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종합행정학교 충북 영동 이전 1주년 / 국방일보 2012.11.12

 

1968년 개교 이래 육군의 행정·특수병과 장병 교육의 산실로 자리매김하며 ‘전투형 강군 육성’과 ‘군 인재 양성’에 기여해 온 육군종합행정학교가 11일로 ‘충북 영동 시대’ 1주년을 맞았다. 43년 성남 시대를 마감하고 지난해 11월 11일 영동으로 이전한 이후 또 다른 도약과 발전의 청사진을 그려가고 있는 종행교 이전 1주년의 성과와 의미를 조명한다.


병과 발전 싱크탱크 역할 강화…올 최우수부대에 ‘남성대 수요장터’ 개장 등 지역사회에 경제 활력소
49082.jpg

헌병특임대원들이충북영동으로이전해최신설비를갖춘육군종합행정학교대테러훈련장에서 사격술을 연마하고 있다.
 부대제공

49080.jpg

육군종합행정학교 교관이 전자칠판을 활용해 교육생들에게 강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2012년은 교육혁신의 원년

 헌병·부관·경리·정훈·법무·군종 등 6개 병과의 장교·부사관 보수교육과 헌병·경리 특기병 교육을 전담하는 종행교는 이전 후 첫해부터 완전히 새로워진 교육을 선보이고 있다. 가장 큰 변화는 ‘첨단 교육시설’과 ‘교육생 중심의 교육 마인드 전환’에서 감지할 수 있다. 종행교는 이전 후 모든 강의실에서 광케이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원격교육과 디지털 교육을 하고 있다. 교관은 전자칠판의 디지털 교안기능과 터치 기능을 이용해 다양한 교육자료를 자유자재로 구현, 교육생들이 강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행동화할 수 있게 한다.

 교육목표를 ‘고객에게 감동 주는 교육’으로 잡아 마인드 변화를 추구한 것은 눈에 보이진 않지만 중요한 변화로 꼽을 수 있다. 학교는 이전 후 교육생 중심 교육을 위해 교관 강의기법 경연대회와 교관 워크숍을 실시하며 창의적인 교수기법 개발에 몰두했다. 특히 모든 교관은 일일 단위로 운용되는 교육관찰단에 주기적으로 편성돼 다른 교관의 창의적 강의기법을 현장에서 벤치마킹토록 했다.

 교관 강의에 수동적으로 따르던 기존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교육생의 능동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것도 눈에 띄는 대목. 교육생이 제시된 교육목표와 핵심과제 아래 스스로 학습전략과 방향을 설정하고 야간자율학습과 스터디그룹 토의 등을 하게 함으로써 ‘학생 주도형 자율학습’과 ‘과제분담학습’을 유도한 것이다. 경리학처 서재필(소령) 관리회계학 교관은 “교관의 열정은 변함없지만, 영동 이전 후 교육환경과 시스템이 확연히 달라져 학교에 대한 자부심이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시설 하자 보수와 운영체계 정착

 종행교 이전은 연면적 109만5000㎡에 126개 동의 건물을 신축하는 대형 사업인 만큼 예상치 못한 하자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에 종행교는 백 년 앞을 내다보고 최고의 시설과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시설 전담부서를 지정한 후 1년간 시설·시기·용도별로 세밀하게 점검, 1900여 건의 크고 작은 하자와 개선 소요를 발굴했다. 이를 신속하게 개선하기 위해 예산이 필요한 사업은 국방부에 건의해 예산을 확보하고 소규모 하자는 발주처·시공사와 협의 후 개선해 시설의 완벽한 기능 발휘와 편의성을 보장하고 있다.


 ▶병과 싱크탱크로서의 역할 강화

 종행교가 6개 병과의 직무보수교육은 물론 병과 교리연구와 전투발전을 담당하는 만큼 6개 병과 발전은 종행교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학교는 이를 위해 전 교관이 연 1회 전투발전 요구 제안과 교관 연구문을 제출토록 제도를 강화했다. 또 다양한 병과 발전 정책이나 아이디어를 내도록 함으로써 정책과 야전의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토록 하고 있다.

 교리발전을 위해 병과 교범 체계도 단순화, 효율성을 높이고 병과별 실무지침서를 새롭게 발간하는 등 병과 발전의 싱크탱크 역할도 강화하고 있다. 김기홍(대령) 전투발전부장은 “이런 활동 덕분에 종행교가 올해 육군본부 교리발전 최우수부대로 선정되는 값진 결실을 거뒀다”고 설명했다.


