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정복 흑색 치장깃은 원래 땀 닦는 수건? / 국방일보 2012.7.6

 

‘네커치프’…물에 빠졌을 때 함상으로 끌어올리는 도구 ‘빵모’…항해 중 식수 부족할 때 빗물 받아 식수로 사용
43487.jpg

정복을 입은 해군병사들. 목 부분에 하얀 세 줄이 있는 것이 치장깃, 그 아래 검은색 네커치프(넥타이)를 맸다. 바지는
 밑단이 펑퍼짐한 나팔식 형태다.

 

해군 복장의 원래 이름은 sailor suit(세일러 수트)로 ‘뱃사람의 옷’이라는 의미다. 세일러복은 V자 넥과 네모 모양의 칼라라는 디자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는 바다에 빠졌을 때 움직임을 편하게 하기 위해 옷을 앞에서 찢어내기 쉽고 정신을 잃었을 경우 다른 사람이 목 뒤에서 칼라를 잡고 구조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고 한다. 이처럼 해군의 복장 하나하나를 살펴보면 남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들이 많다. 아울러 해군 고유의 문화와 전통도 함께 담겨져 있다. 해군 복장에 숨어 있는 비밀을 알아본다.

해군 병사들의 근무복 상의(上衣)는 셈브레이. 하의(下衣)는 당가리라고 표현한다. 줄여서 ‘셈당’. 셈브레이는 프랑스 ‘캄브레’ 지역에서 나오는 직물에서 유래됐고, 당가리는 인도의 ‘당기디’ 지역에서 나오는 무명천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이 가운데 하의, 즉 당가리는 간단히 말해 밑단이 되게 펑퍼짐한 나팔바지를 말한다. 옛날 목선시대부터 갑판 위에서 청소를 할 때 쉽게 걷어 올릴 수 있도록 바지 밑 부분을 넓게 만든 것이었으며 또한 단정이 해안에 접근했을 때 바지를 걷고 얕은 물에 들어가 단정을 육지로 끌어올리는 작업에 상당히 실용적인 역할을 한 데서 유래한다.

 네커치프는 병사들이 사용하는 일종의 넥타이다. 넥타이는 남성의 복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잘 매었을 경우 복장 전체가 살아나는 느낌이 들게 하며 균형을 잃었을 때는 복장 전체의 미적 감각을 잃게 만들기 때문이다. 네커치프는 넥타이처럼 제복의 맵시를 살리는 역할을 한다. 아니 한층 더 스타일리시하고 바람 불 때 나풀나풀 거리면서 은근한 멋을 더해 주고 있다. 사실 네커치프의 역할은 이 뿐만이 아니다. 또 다른 의미도 지니고 있다. 물에 빠졌을 때 함상으로 끌어올리는 안전도구의 역할을 한다. 아울러 수중에서 상어가 접근 시 방어수단이 되기도 한다. 상어는 특성상 자기 몸체의 길이보다 크면 공격을 하지 않으므로 네커치프를 길게 연결함으로써 상어의 공격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해군 병사들이 착용하는 모자도 색다르다. 육군이나 공군과 다르게 원통형으로 만들어졌는데 빵과 닮았다 해서 일명 ‘빵모’라고 불리기도 한다. 여기에는 숨어 있는 비밀이 있다. 하나는 예전 과거에 장기간 항해로 식수가 부족할 때 빗물을 받아 식수로 사용하기 위한 것. 다른 하나는 배로 물이 들어왔을 때 물을 퍼내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물론 지금 군함에는 바닷물을 식수로 만드는 조수장비가 갖춰져 있다.

 견장은 어깨에 대는 장치로서 명예와 장식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최초 견장은 어깨어 걸쳐 맨 탄띠가 흘러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실용적인 장치였다.

 동정복에 있는 흑색 치장깃은 원래 땀을 닦는 수건이었다. 흑색은 더러움을 감춰 주고 머리를 길게 길렀을 당시에는 상의의 더럽힘을 방지하기 위해 앞 이마나 목에 목도리 모양으로 걸고 다녔다. 또한 치장깃을 귀쪽으로 모으면 상대방의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다. 이는 과거에 험한 파도와 바람이 불던 바다에서 항해할 때 도움이 됐다고 한다.

