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D<국방과학연구소>, 차기호위함 전투체계 개발 / 국방일보

 

국내 방산업체도 참가해 2006년 연구 시작…6년 만에 결실 첨단 기술 적용해 성능 향상…표적 2600개 동시 추적·관리 수입대체 5240억원, 30년간 유지비용 3580억원 절감 기대 국내 최초로 잠수함탐지용 능동형 소나체계 개발도 성공해

 

49957.jpg

전투체계 운용개념도. 전투체계는 함정의 센서와 무장을 통합해 대함전·대공전·대잠전·전자전 등 다양한 방식의 전투를 수
행하는 데 필요한 전술적 조치와 무장 할당을 반자동 혹은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 자료사진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차기 호위함에 사용할 전투체계를 국내 기술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방위사업청은 29일 “ADD가 주도하고 삼성탈레스와 LIG넥스원 등 국내 방산업체도 참여한 차기 호위함용 전투체계와 소나 개발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며 “30일 개발완료 보고회를 연다”고 밝혔다.

 겉으로 드러나는 함정의 선체가 사실상 껍데기라면 전투체계는 두뇌에 비유할 수 있을 정도로 비중이 크다.

해군 함정의 전투체계는 함정 탑재 센서, 무장과 기타 장비들을 통합해 작전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ㆍ분석ㆍ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 같은 정보를 바탕으로 대함전·대공전·대잠전·전자전 등 다양한 방식의 전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술적 조치와 무장 할당을 반자동 혹은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

함정 탑재 센서와 무장 등 각각의 장비를 서로 연결하고 연동시키는 것도 전투체계의 역할이며, 운용요원이 보고 조작하는 단말기도 전투체계의 일부다.

이 때문에 전투체계는 현대 해상전투의 핵심이자 승패를 좌우하는 장비로 평가받는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후 유도탄 고속함용 전투체계와 독도함 등 상륙함용 전투체계를 개발한 데 이어 이번에 보다 복합적인 성격의 다양한 전투를 수행하는 차기 호위함용 전투체계까지 개발하는 데 성공함에 따라 중ㆍ대형급 전투체계 분야도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



 ◆ 성능은?

 ‘차기 호위함용 전투체계’는 전투관리체계와 탐색레이더, 전자광학추적장비(EOTS) 및 추적레이더 등의 센서체계로 구성돼 있다. 이 중 전투관리체계는 개방형 구조와 첨단 정보기술(IT)을 적용해 전투성능을 최대화하면서도 추가 성능 개량이 쉬워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내장된 정비체계를 채용, 운용의 편의성을 높였다.

 특히 지난 8월 해군과 함께 실시한 실표적 해상 운용시험 평가를 통해 현 운용체계보다 높은 명중률과 전투성능을 입증했다. 훈련용 모드로도 작동이 가능해 전투준비태세 향상에도 보탬이 된다.

전투체계와 연동하는 중거리급 해상 탐색레이더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3차원 능동형 방식을 가진 중거리급 탐색레이더는 최대 250㎞ 떨어진 표적도 탐지할 수 있어 우리 영해를 지키는 첨병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전자광학추적장비와 추적레이더는 소형 전투함용으로 개발된 것을 중대형급 전투함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도록 성능을 개량했다. 이 같은 각종 센서와 전투관리체계를 결합한 전투체계는 2600개 이상의 표적을 동시 추적관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적 잠수함을 탐지·추적·식별하고 적 공격 어뢰에 대해 자동경보 기능까지 갖춘 소나(SONAR) 체계도 국내 기술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소나는 광학장비나 레이더가 소용이 없는 물속에서 잠수함을 찾을 수 있는 장비다.

차기 호위함용 소나체계에는 국내 개발된 다중표적 자동 탐지와 추적기술, 실시간 수중 탐지환경 예측기술, 다중센서 정보융합 기술 등 최첨단 기술이 적용됐다.

     

 ◆ 개발 의의

 방위사업청 관계관은 “‘차기 호위함용 전투체계’ 개발 성공으로 한국이 전투체계 분야에서도 선진국과 동등 이상의 기술 수준과 개발 능력을 입증했다”고 이번 개발의 의미를 풀이했다.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이지스급 차기 구축함 전투체계도 국내 개발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경제적 측면에서 전투체계 자체 개발로 5240억 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둘 전망이다. 유지비도 상대적으로 저렴해 해군에서 30년 운용할 때 3580억 원의 운용비 절감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소나체계 개발에 따른 수입대체 효과는 1860억 원, 30년 운용할 때 운용비용 절감액은 220억 원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대 군함의 중요 핵심 기술인 전투체계와 소나체계를 자체 개발함에 따라 앞으로 해외 수출에도 청신호가 켜졌다고 볼 수 있다.



