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깔깔이·짬통’…용어 사라진다 / 국방일보 2012.12.20

국방부 ‘군 용어순화추진단’ 구성 순화 앞장 용어사전 온라인화·모바일 서비스 구축기로 / 2012.12.20

 

50704.jpg

 

    짬통(잔반통), 깍새(이발병), 피돌이(PX관리병), 작일(어제)….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어법에 맞지 않는 말 또는 육·해·공군별로 다르게 쓰는 용어 등 군대에서 사용되는 부정적 의미의 용어들이 일제히 정비된다.

국방부가 ‘군 용어순화 종합대책’을 마련해 병영생활과 군수 분야에서 추진되던 올바른 군대용어 사용을 동원·예비군업무, 군사용어, 국방과학기술 전문용어 등 국방 전 분야로 확대하기로 한 것. 이와 관련, 국방부는 “김광우 기획조정실장을 단장으로 하는 ‘군 용어순화추진단’을 구성해 오늘 첫 회의를 열고 각종 군 관련 언어 및 전문용어 등을 체계적으로 정비하기 위한 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했다”고 18일 밝혔다.

 추진단에는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병무 및 방위사업 분야 용어 정비도 함께 추진하기 위해 국방부 외에도 합동군사대학·국방기술품질원·방위사업청·병무청 관계자도 편성됐다.

 이번 종합대책은 군내 언어사용에 문제점이 있어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 때문.

그동안 병영에서는 국적 없는 말도 많고, 쉬운 말이 있는데도 어려운 한자어를 썼다.

비속어와 은어도 적지 않았다. 군내 언어폭력은 병영 내 스트레스로 작용했고, 군 특유의 용어 사용 습관은 일반 국민과 소통에도 걸림돌이 됐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올해를 ‘군인다운 용어 사용 원년’으로 선정하고, 병영생활 언어 및 군수(軍需) 분야 전문용어 순화를 시작해 일부 성과를 거뒀다.

병영생활 때 비속어와 인격모독 등 군내 언어폭력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자 ‘군인다운 언어사용’ 운동을 추진했고, 군수 분야에서도 수십 년간 무심코 써 왔던 일본어 잔재나 한자 약어 등을 바로 개선해 쉬운 말로 바꿔 쓰고 있는 것.

예를 들어 ‘화이바’ ‘적사함’ ‘깔깔이’ ‘시방서’ ‘적치하다’는 각각 ‘방탄헬멧’ ‘모래함’ ‘방상내피’ ‘설명서’ ‘쌓아두다’로 바꿨다.

 앞으로 이를 토대로 국방 전 분야에 걸쳐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으로 군 용어 순화를 추진하겠다는 것이 국방부의 계획. 특히 용어 정비 결과를 장병들이 쉽게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군 용어사전을 온라인화할 예정이다. 또 모바일 서비스도 구축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이 같은 개선 방안을 다각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군 용어를 쉽고 바르게 쓸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주형기자>



  1. 서먼 신임 한미연합사령관 취임

    제임스 서먼 새 한미연합사령관이 지난 15일 오후 한국 근무 첫 일정으로 남북 대치의 상징인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남북회담장을 둘러보고 있다. 북한 경비병들이 창문을 통해 서먼 사령관을 관심 있게 지켜보고...
    Date2011.07.20 Views4629
    Read More
  2. No Image

    전투체육의 날 사실상 부활

    국방부, 9월부터 매주 수요일… 체육활동은 이번주부터 4시간으로 늘려 /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1.07.20 오전 정신교육과 오후 체육활동으로 이어지는 ‘주간 정신교육 및 전투체육의 날’ 행사가 2008년 전반기 중단 ...
    Date2011.07.19 Views2494
    Read More
  3. No Image

    국방부 병영생활 행동강령 이번주 하달

    국방부가 병 상호 간 명령금지 등을 규정한 ‘병영생활 행동강령’을 이번주 내에 국방부장관 지시로 하달할 예정이다. 국방부가 마련 중인 병영생활 행동강령에는 분대장 또는 조장으로 임명된 병사를 제외하고는 병사...
    Date2011.07.19 Views3017
    Read More
  4. 국방홍보원장 오철식씨

    정부는 18일 전쟁기념사업회 회장에 선영제 예비역 육군 중장(65)을 임명했다. 육사 25기로 임관한 선 회장은 합참 작전처장, 35사단장, 2군참모장, 9군단장, 육군참모차장 등을 역임했다. 또 국방일보와 국군TV 등 ...
    Date2011.07.19 Views2988
    Read More
  5. No Image

