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탄고속함으로 부활하는 6.25전쟁의 영웅들

 

- 11.20(화), 유도탄고속함 10~12번함「임병래함, 홍시욱함, 홍대선함」진수식
- 6.25전쟁의 영웅들 차례로 함명 제정, NLL 수호신으로 부활해
- 앞서 배치된 유도탄고속함과 함께 최전방 핵심전력으로 활약 예정

◦ 6.25전쟁의 해군 영웅들이 유도탄고속함(PKG)으로 부활, NLL 수호신이 되어 조국의 바다를 지키게 되었다. 해군은 유도탄고속함 10~12번함의 함명을 임병래함, 홍시욱함, 홍대선함으로 명명하고 11월 20일(화) 진수식을 갖는다.
    * PKG : Patrol Killer Guided missile

◦ 진해 STX조선소에서 진행되는 이번 진수식에는 이용걸 국방차관 주관으로 STX조선해양 신상호 대표이사, 원태호 합참 전략기획본부장, 손정목 해군참모차장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해 NLL 수호의 핵심전력으로서 활약하게 될 유도탄고속함의 시작을 축하하게 되며 행사는 국민의례, 건조경과보고, 함명 선포, 기념사, 진수, 샴페인 브레이킹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 유도탄고속함 10~12번함 함명의 주인공 임병래 중위, 홍시욱 이등병조,  홍대선 삼등병조는 6.25전쟁시 목숨을 바쳐 나라를 지킨 전쟁영웅이다.  해군은 ‘조국의 바다는 우리의 손으로 지다’는 일념 하나로 초개와 같이 목숨을 바친 이들의 희생정신을 기리고 계승하고자 함명으로 제정했다. 

◦ 10번함과 11번함의 주인공 임병래 중위와 홍시욱 이등병조(현재의 하사 계급)는「인천상륙 작전의 숨은 영웅」이다. 이들은 인천상륙작전 개시 약 한달 전인 8월 13일 상륙작전 시행을 위한 사전 첩보작전에 투입되어 월미도 적 해안포 진지를 파악하고, 북한군 군사 기밀을 탐지하는 등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하고 9월 13일 철수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주력부대를 먼저 보내고 남아 잔무를 처리하던 이들은 뒤늦게 상황을 파악하고 기습한 북한군과 격렬한 교전을 펼쳤지만 중과부적으로 수세에 몰렸고  결국 기밀누설 방지를 위해 자결했다. 이들의 숭고한 희생으로 인천상륙작전은 적에게 노출되지 않고 예정대로 진행될 수 있었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상륙작전이라는 평가와 함께 우리나라는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 12번함 함명으로 명명된 홍대선 삼등병조(현재의 하사 계급)는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1월 4일 서해안 옹진반도 앞 순위도에 모여 있는 주민 840명을 피난시키라는 명령을 받는다. 당시 옹진반도가 북한의 수중에 들어가 있었기 때문에 생사를 장담할 수 없는 작전이었지만 801함 단정장으로  근무하던 홍대선 삼등병조는 아랑곳 않고 명령에 따라 주민 철수작전을 시작했다. 피난민 절반을 수송했을 무렵 북한군이 순위도에 접근하며 피난민에게 총격을 가하는 급박한 상황이 벌어졌고 그는 피난민을 향하던 북한군의  총구를 자신에게 유도하기 위해 단정을 타고 적진으로 돌진했다. 맹렬한 기세로 북한군 전마선 3척을 차례로 박살냈지만 안타깝게도 단정이 큰 손상을 입어 더 이상 항진이 불가능한 상황, 그는 남은 적의 사격을 유인하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나 스스로 표적이 되어 끝까지 적을 향해 사격을 하다 장렬히 전사했다. ‘군인은 국민의 생명을 보호한다’는 국군의 사명을 초인적 행동으로 실천한 홍대선 삼등병조는 우리가 기억해야 할 또 한명의 영웅이자 해군의 표상이다. 

◦ 이번에 진수하는「임병래함, 홍시욱함, 홍대선함」은 기존 참수리급 고속정에 비해 대함전, 대공전, 전자전 및 함포지원사격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사정거리 150km 국산 대함유도탄인 ‘해성’과 76mm/40mm 함포를 장착해 전투능력을 극대화 했으며, 3차원 레이더와 국내개발 전투체계를 보유 강력한 탐지, 추적 능력도 갖추었다.   

◦ 또한, 연평해전의 교훈을 바탕으로 선체에 방화격벽을 설치하고, 스텔스 기법을 적용하는 등 함정 생존성을 획기적으로 보강했다. 특히, 군항 및 작전해역 주변 어망산재로 인해 유사시 신속한 이동에 제한이 있는 점 등을 고려해 워터제트 추진기를 장착하는 하는 등 전투임무 수행 능력을 강화했다.

◦ 임병래, 홍시욱, 홍대선함은 기존의 노후 고속정 대체 및 전투력 강화   필요성에 따라 2010년 9월 방위사업청과 STX조선해양간 건조계약을 체결했으며, 약 2년간의 건조 과정을 거쳤다. 이날 진수한 3척의 유도탄고속함은 시험평가 등을 마친 후 2013년 7월부터 차례로 해군에 인도되며, 전력화 과정을 거쳐 최전방 해역에 배치, NLL 수호의 핵심전력으로 활약할 예정이다.



