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ㆍ25전쟁 62주년을 사흘 앞둔 지난 22일 우리 군은 역대 최대 규모의 한미 연합 통합화력전투훈련을 통해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단호하게 대응할 수 있는 막강 위력을 과시했다. 승진훈련장을 뜨겁게 달구며 ‘대한민국 수호자’로서의 위용을 과시한 우리 군의 훈련 모습을 기사와 사진을 통해 살펴본다.

편집자K1A1·전투기 등 역대 최대 규모 적 압도하는 화력ㆍ기동력 선보여 강력 응징·굳건한 한미혈맹 과시

‘하늘의 지휘소, 피스 아이’6ㆍ25전쟁 62주년을 맞아 우리 군과 미군이 역대 최대 규모의 연합 통합화력전투훈련을 경
기도 포천 승진훈련장에서 실전을 방불케 하는 가운데 펼쳤다. 일반에 처음 공개된 공중조기경보통제기 ‘피스 아이’가 미
사일 기만체를 발사하고 있다.

김관진 국방부장관이 지난 22일 경기도 포천 승진훈련장에서 김황식 국무총리에게 전시 장비를 소개하고 있다.

 ‘타타탕,탕탕탕.’

 지난 22일 열린 한미 연합 통합화력전투훈련은 그동안 여느 화력전투훈련과 다르게 기관총 사격음으로 시작했다. 북한이 기관총으로 아군 초소를 향해 도발하는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적 총격도발로 태극기가 표시된 아군 모의 초소 건물에서 연기가 피어오르자 강력하고도 단호한 아군의 대응이 시작됐다.
 
▶적 도발 대비 능력 보여준 1부 훈련

 “두두두둥” 하는 굉음과 함께 자주대공포 비호에서 붉은색 예광탄이 언덕을 가로질러 가상 표적을 때리는가 싶더니 K4 유탄기관총, K6 중기관총의 굉음도 합세했다. 아군의 강력한 대응으로 가상 적 초소와 지원시설을 완전히 파괴하기까지는 채 1분도 걸리지 않았다.

 뒤이어 아군 지역으로 표시된 곳에서 불기둥이 솟아올랐다. 적이 포격도발을 일으킨 상황을 가상 묘사한 장면이었다. 수 초가 지나지 않아 수㎞ 떨어진 승진훈련장 9번 표적에 엄청난 화염과 검은 연기가 치솟았다. 적 포격도발 원점에 대한 아군의 대응사격이 가해진 것. 화염과 연기가 보인 후 수초가 지나자 들려온 “콰콰쾅”하며 지축을 울리는 굉음소리는 도발을 자행한 적들의 최후를 보여주는 듯했다.

 다른 곳에서 추가 도발 징후가 식별되자 이번에는 공군 F-16 전투기들이 나섰다. 훈련장 오른쪽 상공으로 진입한 전투기들이 표적 상공에 일반폭탄 18발을 쏟아부어 불바다를 만들었다. 땅이 울리고 벼락치는 듯한 굉음이 들리더니 가상 적 표적 일대가 산산조각이 났다. 연이은 포격도발로 적 지원세력까지 아군의 막강한 화력 앞에 차례로 무릎을 꿇었다.

 이처럼 평시 적 도발 대비 대응 과정을 보여준 이날 훈련 1부는 단순한 화력시범식 훈련이 아니라 북한의 도발 상황을 가상으로 부여한 후 그에 대한 우리 군의 단호한 대응 절차를 보여주는 시나리오식으로 진행된 것이 특징이다.
 
▶막강 연합 위력 선보인 2부 훈련

 한미군과 육ㆍ공군이 함께 참가하는 연합 합동전장운용훈련으로 진행된 2부에서는 더욱 막강한 한미 연합군의 위력을 선보였다. 6ㆍ25전쟁 같은 전면 남침을 가정한 2부 훈련에서는 K1A1 전차·자주대공포 비호·K9 자주포·K130 다연장로켓 등 육군 장비와 F-4E·F-15K·KF-16·TA-50 등 공군 전투기가 총출동했다. 여기에 미 공군의 A-10 공격기, 미 육군의 아파치 공격헬기까지 가세했다.

 아군은 맹렬한 공격준비 사격으로 적의 기세를 꺾은 후 K1A1 전차, 500MD 헬기, 미군 브래들리 장갑차로 적 진지를 돌파했다. 적이 교량을 폭파하고 지뢰로 장애물을 설치했지만 그 어느 곳도 장애가 될 수 없었다.

