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돌아보는 2012년 국방이슈<3>미사일지침 개정 / 국방일보 2012.12.18

 

사거리 550km일 때 탄두중량 1000kg…제한 사실상 해제 탄도미사일 사거리 北전역 타격 가능 800km로 대폭 확대
50658.jpg

  ‘탄도미사일 최대 사거리 현재의 300㎞에서 800㎞로 증가. 탄두 중량은 사거리 800㎞ 기준 500㎏으로 하되 사거리를 줄이는 만큼 그에 반비례해 탄두 중량을 늘릴 수 있도록 트레이드-오프(trade-off) 개념 적용, 재사용 가능한 무인항공기 탑재 중량 500㎏에서 2500㎏으로 확대.’

 이상이 정부가 지난 10월 7일 발표한 새로운 미사일 지침의 핵심이다. 미사일 지침은 2010년 이래 뜨거운 안보 이슈였다.

핵ㆍ미사일 등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위협이 점차 커지는 상황에서 미사일 지침이 우리 측 대응방안을 묶는 족쇄가 되고 있다는 우려가 계속 제기됐기 때문이다.

 정부가 새로 발표한 미사일 지침은 이 같은 그동안의 우려를 해소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북한이 지난 12일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함에 따라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 더욱 커진 상황이라, 지난 10월의 미사일 지침 개정은 더욱 큰 의미를 지니게 됐다.

 새로운 미사일 지침은 여러 내용을 담고 있지만 무엇보다 “북한을 상대로는 사실상 탄두 중량 제한이 폐지된 것”이 중요하다. 탄두 중량은 폭약 등 미사일에서 직접 폭발해 적에게 타격을 주는 부분의 무게를 의미한다. 탄두 중량이 사실상 폐지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이유는 트레이드-오프 개념 때문이다. 사거리 800㎞면 탄두 500㎏, 사거리 550㎞면 1000㎏ 식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것.

 사거리 550㎞는 사전 징후 없이 도발할 수 있는 북한의 고체연료 전술미사일(KN-O2)의 사거리를 벗어난 우리 측 지역에서 쏴도 북한 전역을 커버할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이때의 탄두 중량 1000㎏은 재래식 탄두로도 충분한 군사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거리 800㎞도 의미가 크다. 국방부는 “사거리 800㎞라면 서쪽은 우리 제주도에서 쏴도 신의주에 도달한다”고 말했다. 반대로 “가장 먼 동쪽 두만강 제일 먼 곳까지는 포항 남쪽에서 쏴도 거기에 도달한다”는 설명도 했다. 다시 말해 우리나라 어디에서 쏴도 800㎞ 사거리면 북한을 커버할 수 있다는 의미다.

 무인항공기(UAV)의 탑재 중량과 관련된 족쇄가 풀린 것도 의미가 작지 않다. 미사일 지침에서 UAV를 다루는 이유는 UAV가 기술적으로 순항미사일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탄도미사일은 포물선 궤적을 그리며 날아가는 데 비해, 순항미사일은 비행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비행한다.

 문제는 과거 미사일 지침에서 UAV를 순항미사일에 따라 규제하다 보니 최근 빠르게 발전하는 무인기의 신규 도입과 운용에 장애가 있었다는 점이다. 당장 고고도 무인기의 대표적인 존재인 글로벌호크를 미국에서 도입하려 해도 탑재 중량 때문에 논란이 된 것이 대표적이다.

 새로운 미사일 지침은 ‘재사용이 가능한 UAV’라고 구체적으로 명시해 UAV와 순항미사일을 개념적으로 구분한 것이 특징이다. 그다음 항속거리 300㎞ 이하의 재사용 가능한 UAV는 탑재 중량에 제한을 두지 않도록 하고, 항속거리 300㎞ 이상 재사용 가능한 UAV는 탑재 중량을 기존 500㎏에서 2500㎏까지 대폭 확대했다.

 탑재 중량 2500㎏은 장거리 고고도 무인기인 글로벌호크의 탑재 중량보다 조금 더 큰 수준으로 알려졌다. 다시 말해 새로운 미사일 지침을 통해 현존 UAV 중 최신형과 거의 유사한 수준의 탑재 중량을 가진 UAV를 확보ㆍ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재사용이 불가능한 UAV와 순항미사일은 현재와 동일하게 “사거리 300㎞ 범위 내에서는 탑재 중량에 제한이 없고 탑재 중량이 500㎏을 초과하지 않는 한 사거리는 무제한”이 된다.

 이와 함께 우리 군은 북한의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를 신속하게 탐지-식별-결심-타격할 수 있는 킬 체인(Kill Chain)을 구축할 예정이다. 아울러 우리나라로 날아오는 북한 미사일을 지상에 도달하기 전에 요격하는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도 발전시킬 방침이다. 다만 KAMD가 미국의 MD와는 관련이 없다는 것이 국방부의 확고한 입장이다. <김병륜기자>



  1. 한미 연합 해상훈련

    한미 연합 해상훈련 / 국방일보 유사시 한반도 방어를 위한 실기동훈련(FTX)인 독수리(FE) 연습이 전국 각지에서 육·해·공군, 해병대와 미군이 함께 참가하는 연합·합동훈련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 한미 연합...
    Date2013.03.20 Views1675
    Read More
  2. 제대군인 일자리 5만개 확보 

    [2013 보훈처 업무보고] 제대군인 일자리 지원 매년 전역하는 6000여명의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 중 54.7%가 30~40대다. 보훈처는 생애주기 상 가계지출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시기임을 감안, 최소 10년간 일자리를 보...
    Date2013.04.29 Views1679
    Read More
  3. No Image

