 통·폐합해 오로지 전투임무에만 매진토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한반도 해역의 47%를 책임지는 함대는 협동·합동작전 능력 배양에도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올해 들어 해안침투 대비 공·지·해 합동훈련을 7회 실시했으며 해군-해경 합동훈련, 통합 항만방호훈련 등을 집중 전개해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했다.

 해군 관계관은 “(해군은) 지난 2년 동안 뼈를 깎는 노력으로 의식·조직문화·제도·무기체계 등 전 분야를 전투임무 중심으로 개선했다”며 “이를 통해 적의 도발을 단호하고, 처절하게 응징할 수 있는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고 말했다. <윤병노기자>


TAG •

  1.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서북도서 장병 격려

    이종호(가운데) 해군참모총장이 19일 서북도서에 있는 해군 유도탄 기지를 방문해 군사대비태세를 점검한 뒤 결전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사진 해군 제공 이종호 해군참모총장은 19일 백령도·소청도 등 서북도서와 해...
    Date2023.01.19 Views7073
    Read More
  2. 해군 최정예 UDT/SEAL 대원 59명 탄생, 제68기 2차 특수전 장교·초급반 수료

    해군특수전전단은 30일 부대 한주호관에서 제68기 2차 특수전 장교·초급반 수료식을 거행했다. ‘최정예 특전요원 양성’을 목표로 하는 특수전 장교·초급반은 선견부대 특수작전·전천후 특수작전·폭발물처리작전·해상 ...
    Date2023.01.01 Views4637
    Read More
  3. 해군·해병대 주임원사·부사관 역할 확대 방안 모색

    22일 계룡대 해군본부 통해실에서 열린 ‘해군·해병대 장성급 부대 주임원사 소통 회의’에서 이종호(앞줄 가운데) 해군참모총장이 해군·해병대 주임원사들과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 해군 제공 해군은 22일 계룡대...
    Date2022.12.22 Views4645
    Read More
  4. 2022년 해군 탑건(Top-Gun)함에 ‘강원함’

    2022년 해군 탑건(Top-Gun)함에 ‘강원함’ 선발 영예 해군 1함대사령부 호위함 강원함(FFG, 2500톤급)이 2022년 ‘포술 최우수 전투함의 영예를 차지했습니다! 2016년 취역한 강원함은 치열한 경쟁을 거쳐 올해 처음 탑...
    Date2022.12.16 Views5706
    Read More
  5. 한미, 해상·도서지역 환자 의무지원 위해 뭉쳤다

    해병대 연평부대 응급구호반 장병들이 16일 진행된 한미연합 의무지원 훈련에서 중증 외상환자를 UH-60 해상기동헬기로 옮기고 있다. 사진 제공=이민욱 하사 해군해양의료원 함대전개외과팀이 16일 진행된 한미연합 ...
    Date2022.11.16 Views3472
    Read More
  6. 해군·해병대 전투발전 세미나’를 개최

    ▲ 3일 해병대사령부 상승관에서 열린 제13회 해군·해병대 전투발전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촤령을 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 해병대 제공 해군과 해병대는 3일 해병대사령부 상승관에서 상호 전투발전 공감대 ...
    Date2022.11.04 Views4624
    Read More
  7. 해군·해병대 공보정훈병과 전문성 강화

    △ 해군·해병대 공보정훈병과 간부·군무원들이 지난 28일 서울 해군호텔에서 열린 2022 공보정훈병과 세미나를 마치고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 해군 해군은 지난 28일 서울 영등포구 해군호텔에서 해군·해병대 공...
    Date2022.10.30 Views5853
    Read More
  8. 2022 호국합동상륙훈련

    10월 17일(월)~28일(금) 경북 포항 일대에서 호국합동상륙훈련 실시 상륙돌격장갑차 40여 대, 함정 10여 척, 항공기 50여 대 등 다양한 합동자산 운용 상륙작전 수행절차 및 상륙군 투사능력 숙달 등 한국군 단독 합...
    Date2022.10.27 Views3968
    Read More
  9. 해군특수전전단 해난구조전대, 한미 연합 종합구조잠수훈련

    한미연합 종합구조잠수훈련에 참가한 심해잠수사들이 수중 훈련 중 태극기와 성조기를 펼쳐보이고 있다. 부대 제공 [국방일보 2022.10.19 인터넷] 해군특수전전단 해난구조전대(SSU)가 미 해군과 강도 높은 훈련으로 ...
    Date2022.10.19 Views3432
    Read More
  10. [국방일보 국군의 날 특집 해군·해병대] ‘인공위성 통한 원격제어’ 수면 위로…

    해군, 2028년까지 3단계 나눠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전환 계획 무인 수상정·잠수정·항공기 도입 추진…최근 실물 개발·시연도 미래의 해 전장 ‘지능형 입체고속 신속결정작전’으로 함축 상륙작전도 장애물개척로봇·공...
    Date2022.09.30 Views3694
    Read More
  11. 해군·해병대 교류 활성화 추진평가회의 개최

    27일 해군본부 통해실에서 강정호(준장) 정책실장 주관으로 열린 해군·해병대 교류 활성화 추진평가회의에서 참석자들이 화상회의체계로 올해 추진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 해군 제공 해군과 해병대가 ‘한뿌리 공...
    Date2022.01.27 Views67773
    Read More
  12. 해군 해난구조전대 혹한기 훈련 현장에 가다

    90명의 바다 사나이들 맨몸으로 달리고 겨울 바다 가르며 혹한의 한계 넘는다 심해잠수사들 3일간 수중탐색 등 훈련 첫 ‘철인중대’ 경기…5개 중대원 경쟁 체력·정신력 배양 ‘구조작전태세’ 완비 해군특수전전단 해난...
    Date2022.01.22 Views108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