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사진 :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손민석 사무국장

 

  기원전 5세기경 페르시아 제어제스왕이 침몰선의 보물을 인양하기 위해 '시실리스'라는 잠수사를 고용했고 알렉선더 대왕은 용맹스런 잠수사들을 육성해 적함정의 닻줄을 끊어 조류에 표류하게하거나 밑창에 구멍을 내어 침몰시켜 항구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했다. 잠수사의 역사는 기원전 5000년경부터 시작된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우리 해군에서도 최강 잠수사를 양성하기 위해 심해속에서 오늘도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1950년 부산에서 해상공작대로 창설된 해난구조대(SSUㆍShip Salvage Unit). 이들은 15년전만해도 일반인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특수부대였다. 1993년 서해 위도 근해에서 훼리호가 침몰했을때 SSU대원들이 투입돼 292구의 시신과 선체를 모두 건져 올리며 세상에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충주호 유람선 화재사건(1994년), 북한 반잠수정 인양(1998년), 제2연평해전의 고속정 인양(2002년) 등 대형조난 사건사고와 군사작전 현장에서 명성을 떨쳤다.

특히 1997년 12월 남해로 침투하다 격침된 북한 반잠수정을 수심 150m 깊이에서 건져 올려 기네스북에 올랐다. 미 해군의 1990년대초 98m수심에서 선박을 인양한 기록을 깨뜨린 것이다. 또 최신형 북한 반잠수정 정보를 획듬함은 물론, 증거물 획득으로 국내의 간첩을 소탕하는데 일등공신이 됐다. 어둠이 짙게 깔린 심해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해난구조대(SSU). 대원들은 해마다 평균 6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입교하지만 기초훈련과정에서 40%가 탈락한다. 수치를 보면 알수 있듯이 이들의 교육과정은 인간의 한계를 초월하는 고난의 연속이다. 교육은 병,장교,부사관 계급별로 초급 중급 고급과정으로 나눠 이뤄진다. 장교는 33주간 지옥훈련을 받는다. 초급교육은 장교와 하사관이 함께 받고, 병은 따로 훈련한다. 중등ㆍ고등ㆍ특수과정은 장교와 하사관만 받을 수 있다.

 

 

 

 

수심 50m 이상 잠수 할 수 있는 교육을 받는 중등과정까지는 천해잠수사라고 부른다. 고등과정 이상의 교육을 받고 수심 100m이상 잠수 가능한 이들을 심해잠수사라고 부르며, 100m이상 잠수하는것을 포화잠수라 부른다. 포화잠수교육을 받는 특수과정까지 마치려면 보통 10년정도 걸린다. 잠수는 기법에 따라 수심 40m까지 내려갈수 있는 공기잠수(SCUBA), 58m까지 내려가는 표면공급공기잠수, 58m까지 내려갈수 있는 표면공급혼합기체잠수, 300m까지 내려가는 포화잠수로 나눈다.

일반인들이 보통 숨을 참고 잠수하는 스킨다이빙은 훈련을 받으면 5m까지 가능하며 통상 1분정도 물속에서 머물수 있다. 해녀의 경우 최대 20m까지 잠수해 2~3분정도 숨을 참을수 있다고 한다. 스쿠버(SCUBA)장비를 이용하는 잠수 한계수심은 40m로 잡는다. 영화 '그랑블루'의 주인공인 자크마욜은 이탈리아의 실존인물로 수심 105m까지 도달한 기록을 갖고 있다. 현재의 최고기록은 1996년 쿠바 태생 피핀이 세운 130m로 알려졌으며 당시 소요시간은 2분 18초였다. 정상인의 폐활량은 3~4ℓ인데 그는 8.2ℓ나 된다.

 

 

 해저 100m보다 더 깊이 내려가는 포화잠수는 미국의 조지본드 대령이 1966년 처음 개발했다.포화잠수를 위해서는 산소와 헬륨을 혼합한 혼합기체 공급장치와 수면으로 상승할때 압력을 서서히 줄여주는 감압장치가 꼭 필요하다. 혼합기체를 이용하는것은 질소 마취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헬륨을 마시면 목소리가 높아지고 날카롭게 되는 일명 '도널드현상'이 일어나 교신도 쉽지 않은 편이다.
감압장치가 필요한 것은 고압력 상태에 있다가 갑자기 저압력 상태로 나올때 생기는 공기색전증(塞栓症), 관절통, 근육통 운동지각장애 등 잠수병(caisson병)을 막기 위한 것이다.공기색전증은 잠수도중 급상승할 경우 폐안에 있던 공기가 혈관을 타고 이동하다 혈관을 막는 현상으로 현기증과 마비,의식불명 등의 증상을 낳는다.쉽게 말해 술에 취한 것처럼 정신이 혼미해져 이성적인 판단을 잃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때문에 포화잠수를 하는 잠수사들은 잠수를 하기전에 밀폐된 방같은 챔버(DDC)에 들어가 1분당 수심 1m 하강속도를 정한뒤 가압해 잠수목표수심과 같은 압력을 받는다. 이 과정을 거쳐 바다에 들어간뒤 임수를 수행하고 작전완료후 느린속도로 수심 1m로 해상으로 올라오게 된다. 올라온 후에도 일상생활에 복귀하기 위해 일정기간 챔버속에서 생활을 해야하며 챔버속 생활은 고온다습은 물론, 식욕도 없어지고 밥알을 씹으면 고무를 씹는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러한 이유에서 잠수사들은 강인한 체력과 정신력이 없다면 버티기 힘들다.