  1. 김포함상공원 9월10일 개장

    경기도 김포시는 김포시 대곶면 대명리 대명포구에 퇴역상륙함 운봉함을 해군으로부터 무상으로 임대받아 함상공원을 꾸미고 9월 10일 개장했다. 대명항 함상공원은 해군,해병대의 활약상을 보여주는 전시실, 낙하산...
    Date2010.10.11 Views4911
    Read More
  2. 해군5전단, 해안양륙군수지원훈련

    해군5성분전단은 30일 서해안 일대에서 합동참모본부가 주관하는 합동지속지원훈련의 하나로 전개한 해안양륙군수지원훈련(JLOT)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전했다. JLOT는 항만 파괴 또는 피해로 정상적인 사용이 불가...
    Date2022.07.01 Views4917
    Read More
  3. No Image

    국방부, 병 휴대전화 소지 시간 확대 시범운영 시행

    국방부는 국정과제 이행에 있어 병 휴대전화 소지 시간 확대를 위해 2022년 6월 20일부터 12월 31일까지 약 6개월 간 시범운영을 시행한다고 17일 밝혔다 . 현재 병은 평일 일과 후 18 : 00 ~ 21 : 00까지, 휴일에는...
    Date2022.06.17 Views4919
    Read More
  4. 北특수전부대 혹독한 '지옥훈련'으로 무장

    "35㎏ 군장꾸려 40㎞ 12시간 주파 훈련" "3일연속 천리행군..부대원 특공무술 시합"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서북도서 및 군사분계선(MDL) 일대로 기습 침투해 후방을 교란하는 목적의 북한 특수전부대(경보병...
    Date2011.02.13 Views4939
    Read More
  5. 경북 칠곡군 발굴 6·25 전사자 유해 신원확인

    고(故) 이승옥 이등중사 유해의 전체 골격 사진<사진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2020년 11월 경상북도 칠곡군 용수리 일대에서 발굴된 고(故) 이승옥 이등중사 유해의 최초 식별 당시 모습 <사진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Date2023.04.21 Views4943
    Read More
  6. 국방교육훈련 체계 이렇게 바뀐다!

    국방부의 화두는 ‘적과 싸워 이길 수 있는 전투형 군대 육성’이다. 전투형 군대란 실제 전장에서 사용할 전술방식대로 훈련에 진력하는 부대를 뜻한다. ‘아덴만 여명작전’을 수행한 청해부대가 그 좋은 예다. 이 같은...
    Date2011.03.12 Views4944
    Read More
  7. No Image

    부사관도 명예진급제도 적용

    진급 예정자 전사·순직시 당일 진급 국방부, 20년 복무한 상사 원사로 전역 / 국방일보 2011.01.14 국방부는 명예진급제도를 부사관에게도 확대 적용하고, 군인 진급 예정자가 순직ㆍ전사할 경우 당일 진급하도록 하...
    Date2011.01.15 Views4951
    Read More
  8. Update

    부두 없이 정박하는 군함 LST (상륙함)

    해군에는 부두없이 접안할 수 있는 군함이 있습니다. 바로~ LST 라는 함정인데요. LST는 Landing Ship Tank의 약자로 우리나라에서는 상륙함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습니다. 해병대의 상륙작전에 없어서는 안되는 함정...
    Date2010.05.16 Views4959
    Read More
  9. 윤석열 대통령 장성 보직 신고 및 삼정검 수치 수여

    10월 30일 윤석열 대통령은 장성 보직 신고 및 삼정검 수치 수여했다.<사진 대통령실> 10월 30일 윤석열 대통령은 장성 보직 신고 및 삼정검 수치 수여식을 갖고 빈틈없는 군사대비태세를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Date2023.10.30 Views4964
    Read More
  10.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 어린이날 문화축제 개최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은 어린이날 100주년을 기념하여 가족 단위 관람객을 대상으로 어린이날 문화축제 ‘오늘은 너도 나도 어린이’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5월 5일 어린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되...
    Date2022.04.27 Views4966
    Read More
  11. 전쟁기념관, 국군정보사령부 이관 총기류 전시 특별전 개막

    ▪전시명: 기밀해제-국군정보사령부 총기를 보다 ▪장 소: 전쟁기념관 3층 기증실 ▪기 간: 2022. 11. 30.(수) ~ 2023. 3. 5.(일) (※개막식 : 11. 30.(수) 15:00) ▪전시품: M2 카빈 시제품 1호, 마드센 경기관총, 이라크...
    Date2022.11.29 Views4969
    Read More
  12. ‘제10기 대한민국 장병 급식·피복 모니터링단’ 해병대 2사단 방문

    17일 해병대2사단을 방문한 제10기 대한민국 장병 급식·피복 모니터링단이 피복·장구류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 국방부 제공 ‘제10기 대한민국 장병 급식·피복 모니터링단’(이하 모니터링단)이 10월 17일 해병대 2사단...
    Date2023.10.17 Views4972
    Read More
  13. 2022년 국군교향악단 정기연주회 개최

    국방부는 9월 4일(일) 오후 5시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국군장병 및 가족 1,500여 명을 초청하여 2022년 국군교향악단 정기연주회를 개최한다. 국군교향악단은 장병 정서순화 및 사기진작을 위해 2010년 창단...
    Date2022.09.02 Views4973
    Read More
  14. 육·해·공군·해병대 즉각 대응태세 돌입

    19일 북한 김정일 사망에 따라 전군이 경계태세에 돌입한 가운데 강원도의 한 공군부대에서 전투기가 이륙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방부·합참 북한 김정일의 사망 소식이 알려진 19일 김관진 국방부장관을 비롯한 군 ...
    Date2011.12.20 Views4983
    Read More
  15. No Image

    방위사업청,무기체계 신속시범사업 23년도 통합공모 시작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기존의 무기체계 도입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기 위하여 신속시범획득사업과 신속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 2월부터 두 사업을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두 사업의 공모절차를 ...
    Date2023.02.06 Views499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