 세 개의 줄을 두르는 것에 대해서는 넬슨 제독의 3대 해전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특별한 의미보다는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해병대 머리모양·전투화-‘돌격형 머리’…상륙작전 중 머리 상처 쉽게 응급처치 가능‘섀미워커’…물이 들어가도 쉽게 빠져 상륙작전에 안성맞춤

해병대도 그들만의 독특한 의미를 지닌 머리 모양과 복장이 있다.

 먼저 해병대 하면 ‘상륙돌격형 머리’가 떠오른다. 윗머리만을 남기고 옆·뒷머리를 깨끗이 깎는 이 헤어스타일은 미 해병대로부터 유래됐다고 한다. 상륙작전을 주임무로 하는 해병대의 역할과 연관돼 붙여진 이름이다.

상륙돌격형 머리는 일각을 다투는 상륙작전 중 머리에 상처가 났을 때 쉽게 응급처치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처 또한 빨리 아물 수 있다고 한다.

 육면전투화, 즉 ‘섀미워커’도 빠질 수 없는 해병대의 복장이다. 육면전투화는 전투화에 물이 들어가도 쉽게 빠지며, 가볍기 때문에 바다로부터 육지로 상륙해 전투하는 해병대의 상륙작전에 안성맞춤이다.<이주형기자>


TAG •

  1. 국방운영의 효율성 제고

    국방부는 올 후반기부터 전투 활동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신형 전투복을 보급한다. 육군17사단 수색대대 장병들이 신형 전투복과 베레모를 착용해 보고 있다. 정의훈 기자 2011년 국방부의 화두는 전투형 군대 육성이...
    Date2011.02.23 Views3734
    Read More
  2. 육·해·공 초임장교 다음달 합동임관식

    ‘초임장교에게는 자긍심과 명예심 고취를, 국민에게는 확고한 국방의지 표현을!’ 전투에서의 승리를 위해 육·해·공 3군의 합동성 강화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가운데 다음달 초 계룡대에서 창군 이래 처음으로 열...
    Date2011.02.23 Views3888
    Read More
  3. 명품 K-9 자주포 불량부품 때문에 망신살

    북한의 연평도 포격 당시 유일한 대응포격 수단이었던 K-9 자주포(사진). 대당 가격이 40억원에 이르지만 적잖은 K-9 자주포에서 엔진의 힘을 바퀴에 전달하는 커플링(couplingㆍ축이음새) 불량으로 방향전환이 제대...
    Date2011.02.23 Views5050
    Read More
  4. 군견훈련소 김병부 교관

    국내 유일의 군 탐지견 훈련 전문가인 육군1군견훈련소 김병부 교관이 탐지견 `아모스'에게 차량에 설치된 폭발물 탐지 훈련을 하고 있다. 견공(犬公)에게도 역지사지(易地思之)가 통할까. 육군1야전군사령부 예하 1...
    Date2011.02.23 Views7944
    Read More
  5. 훈련부사관, 전원 장기복무 선발

    육군은 훈련부사관들이 전투형 강군 육성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사관리 제도를 대폭 개선한다. 육군훈련소 훈련부사관이 훈련병들을 교육하고 있다. 논산=박흥배 기자 육군이 훈련부사관에 대해 특별한 ...
    Date2011.02.21 Views6899
    Read More
  6. 패스트로프 훈련중인 특전사 독수리부대원들

    2011년 1월 특전사 독수리부대원들의 패스트로프 훈련장면
    Date2011.02.21 Views5248
    Read More
  7. 해군5전단 해난구조대, 혹한속 항공인명구조훈련

    해군5전단 SSU 항공인명구조사가 16일 열린 항공인명구조훈련에서 직접 투입 방식으로 바다에 뛰어들고 있다. 해군5전단 해난구조대(SSU : Sea Salvage & rescue Unit) 요원들이 함정이 아닌 헬기에서 얼음장 같은 겨...
    Date2011.02.20 Views6112
    Read More
  8. 공군시설병과