 ▶지역사회의 새로운 활력소

 종행교 이전은 충북 영동에 ‘선물’과 다를 바 없다. 영동의 숙원과제인 ‘인구 5만 명 지키기’에 가뭄의 단비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장병과 군인가족 유입으로 영동은 지난달 말 현재 인구 5만689명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더 나아가 종행교는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남성대 수요 장터’ 개장과 영동사랑 상품권 구매, 충북 남부 3개군 교육청과의 양해각서 체결, 지역 중·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지식나눔사업과 나라사랑 교육지원 등이 그것. 특히 교육사령부 예하 학교 중 최초로 부대개방행사를 통한 특기병 면회제도를 시행, 3주마다 군인가족과 장병 500~600명이 영동을 방문토록 함으로써 특기병 사기진작과 대군신뢰 증진,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1석 3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황우웅 종행교 학교장 인터뷰 “야전에서 즉각 전투력 발휘할 수 있는 교육 구현”

 

49081.jpg


 황우웅(소장·사진) 육군종합행정학교장은 지난 1년간 바쁜 나날을 보냈다. 학교 이전 직후 학교장으로 취임, ‘새로운 영동시대’를 이끌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온 황 학교장으로부터 그동안의 성과와 향후 계획을 들어봤다.

 -종행교 이전 1주년의 의미를 정리한다면.
 이전 초기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전 장병이 합심해 최고의 시설과 환경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제 종행교는 학교발전의 새로운 도약기를 맞았다고 확신합니다.

 -교육환경이 획기적으로 발전했다고 들었습니다.
 이전에는 단순히 교육자료를 넘기며 설명하는 수준의 교육이었다면 이제는 인트라넷을 사용할 수 있는 강의실에서 교관이 전자칠판으로 각종 교육자료를 확대·축소·판서·이동하는 등 시각화 교육을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 성남의 2배에 달하는 99.189㎡의 훈련장은 헌병 특기병 양성 훈련을 비롯해 정예 장병을 육성할 수 있는 실전적 훈련 여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야전에서 즉각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교육생 중심의 교육’을 구현할 수 있게 된 셈이죠.

 -교육혁신 외에 학교시설 운영분야에도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눈 내린 들판을 걸을 때는 발걸음을 어지럽게 걷지 마라(踏雪野中去 不須胡亂行). 오늘 걷는 나의 발자국이 마침내 뒷사람의 이정표가 될 것이다(今日我行蹟 遂作後人程)’라는 서산대사의 시가 있습니다. 이 시처럼 현재 근무 중인 장병들은 학교의 초석을 다진다는 생각으로 시설물을 완벽하게 개선하고 운용체계를 정착시키고 있습니다. 첨단 시설에 걸맞은 교육이 종행교의 향후 100년을 위한 초석이 되리라고 확신하기 때문입니다.

 -종행교의 영동 이전은 지역사회의 강한 요청이 반영된 것인데 지역사회의 반응은.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춰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영동군과 지역주민들께서 전폭적인 지지와 성원을 보내주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역사회와의 상생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을 강화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1. 국방부, 국회 국방위 보고 주요 내용

    김관진 국방부장관이 13일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방부 주요 업무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관진 국방부장관은 13일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에 참석, “북한은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가능 상태를...
    Date2011.06.13 Views2253
    Read More
  2. 2013년 UFG<을지프리덤가디언>부터 新 작전계획 적용

    국방부, 각 군 본부 C4I 보강 300억 투입 국방개혁 관련법 상정, 24일 안건 심사 / 국방일보 2011.06.14 오는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비, 전구(戰區)작전 연습 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2013년 을지프리덤가디...
    Date2011.06.13 Views3159
    Read More
  3. 서해 백령도에 아파치급 헬기배치 검토

    대형공격헬기용 격납고 건설중...北공기부양정 대응차원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군당국이 북한 공기부양정의 기습 침투에 대비해 서해 백령도에 아파치급 대 형 공격헬기를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Date2011.06.13 Views2478
    Read More
  4. 軍 상부지휘구조 개편안 태극연습에 적용해보니

    개편되는 군 상부지휘구조를 태극연습을 통해 적용한 결과 신속한 작전 수행이 가능한 것은 물론, 의사결정 과정이 간소화되는 등 성과가 있었다고 군 당국은 평가했다. 하지만 각 군 본부가 위치한 계룡대에 지휘·통...
    Date2011.06.13 Views2393
    Read More
  5. 예비군 훈련소 첨단시설 갖춘다

    208개 훈련장 47개로 통폐합 /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1.06.13 컴퓨터 시뮬레이션 훈련장 등 첨단 시설이 갖춰진 예비군 대형 훈련소가 내년부터 설치된다. 이에 따라 예비군이 더욱 정예화되고 전력도 한층 강화될 ...
    Date2011.06.13 Views2195
    Read More
  6. 해군, 美가 잃어버린 기뢰제거장비 찾아줘

    [서울신문 M & M 최영진 군사전문기자] 미 해군이 훈련 도중 분실한 고가의 기뢰제거(소해)장비를 우리 해군이 찾아준 사실이 밝혀졌다. 미 7함대는 지난 5월 진해 앞바다에서 실시된 기뢰제거 훈련 도중 장비 오작동...
    Date2011.06.11 Views2620
    Read More
  7. SBS, 연평도 포격의 상처…잊혀진 16명의 영웅들? 관련 국방부 입장