  1. 국방부-한국전기안전공사 업무협약 체결

    ㅁ 국방부는 국정기조인 ‘소통·협업’을 구현하고 국방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유관부처, 공공기관 등과의 협력을 지속 모색하고 있으며, 금번에 그 일환으로 우리 장병들의 안전한 병영환경 조성과 전...
    Date2015.04.09 Views405
    Read More
  2. 군 물류체계 혁신 시범사업 최종 평가 실시

    ㅁ 국방부와 육군본부 및 한국국방연구원(KIDA) 등 관련기관은 4월 9일 (목) 육군 군수사령부에서 국방부 전력자원관리실장 주재로 「물류체계 혁신 시범사업 최종 평가결과 보고회」를 개최한다. ㅁ 현재 군이 추진...
    Date2015.04.09 Views341
    Read More
  3. 2015년 전반기 장관급 장교 인사 단행

    ㅁ 정부는 4월 7일부로 금년 전반기 장관급 장교 인사를 단행하였습니다. ㅁ 금번 인사는 중장급 이하의 진급 선발과 주요 직위에 대한 보직 인사로서, ① 국가관과 안보관이 투철하고, 연합 및 합동작전 수행능력과 ...
    Date2015.04.08 Views650
    Read More
  4. 해병대 사령관 이상훈 중장(진) 특전사령관 장경석 중장(진) 임명

    정부는 7일 단행한 2015년 전반기 장관급 장교 인사에서 장경석 국방부 정책기획관과 이상훈 국방전비태세검열단장을 중장으로 진급시켜 각각 특전사령관과 해병대사령관에 임명했다. 이번 인사를 통해 소장에서 중장...
    Date2015.04.07 Views2565
    Read More
  5. 육군 지역예비군지휘관은 해병대 예비역 장교도 지원 가능

    일부 예비군은 한미연합사 편성 여군, 예비역 전역하면 훈련 대상 해군·해병대 관할 예비군지휘관육·해·공·해병대 출신 모두 가능 지난 1일 육군52사단 번개연대의 시가지전투훈련장에서 예비군들이 페인트볼 건을 이...
    Date2015.04.05 Views1271
    Read More
  6. 해군, 서해 대규모 기동훈련 실시

    해군은 천안함 피격사건 5주기를 앞둔 24일 서해상에서 대규모 해군 전력이 참가한 해상기동훈련을 실시했다. 적 해·공군 전력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하는 상황을 가정해 진행된 이번 훈련은 천안함 피격 5주...
    Date2015.03.25 Views313
    Read More
  7. 해군·해병대 사관후보생(OCS) 246명 입교식

    지난 23일 해군사관학교 이인호관에서 열린 118기 해군·해병대 사관후보생 입교식에서 사관후보생들이 경례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이명수 중사 118기 해군·해병대 사관후보생(OCS: Officer Candidate School) 246명...
    Date2015.03.25 Views1544
    Read More
  8. 병 상해사망보험『전우사랑보험』도입 시행

    ㅇ 국방부는 의무복무 중인 병(兵)에 대한 국가의 책임 이행 확대를 위해 국정과제로 추진한 병 상해사망보험인『전우사랑보험』제도를 3월 21일(토)부로 시행하고 있음. -『전우사랑보험』운용사는 서울지방조달청에...
    Date2015.03.24 Views433
    Read More
  9. 국립서울현충원, 「자원봉사단 발대식」 개최

    ㅇ 국립서울현충원(원장 이선근)은 2015. 3. 24.(화) 16:00에 현충원 지킴이와 자원봉사 해설사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충관에서 「현충원 자원봉사단 발대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ㅇ 현충원 자원봉사단은 ...
    Date2015.03.24 Views329
    Read More
  10. 2015년 국방정보화 사업설명회 개최

    ㅇ 국방부는 3월 26일(목) 오후에 공군회관 그랜드볼룸에서 정보화기획관(고위공무원 박래호) 주관으로 2015년 국방정보화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ㅇ 이번 사업설명회에서 국방부는 국방정보화 정책방향과 국방정보...
    Date2015.03.24 Views395
    Read More
  11. 해군 창설 70주년, 제53회 군항제 기념 한·미 합동 군악연주회 / NAVY LOOK 페스티벌 안내

    Date2015.03.24 Views442
    Read More
  12. 2015 제19회 해군바다사진전

    Date2015.03.24 Views308
    Read More
  13. 공군, 광복 70주년의 해 ‘제37회 공군참모총장배 Space Challenge 2015’ 개최

    국민과 함께하는 항공우주과학 축제, ‘제37회 공군참모총장배 스페이스 챌린지(Space Challenge) 2015’가 4월 4일(토)부터 시작된다. 올해 37회를 맞는 스페이스 챌린지 대회는 미래의 희망인 청소년들에게 하늘과 우...
    Date2015.03.23 Views585
    Read More
  14. 2015년 달라지는 예비군훈련

    ㅇ 국방부는 올해 ‘확! 달라지는 예비군훈련’을 발표하면서 오는 3. 2.(월) 부터 시작하는 예비군훈련은 ‘실제 싸워 이길 수 있으면서도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성과 위주의 훈련 시스템’을 적용하여 실시할 계획이라고...
    Date2015.03.10 Views535
    Read More
  15. 국방부, 2015년 6·25전사자 유해발굴 개시

    ㅇ 국방부는 6일 해병 1사단(경북 포항), 9일 50사단(경북 영천) 개토식과 함께 2015년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ㅇ 올해 유해발굴사업은 3월 9일부터 11월 13일 까지 총 8개월(8월은 우기로 ...
    Date2015.03.10 Views32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