 아군은 교량전차(AVLB)와 미클릭 통로개척장비로 적의 방해를 극복한 뒤 한미군이 함께 압도적인 화력과 막강한 기동력으로 적 방어지대를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강력한 응징태세와 굳건한 한미동맹을 아울러 과시한 장면이었다. 훈련의 대미를 장식한 주인공은 공군 C-130 수송기를 이용한 특전사 요원들의 강하와 군수물자의 공중보급이었다.  

▶‘전투형 강군 육성’ 성과 보여줘

 국방부는 이날 훈련이 마무리된 후 “우리 군은 이번 훈련을 통해 적 도발에 대한 강력한 응징태세와 한미동맹을 과시함으로써 앞으로 전투형 강군 육성을 위해 더욱더 노력하겠다는 결의를 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황식 국무총리가 주관하고, 김관진 국방부장관을 비롯해 각계각층 3000여 명이 참관한 이날 훈련에는 육군5군단 예하 1기갑여단, 5포병여단 등 14개 부대와 항공작전사령부 예하 6개 부대, 공군 16개 편대, 미군 아파치 1개 부대 등 총 38개 부대 2000여 명의 병력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자랑했다.

 공군 E-737 공중조기경보통제기와 TA-50 경공격기가 훈련에 최초로 참가하는 등 눈길을 끄는 요소도 많았다. 부대행사로 열린 장비전시회에서도 그동안 언론에 노출되지 않은 대포병레이더 아서-K를 전시하는 등 그 어느 때보다 다채롭게 진행됐다.

 사전에 승진훈련장을 찾아 우리 군의 막강한 위력을 직접 참관한 인원까지 포함해 전체 참관인원도 1만9000명에 달할 정도로 국민들의 관심도 높았다.

국방부는 “이번 훈련은 적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우리 군이 전투형 강군 육성에 매진해 온 성과를 국민들에게 보여드리는 기회가 됐다”며 “우리 군의 확고한 군사대비태세와 전투의지를 시현한 자리”라고 이번 훈련 결과를 총평했다.

명중…목표물 초토화승진훈련장에서 거행된 한미연합 통합화력전투훈련에서 한미 지상및 공중 전력이 전방 표적물을
명중시키고 있다.

미사일 발사하는 전투기 전투기가 목표물을 향해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로켓 사격하는 코브라 헬기 육군의 코브라 헬기가 목표물에 로켓 사격을 집중하고 있다.

정조준 발사…K1A1 전차 진격 앞으로 북한의 전면 남침을 가상해 한미 연합전력이 이를 격퇴하는 시나리오로 진행된
 통합화력전투훈련에서 K1A1 전차가 포를 발사하며 진격하고 있다.

와~ 대단하다 한미 연합 통합화력전투훈련 참관자들이 각종 화력 시범을 보고 있다.

다연장 로켓포의 위력 다연장 로켓포의 집중 포격을 받은 목표지점.

은밀하게 적진 침투 CN-235 수송기에서 특전사 대원들이 단체 강하를 하고 있다.


  1. 육군, 2013년 육군 히트 정책 경진대회 시상

    권오성(오른쪽) 육군참모총장이 ‘2013년 육군 히트(Hit)정책경진대회’에서 금상을 수상한 정훈공보실 관계자에게 상장을 전달한 뒤 기념촬영 하고 있다. 육군제공 육군은 지난 2일 새해 첫 국기게양식에서 육군본부 ...
    Date2014.01.06 Views2469
    Read More
  2. 2014년 해군, 이렇게 달라진다 - 6개 분야 추진 업무

    해군은 2014년 슬로건을 ‘창조적 도전정신’으로 정하고 전투형 군대 확립을 위한 34개 역점 추진업무를 선정했다. 싸워 이기는 필승해군, 변화·혁신을 통한 정예해군 건설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역점 추진업무를 소개...
    Date2014.01.06 Views1709
    Read More
  3. 권오성 육참총장, 새해 첫 공식 일정 육군훈련소 현장지도

    “기본이 바로 선 강하고 좋은 육군 조성” 2일 갑오년 새해 첫 공식 일정으로 충남 논산 육군훈련소를 방문한 권오성 육군참모총장이 훈련병·교관·조교들과 점심을 함께 하며 대화하고 있다. 육군 제공 권오성 육군참...
    Date2014.01.04 Views3076
    Read More
  4. 새해 첫 육·해·공군과 해병대, 전면전 대비 훈련 - 적 도발하면 즉각 응징한다

    ‘신년 적 전면전 격멸훈련’:육군1포병여단 강호포병대대가 2일 경기도 파주 나루터 진지에서 새해 첫 K-9 자주포 실사격 훈련을 하고 있다. 이날 육군은 신년을 맞아 전면전에 대비한 격멸훈련을 전후방 각급 부대에...
    Date2014.01.04 Views1354
    Read More
  5. 갑오년 신년 첫 한미 연합 적 전면전 격멸훈련