    SBS에서 방영된 '김진권 상병 및 가족의 인터뷰 내용'에 대해서 국방부는 유감을 표명합니다. 국방부는 연평도 포격사건 부상 장병들에 대한 치료 및 예우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우선 ‘간병인 방값...
    Date2011.06.11 Views1910
    Read More
  8. 의무헬기 3대 올해 전력화

    국방부, 2017년까지 의무후송헬기 8대 도입키로 / 국방일보 2011.06.10 국방부는 2017년까지 의무후송 전용헬기 8대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올해 안에 육군과 공군에서 운용 중인 UH-60헬기 2대와 HH-47헬기 1...
    Date2011.06.09 Views2746
    Read More
  9. 2011 육군토론회

    육군이 ‘국가방위의 중심군’이 되기 위해서는 적정 규모의 지상전력을 확보해야 하고, 전장기능별 무기체계를 개선·보강하는 것은 물론 상비전력의 역할 조정을 강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의견은 육...
    Date2011.06.09 Views2303
    Read More
  10. 한국군 지휘관의 작전통제 받는 美 기계화 중대

    <국방일보 김태형기자> 8일 오전 경기 파주시 무건리 훈련장에서 전개된 한미연합 전술훈련에서 육군1군단 예하 2기갑여단의 K-1전차와 미2사단 1여단의 기계화보병중대의 M2A2 브래들리장갑차가 한국군 대대장의 공...
    Date2011.06.08 Views4311
    Read More
  11. 국방개혁 법안 6월국회 처리 밀어붙인다

    한나라당이 논란이 되고 있는 `국방개혁 307` 관련 법안을 6월 국회에 처리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원유철 국회 국방위원장은 6일 "국군조직법, 군 인사법, 국방개혁에 관한 법 등 개정안은 2015년 전시작전권 환수까...
    Date2011.06.06 Views2107
    Read More
  12. 군지휘부 현충일 현충원 참배 등 선열의 투철한 군인정신 되새겨

    육·해·공군 및 해병대 지휘부를 비롯해 전군의 장병·군무원은 6일 현충일을 맞아 충혼탑 참배와 추념행사를 갖고 애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넋을 위로했다. 각급 부대 장병들은 또 부대 주변의 보훈가족 등을 돕는 행...
    Date2011.06.06 Views3409
    Read More
  13. 해군1함대 3특전대대, 해상 테러대응 합동훈련

    해군1함대 3특전대대 장병과 동해 해양경찰특공대원들이 함대 사격장에서 거리별 대테러 사격훈련을 하고 있다. 해군1함대 3특전대대(UDT/SEAL)가 동해 해양경찰특공대와 해상 테러대응 합동훈련을 갖고 유기적인 협...
    Date2011.06.06 Views3015
    Read More
  14. 국군 최초의 정식 유격대 60일간의 작전 지금도 전설

    육군본부직할 결사대 (일명 백골병단) 전우회 6·25 참전 개선 60주년·56회 현충 추모행사 / 2011.06.07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3리 산 250-2에 있는 육군본부직할 결사대(일명 백골병단) 전적비. 육군본부직할 결사...
    Date2011.06.06 Views2824
    Read More
  15. 헌병 장성 횡령 의혹 사건 수사결과

    헌병 장성 횡령 의혹 사건 수사결과 2011-06-02 □ 개요 ◦ 국방부 검찰단(단장 대령 권락균)은 2010년 11월경부터 투서된『前 수도방위 사령부 헌병단장 예비역 L某 장군의 횡령 등 의혹』을 조사한 결과 ① 그 동안 의...
    Date2011.06.05 Views3030
    Read More
  16. 전사한지 60년 만에 다시 만난 호국의 형제

    ◦6.25전쟁 당시 18세 어린 나이에 형님의 뒤를 따라 입대한지 1년 만에 전사하여 전장터에 홀로 남겨졌던 국군 용사가 60년 만에 현충원의 형님 곁에 묻힌다. ◦작년 10월 강원도 양구에서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에 의...
    Date2011.06.05 Views2278
    Read More
  17. 대전시, 육군본부와 ‘사이버국방마트’ 운영

    대전시와 육군본부는 두 기관 공동 주최로 매년 개최하는 국내 유일의 비무기체계 중심 전시회 '벤처국방마트'를 온라인 전시로까지 확대발전시키는 '사이버 국방마트'를 개설하겠다고 밝혔다. 단기적 일회적 오프라...
    Date2011.06.05 Views2514
    Read More
  18. 軍 '사이버 군기강' 위반행위 엄정 처벌

    "얼차려ㆍ군사시설 촬영, 군수품 경매 등" / 연합뉴스 | 김귀근 | 입력 2011.06.05 10:02 1~3월 1천29건 위반적발..300여건 징계처리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최근 모 부대 A 병장은 훈련 중 후임들을 괴롭히...
    Date2011.06.05 Views215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 168 Next
/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