    한중 공동 언론 보도문 전문

    한·중 국방 전략대화 공식 개설/젊은 인재 교류 단기교육과정 개방/한반도 평화·안정 수호 함께 노력/ 재난 상호지원 양해각서 조속 체결 / 2011.07.18 김관진 대한민국 국방부장관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위원 겸 국...
    Date2011.07.17 Views1822
    Read More
  6. No Image

    국지도발에도 예비군 부분동원

    국방부 `충무3종사태'에서도 국가자원일부 발령 위기상황 대비, 병력 14만명·차량 2000여대 선정 / 2011.07.15 앞으로 연평도 포격도발과 같은 국지도발을 비롯해 적의 도발 징후가 증가됐다고 판단되는 ‘충무3종사태...
    Date2011.07.16 Views3278
    Read More
  7. 전차부대 전투지휘훈련장 개장 - 육군11사단 번개대대, 전술토의 등에 활용

    육군11사단 번개대대 장병들이 전투지휘훈련장에 설치된 대형 사판에 모여 전술토의를 하고 있다. 육군11사단 번개대대는 지난 5일 전차부대원들이 전술토의 등을 실시할 수 있는 전투지휘훈련장을 개장했다. 훈련장...
    Date2011.07.15 Views6819
    Read More
  8. No Image

    시민단체, 국방장관ㆍ해병대사령관 사퇴 요구

    "軍 인권실태 전면 조사..수뇌부 책임져야"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시민단체인 군인권센터와 인권연대는 14일 영등포동 여성미래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관진 국방부장관과 유낙준 해병대사령관이 해병대...
    Date2011.07.14 Views2264
    Read More
  9. No Image

    특공부대서도 자살… 유족 "가혹행위·성추행"

    지난 4일… 軍당국, 진상 조사해병대에 이어 특공부대에서도 한 병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사망원인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가혹행위·성추행 정황도 속속 드러나고 있다. 13일 육군 제2작전사...
    Date2011.07.14 Views3979
    Read More
  10. 해사생도 야전성 강화훈련 - 악천후에도 서북도서 뜨겁다

    해사생도 야전성 강화훈련 / 2011.07.14 국방일보 윤병노기자 서북도서 야전성 강화훈련에 참가한 해군사관학교 3학년 생도들이 고무보트 헤드캐리어 훈련으로 전투체력을 배양하고 있다. 해군사관학교 3학년 생도들...
    Date2011.07.13 Views4152
    Read More
  11. 육군부대들 초임장교 집체 교육

    육군20사단 초임장교가 개인화기 사격 중 전진무의탁 자세를 취하고 있다. 육군201특공여단 특공신병교육대에 입소한 초임장교가 헬기 패스트로프 훈련을 받고 있다. 막연한 두려움 `싸악~'필승의 자신감 `쑤욱~' / ...
    Date2011.07.13 Views5773
    Read More
  12. 울릉도 항공기지 확장한다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독도 수호를 위해 울릉도 항공기지를 대폭 확충한다. 또 해군소속 링스헬기 1대와 UH-60(블랙호크) 헬기 1대를 추가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국회 국방위 송영선(미래희망연대) 의원에...
    Date2011.07.13 Views3430
    Read More
  13. 조종사는 전투력의 핵심 반드시 살린다

    공군6탐색구조비행전대 항공구조사 요원들이 12일 동해상에서 조난당한 조종사를 구조하는 전투 수중·수상 탐색구조훈련 을 하고 있다. 강원 강릉=박흥배 기자 공군6탐색구조비행전대는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8일까...
    Date2011.07.12 Views2775
    Read More
  14. 해군 전반기 추진업무 분석·병영문화 혁신 토론회

    김성찬 해군참모총장과 해군본부 지휘관·참모를 비롯해 과장급 이상 장교들이 12일 전반기 추진업무 분석회의에서 부서별 업무현황에 대한 보고에 이어 각각의 사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김성찬 해군참모총장...
    Date2011.07.12 Views3358
    Read More
  15. 예방책 있으나마나… 軍 자살 10만명당 12.6명

    해병대 병사들의 자살이 잇따르는 가운데 군내 자살자들이 2005년 이후 줄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부에 따르면 2005년 64명이던 군내 자살자는 2006년 77명, 2007년 80명, 2008년 75명, 2009년 81명에 이...
    Date2011.07.11 Views315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 193 Next
/ 193


CLOSE