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량 단위 탄피반납체계’ 안착 성공

by 배나온슈퍼맨 posted Jul 30,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44645.jpg

육군3군지사 예하 50탄약대대 장병들이 기존 실셈에서 중량단위로 개선된 반납체계에 따라 탄피를 반납하고 있다. 정의훈
 기자

 

육군, 7월부터 6개 탄종으로 확대 시행 전반기 21개 부대 허용범위 내 100% 반납 / 국방일보 2012.07.31

 

육군이 올해부터 시행한 중량단위 탄피반납체계가 야전부대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육군은 30일 “편성부대에서 탄약부대로의 탄피 반납을 발 단위에서 중량단위로 개선한 탄피반납체계의 상반기 시행 결과가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에 따라 7월 1일부터는 대상 탄종을 5.56㎜ 소총 및 7.62㎜ 기관총 2개에서 6개 탄종으로 확대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미군도 중량단위로 탄피를 반납하고 있다.

 육군에서 가장 많이 소비하는 5.56㎜ 소총 탄피의 경우 1년 반납량이 수억만 발에 이른다. 하지만 지난해까지 탄피반납은 사용부대와 지원부대 간 일일이 수작업으로 탄피를 세며 상호 확인해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인력과 시간낭비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대두됐다.

 육군은 이 같은 비효율적 탄피 반납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올해부터 발 단위에서 중량단위 반납체계를 전군에 확대해 시행하고 있다.

 창군 이래 첫 시도인 만큼 치밀한 준비과정을 거쳤다.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2단계에 걸쳐 예하 부대를 대상으로 시험 기간을 가졌다. 5.56㎜ 소총 및 7.62㎜ 기관총 탄피를 대상으로 6개 탄약보급소(ASP) 및 5·7 탄약창 등 8개 탄약부대와 1·3군 9개 사단에서 변경 효과를 검증했다. 전자저울 70대를 탄약보급소 및 탄약창에 보급해 변경 후 반납 수량에 대한 정확성을 기했다.

 이 같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는 매우 성공적으로 나타났다.

 올 전반기에 21개 부대가 31회에 걸쳐 반납한 결과 100% 오차허용범위에서 반납된 것으로 확인됐다. 시간 및 인원 절감 효과도 컸다. 투입 인원은 각 제대별 11명에서 4명으로 7명이 줄었다. 실셈 시간은 매회 30분 이상 단축됐다.

 야전 부대 반응도 긍정적이다. 야전부대 및 탄약사 실무자를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한 결과 70% 이상이 반납체계 개선에 대해 절대공감을 표했다.

 야전부대의 한 관계자는 “탄피를 세는 데 소요되는 인원과 시간이 단축돼 매우 편리하다”며 만족감을 나타냈다.

 육군 탄약부대의 한 관계자도 “이전 실셈 반납의 경우 한 발만 오차가 나도 다시 세어야 하는 등 어려움이 많았다”며 “개선된 이후 절약된 인력과 시간을 작전활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창끝부대 전투력 창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영선기자>



Articles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