 

 

 

 


TAG •

  1. No Image

    안되면 되게 하라! 특전사 해상침투 훈련

    안되면 되게 하라! 특전사 해상침투 훈련 / 국군방송 선진강군 24시
    Date2011.09.04 Views2906
    Read More
  2. 안규백 의원, 해병대 대장진급 기회 부여 '군인사법개정안 '발의

    국회 국방위원장인 안규백(더불어민주당)의원이 중장급인 해병대사령관이 임기를 마친 후에도 전역하지 않고 전직·진급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도록 하는 '군인사법' 개정안을 13일 대표발의 했다. 현행 군인사법 제19...
    Date2018.09.13 Views1584
    Read More
  3. 악천후도 문제없다 수기사 헬기 레펠훈련

    육군수도기계화사단 정찰대 및 헌병 특별경호대 장병들이 27일 눈이 내리는 악조건 속에서 적 특수작전부대원들의 침투를 조기 차단·격멸하기 위한 헬기레펠 훈련을 하고 있다. 국방일보 박흥배 기자 phbae@dema.mil.kr
    Date2010.12.27 Views4901
    Read More
  4.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 DMZ 전 지역 헬기 방역 실시

    국방부는 농림식품축산부, 산림청 등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지역인 경기 연천 중부 일대 비무장지대(DMZ) 내에 오늘 15시 30분부터 헬기 방역을 시작하여,DMZ를 포함한 민간인통제선 이북 전(全...
    Date2019.10.06 Views134
    Read More
  5. No Image

    아프간의 진정한 친구, 오쉬노부대 6진 파병

    아프간의 진정한 친구, 오쉬노부대 6진 파병 - 조정환 육군참모총장 주관, 29일 국제평화지원단에서 환송식 - - 바그람기지 2지대 경계지원 및 한국대사관 경비지원 임무, 61명 파병 -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기지 주...
    Date2012.11.30 Views1966
    Read More
  6. 아크부대 이성국 상사, 사막서 1000번째 강하 금장월계휘장 수여받아

    주인탁(중령·왼쪽) 아크부대장이 강하 1000회를 달성한 이성국 상사에게 금장월계휘장을 수여한 뒤 악수하고 있다. 사진 최윤영 중사 아크부대 21진은 “지난 17일 사막 한가운데 있는 고공강하 훈련장에서 강하 1000...
    Date2023.10.28 Views4572
    Read More
  7. 아크부대 7진 편성식 “최강 검은베레 위상 세계에 떨친다”

    아크부대 7진이 3일 육군특수전교육단에서 편성식을 갖고 완벽한 임무수행을 위한 파병 교육에 돌입했다. 부대제공 아랍에미리트(UAE) 군사훈련협력단(아크부대) 7진이 3일 육군특수전교육단에서 편성식을 갖고 완벽...
    Date2013.12.04 Views2192
    Read More
  8. 아크부대 20진 고강도 연합훈련, UAE군 특수전부대와 2주간 진행

    ▲ 아크부대 20진 해상작전대원들이 UAE군과의 연합훈련 중 CH-47 헬기를 활용해 소프트 덕(Soft-duck)을 하고 있다. 사진 이혜림 육군대위 [국방일보 2022.12.26 인터넷] 아랍에미리트(UAE) 군사훈련협력단(아크부대)...
    Date2022.12.26 Views3375
    Read More
  9. 아우라부대 김관진 국방부 장관 주관 환송식… 육·해·공군·해병대 합동지원단 첫 해외파병

    1제대 21일, 2제대 27일 출국 19일 인천 계양구 국제평화지원단에서 필리핀 재해복구 지원 임무를 수행할 ‘필리핀 합동지원단(아라우부대)’ 환송식이 눈발이 날리는 가운데 김관진 국방부 장관 주관으로 열려 파병 장...
    Date2013.12.20 Views2494
    Read More
  10. No Image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 제9차 사이버안보 분과회의 개최

    국방부는 11월 16일(수)부터 17일(목)까지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 제9차 사이버안보 분과회의를 화상으로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한국은 말레이시아와 함께 공동의장국으로서 회의를 주재하게 된다. ...
    Date2022.11.16 Views5607
    Read More
  11. No Image

    아세안 주요국가들과 국방협력 증진한다, 김선호 국방부차관 제10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 참가

    김선호 국방부차관은 11월 16일 인도네시아(자카르타)에서 개최되는 제10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 : ASEAN Defense Ministers' Meeting-Plus)에 참석하기 위해 11월 15일 출국할 예정이다. 아세안 확대...
    Date2023.11.14 Views4624
    Read More
  12. 아브람스 전차·브래들리 장갑차 위용 과시

    한미군 장병들이 지난 1일 로드리게스 훈련장에서 연합훈련을 마친 뒤 미군의 M1A2 아브람스 전차와 한국군 26사단의 K-1전차 앞에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연합사 제공 제임스 서먼(미 육군대장) 한미연합사령관이 ...
    Date2011.09.07 Views3968
    Read More
  13. 아라우부대 상륙함단대, 필리핀 재해복구 장비·물자 수송

    성인봉함·비로봉함, 지원 병력 260여명 식량·생수·수리부속 등 장비·물자 운반 필리핀 태풍피해 복구·재건을 위한 합동지원단 ‘아라우부대’ 상륙함단대 장병들이 21일 출항에 앞서 장비 결박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해...
    Date2013.12.23 Views1844
    Read More
  14. 아라우부대 상륙함단대 출항

    Date2013.12.23 Views977
    Read More
  15. No Image

    아라우 부대, 필리핀 복구작전 돌입(합참)

    아라우 부대, ‘필리핀 복구작전’ 첫 삽을 뜨다 - 7일 레이테州 지역 학교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복구작전 돌입 - ㅇ 필리핀 태풍 피해 복구를 위해 파병된 아라우 부대가 피해지역인 필리핀 레이테州 타클로반市에 도...
    Date2014.01.11 Views11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