    군인, 군무원 성군기 위반 사건 관련 징계업무처리 훈령 개정

    군인, 군무원 성군기 위반 사건 관련 징계업무처리 훈령 개정 ㅇ 국방부는「국방부 군인·군무원 징계업무처리 훈령」을 개정(‘14. 2. 1. 시행)하여 군인·군무원의 성군기 위반에 대해 보다 엄정하게 조치할 예정이다....
    Date2014.02.05 Views1680
    Read More
  4. No Image

    국방부-LH, 3기 신도시 신속한 추진과 무주택 군인 주거안정을 위한 협력 토대 마련

    국방부(차관 김선호)는 5월 21일(화) 한국토지주택공사(사장 이한준)와 ‘3기 신도시 조기 안착’과 ‘무주택 군인 주거안정 지원’을 위한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3기 신도시 사업시행자인 LH가 무...
    Date2024.05.21 Views1680
    Read More
  5. 2014년 해군, 이렇게 달라진다 - 6개 분야 추진 업무

    해군은 2014년 슬로건을 ‘창조적 도전정신’으로 정하고 전투형 군대 확립을 위한 34개 역점 추진업무를 선정했다. 싸워 이기는 필승해군, 변화·혁신을 통한 정예해군 건설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역점 추진업무를 소개...
    Date2014.01.06 Views1690
    Read More
  6. No Image

    숙명여대 학군단, 주한미군 최초 女 해군사령관 초청 강연(육군)

    “최초가 최초를 만나다” - 숙명여대 학군단, 주한미군 최초 女해군사령관 리사 프란케티(Lisa M. Franchetti) 장군 초청 강연 - ◦숙명여자대학교 학군단은 1월 8일, 주한미군 역사상 육·해·공군 통틀어 첫 여성 사령...
    Date2014.01.11 Views1692
    Read More
  7. No Image

    나라지킴이 3대 가족!! ‘병역명문가’를 찾습니다.

    병무청에서는 병역을 명예롭게 이행한 사람이 존경받고 긍지와 보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3대(代) 가족 모두 현역복무를 성실히 마친「병역명문가(名門家)」를 찾습니다. ㅇ 신청자격 : 3代 가족 모두 현역...
    Date2012.03.14 Views1695
    Read More
  8. No Image

    방사청장 주관 제3회 다파고(DAPA-GO) 2.0 소통 간담회 개최

    방위사업청장은(청장 석종건) 2024년 5월14일, 대전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국방 우주분야 기업들과 대전시, 육·해·공군 등이 함께 참여하여 국방우주산업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관련 육성정책 및 전략과 첨단 기술력 강...
    Date2024.05.21 Views1705
    Read More
  9. No Image

    공군, 인도네시아 조종사 T-50 수탁교육실시

    공군, 인도네시아 조종사 T-50 수탁교육실시 - 공군 1전비, 인도네시아 전투조종사 6명 대상 T-50 수탁교육 실시 - 13주간 지상, 비행훈련 위해 영어구사가능 교관 배정 등 노력 기울여 공군 제1전투비행단(이하 1전...
    Date2013.02.06 Views1706
    Read More
  10. No Image

    北 김정은, '해병 6여단 공격지침 하달'

    北 김정은, '해병 6여단 공격지침 하달' [경기방송 = 문영호 기자] 김정은 북한 제1비서가 '키리졸브 연습'이 시작된 어제 백령도 공격 임무를 부여받은 북한의 군부대를 시찰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제1비...
    Date2013.03.12 Views1707
    Read More
  11. 2025년 병장 봉급 100만 원 가까이 된다

    2025년까지 병장 봉급이 월 100만 원 가까이 될 전망이다. 10일 국방부가 발표한 ‘2021∼2025 국방중기계획’에 따르면 병장 봉급은 2025년까지 96만3000원으로 하사 1호봉 월급의 50% 수준까지 오를 예정이다. 올해(54...
    Date2020.09.09 Views1707
    Read More
  12. 공군 블랙이글스 화려한 비행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가 운용 항공기를 T-50B로 교체, 기동개발을 완료하고 지난 1일 공군8전투비행단에서 전력화 행사를 가졌다. 블랙이글스는 대대의 3만시간 무사고 비행 기념식과 병행한 이날 행사에서 4대...
    Date2011.04.03 Views1710
    Read More
  13. “여수 EXPO, 軍 완전작전으로 더욱 빛났다”

    - 육군, 엑스포 행사 93일간 군 장병 연인원 5만여 명 투입 - - 경계작전, 교통통제, 의전‧통역지원 등 엑스포 성공개최 보장 - ◦여수세계박람회가 8월 12일(日) 성공적으로 폐막한 가운데, 보이지 않는 곳에서 궂은...
    Date2012.08.15 Views1721
    Read More
  14. ‘국군조직법 개정안’ 다음달 국회 제출

    국방부, 국방위원회 업무보고… 상부지휘구조 개편 등 국방개혁 의지 재확인 / 국방일보 2012.07.13 김관진 국방부장관이 12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참석해 주요 국방현안에 대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이헌구...
    Date2012.07.13 Views1722
    Read More
  15. 2013년 일출을 맞이하는 E-737 피스아이

    2013.1.1 대한민국 공군 Rep.of Korea Air Force 대한민국 공군의 공중조기 경보통제기 E-737 피스아이가 F-15K 편대의 호위를 받으며 동해 상공에서 일출을 맞이하고 있다. 공군은 올해 대비태세를 더욱 굳건히 하자...
    Date2013.01.02 Views17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