    공군시설병과는 지난 60여 년간 공군의 역사와 함께하며 공군발전의 근간이 돼 왔다. 창설 초기 기지건설을 시작으로 기지영구화 사업, 신기지 건설, 기지 방호 및 복구임무 등은 물론, 국유재산 관리와 화생방 임무,...
    Date2011.02.18 Views4290
    Read More
  9. 육군 전 장병 `전투능력 자격증제' 도입

    강한 육군을 육성하기 위해 전 장병을 대상으로 전투 및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평가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자격을 인정하는 ‘자격인증제’가 도입된다. 이에 따라 3월부터는 개인별 전투력 평가가, 5월부터는 간...
    Date2011.02.17 Views4079
    Read More
  10. 계룡대 3군 간부, 타군 작전현장 체험

    상호 작전현장체험에 참여한 육·공군 장교들이 16일 해병2사단 평화전망대에서 대대장으로부터 작전지역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박흥배 기자 계룡대에 위치한 육·해·공군 3군 본부가 매월 3째주를 ‘합동성 강화 주...
    Date2011.02.16 Views4489
    Read More
  11. 군대 역시 전도 황금어장… 20년간 319만명 세례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이사장 곽선희 목사)와 한국교회가 지난 20년 동안 군 선교 활동을 벌인 결과 진중세례(침례)를 받은 군인이 319만267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전도가 어려운 상황에서 군이 ‘전도의 ...
    Date2011.02.16 Views4215
    Read More
  12. 육군 '강한 신병' 양성..훈련강도 강화

    총기 눈감고 결합토록 훈련..야간사격 늘려 체력단련 5시간.각개전투 9시간씩 보강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따뜻한 가정의 품에서 자라다가 군에 입대한 청년들이 올해부터 군대 훈련 맛을 제대로 보게 됐다. ...
    Date2011.02.16 Views6985
    Read More
  13. KR<키 리졸브>/ 연습 28일부터 실시

    한미연합사, 다음달 10일까지 … 통상적 방어위주 훈련 / 국방일보 2011.02.16 한국군 20여만명·미군 1만2천8백여명 참가 천안함·연평도 유형의 도발 대비책도 강구 한미연합군사령부(CFC)는 2011년 키 리졸브/독수리(...
    Date2011.02.15 Views2829
    Read More
  14. 손원일함 사진

    <사진출처 : 해군 플리커>
    Date2011.02.15 Views6950
    Read More
  15. 키리졸브연습 어떻게 진행되나

    전면전 대비 지휘소훈련..北국지도발.급변사태도 대비 北 WMD기지 침투.예비군 전방전개도 훈련할듯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이달 말부터 내달 중순까지 이어지는 '키 리졸브(Key Resolve)' 한미 합동군사연습...
    Date2011.02.15 Views3044
    Read More
  16. 강군의 요람, 해병대.육군훈련소를 찾아

    적군의 공습으로 폭탄이 터지고 기관총 사격이 연이어 불을 뿜는 가운데 병사들은 연막을 헤치고 우렁찬 함성을 지르며 적 진지로 돌격한다. 포항 교육훈련단과 논산 육군훈련소에서 실시되는 각개전투 훈련장은 실제...
    Date2011.02.14 Views6500
    Read More
  17. 육·해·공군·해병대 주말반납 총동원

    육군102여단 공병대 장병들이 14일 대설경보가 내려진 강원 속초시 동명동 일대에서 페이로더와 덤프트럭을 이용해 제설작전을 전개하고 있다. [속초=박흥배 기자] 지난 주말 동해안 지역에 100년 만에 쏟아진 폭설의...
    Date2011.02.14 Views5308
    Read More
  18. 한국군 북한에 못 이긴다 … 무기 앞서나 전략에 뒤져”

    이상우 국방선진화추진위원장이 71개 국방개혁 과제에 대해 설명하고있다. 그는 “개혁에는 늘 저항이 따르는 법”이라며 “국방개혁 성공의 관건은 통수권자의 의지”라고 말했다. 조용철 기자 중앙선데이 기사전송 2011...
    Date2011.02.14 Views367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9 150 151 152 153 ...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