    새해를 맞은 육군55사단은 2일 경기 동남부지역 일대에서 한미연합 적 전면전 격멸훈련을 강도높게 펼쳤다. 한미 장병들이 탐색격멸훈련 중 전방지역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방일보 김태형 기자
    Date2014.01.04 Views1306
    Read More
  6. 2014년 올해 국방 예산 35조7057억 원

    2014년 국방예산이 지난해보다 4.0% 증가한 35조7057억 원으로 확정됐다. 국회는 새해 첫날인 1일 국방예산안 정부안 35조8001억 원 중 전력운영비에서 940억 원을 늘리고, 방위력개선비에서 1885억 원을 줄여 그같이...
    Date2014.01.01 Views1475
    Read More
  7. 새해 첫 출격

    갑오년 새해 첫 출격임무를 부여받은 F-15K 전투기 편대가 1일 오전 구름 위로 솟아오르는 새해 첫 일출을배경으로 열추적 미사일 회피 무장인 플레어를 발사하며 기동하고 있다. 공군제공
    Date2014.01.01 Views889
    Read More
  8. 2014 갑오년…우주 질서처럼 굳건하게 조국수호

    밤 하늘 별을 바라본 적 있나요? 무질서하게 움직이는 것 같지만 별들에게도 엄격한 질서가 존재합니다. 북극성을 중심으로 무수한 별들이 커다란 동심원을 그리며 하나가 됩니다. 우주의 경이로운 모습을 보며 2014...
    Date2014.01.01 Views1030
    Read More
  9. 6.25. 호국용상 63년만에 신원확인 통보(국방부)

    故김세한 순경,63년만의 귀향 - 순수 DNA감식으로 신원확인된 10번째 사례 - ◦6·25전쟁 당시, 전사한 호국용사의 유해가 63년 만에 조국과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번에 신원이 확인된 유해는 지난 2012년...
    Date2013.12.29 Views1109
    Read More
  10. 2014년 달라지는 국방업무(국방부)

    2014년부터 달라지는 국방업무 ❍ 국방부는 국민들이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튼튼한 안보를 위해 장병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국민들의 편익을 증진하는 등 국방 업무관련 정책과 제도를 끊임없이 개선하...
    Date2013.12.29 Views1585
    Read More
  11. 국방부, 내년 장병 복지정책 공개 병사봉급인상, 혹한기 훈련 때 전원 핫팩 지급

    내년에는 병 봉급이 올해 대비 15% 인상돼 전체 병사 봉급 10만 원 이상 시대가 시작된다. 또 혹한기 훈련 시 핫팩 지원 대상을 훈련참가 전 장병으로 확대한다. 국방부는 이와 같이 장병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내...
    Date2013.12.27 Views1473
    Read More
  12. F-X 사업 재추진 - 고성능 스텔스 전투기 40대 2018년부터 우선 확보

    <국방일보> 되돌아보는 2013년 국방이슈<8>F-X 사업 재추진 방추위 통해 사업 재추진 결단…합동참모회의서 소요 수정 40대 가급적 신속하게 도입, 20대는 ROC 재검토 후 결정 스텔스ㆍ전자전 능력 구비, 북핵 대응 킬...
    Date2013.12.26 Views1235
    Read More
  13. 성과기반군수지원(PBL) 길라잡이 발간(국방부)

    『성과기반군수지원(PBL) 길라잡이』발간 - 실무자들의 업무 전문성 증대와 표준화된 업무절차 정립 - ❍ 국방부는 12월 26일, 성과기반군수지원(PBL : Performance Based Logistics) 업무를 수행하는 실무자들의 업무...
    Date2013.12.26 Views1650
    Read More
  14. 산타 할아버지 된성일환 공궁참모총장

    성일환 공군참모총장이 크리스마스이브인 지난 24일 충남 논산의 아동복지시설 ‘계룡학사’(원장 유창학)를 방문해 원생들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고 있다. 성 총장은 이날 모자와 장갑·크레파스·스케치북 등 학용품과 ...
    Date2013.12.26 Views1270
    Read More
  15. 방사청, 국내 개발 K-14 저격소총 ‘전력화’

    방사청, 2015년까지 전군에 800여정 보급 방위사업청이 지난 24일 적 지휘관과 주요 표적을 정밀 사격할 수 있는 K-14 저격용소총(사진)의 전력화를 시작했다. 새로운 저격용소총은 올해 130여 정이 특수전부대를 중...
    Date2013.12.26 Views13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202 Next
/ 2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